View : 817 Download: 0

고등학생의 독서 가치 양상 및 교수·학습 방안 연구

Title
고등학생의 독서 가치 양상 및 교수·학습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ading Value Aspect an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이봉실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치 이론에 근거하여 자발적으로 독서를 즐겨하는 자기주도적 독자를 양성하기 위한 독서 가치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적 관점에서 독서 가치의 의의를 규명하고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 요소로서 독서 가치를 새롭게 바라보는 관점이 필요하다. 가치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넓은 의미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교과 교육들 간에도 상이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만큼 읽기 교육의 관점에서 독서 가치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독서 가치를 독서라는 대상에 대해 나타나는 태도 및 행동양식을 이끌어내며 그것을 정당화하는 신념체계의 핵심을 이루는 기준으로 정의하고, 독서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 요소로서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가치의 개념과 성격을 교육적으로 고찰하고 독서 가치의 개념과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독서 가치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실제 독서 가치 교육의 양상을 교육과정과 교과서 차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독서 가치 교육이 정의적 영역의 교육으로서 이행되어온 만큼 읽기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대표적 교육 요소로 교육되어 온 태도와 독서 가치와의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독서 가치의 교육적 의의를 명료화하고자 했다. 나아가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 내용 및 요소에 대한 고찰을 통해 태도와 독서 가치의 개념 및 속성을 바탕으로 태도의 하위 요소로 설정된 독서 가치의 층위를 바로잡음으로써 독자적인 독서 가치 교육 마련을 위한 지평을 확대하고자 했다. 또한 교육 목표 성취가 가능한 실제적인 독서 가치 교육을 제안하기에 앞서 학습자의 독서 가치 부여 양상을 학습자가 처한 삶의 맥락에서 면밀히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에 Ⅲ장에서는 남녀 고등학교 학습자 103명의 독서 가치 부여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양상의 특성과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때 학습자의 독서 신념을 살펴볼 수 있는 개방형 설문을 통해 학습자의 가치 유형을 귀납적으로 도출함으로써 현재 학습자의 독서 가치 부여 양상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학습자의 독서 가치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독서 가치 부여에 영향을 미친 배경과 독서 가치에 부여한 중요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인지적인 신념에 정서가 결부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여 정서적 측면인 호오(好惡)와 독서에 대한 자발적 수행 의지를 통해 독서 가치가 학습자의 독서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에서의 이론적 논의와 Ⅲ장에서 규명된 학습자의 실제 독서 가치 부여 양상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주체적 사고 경험을 통해 독서 가치관 정립이 가능한 독서 가치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독서 가치의 개념과 특성을 바탕으로 독서 가치 교육의 내용 마련의 토대가 되는 목표 및 원리를 제시하였으며, 독서 가치 교육 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독서 가치 경험이 가능한 교육의 실제를 구현하였다. V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논의가 발전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연구의 의의를 살피고 한계를 밝혀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태도 교육으로 편중되었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읽기 교육의 비판적 고찰을 통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을 형성하는 보다 근본적인 교육 요소로서 독서 가치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 형성을 위한 실제적 교육 방안 마련이 가능하며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적 논의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는 독서 가치 교육에 주목한 후속 연구가 확산되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reading value education method for voluntary self-readers based on the value theory.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reading value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and to view the reading value as an educational element for the affective domain. Value is used as a broad meaning in various disciplines an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oncept of reading value from the point of view of reading education. because it is accepted differently among different subjects. As a result, the reading value leads to attitudes and behaviors that appear to readers, and to construct a practical educational plan as an educational element for the learner's defining domain of reading. For this purpose, Chapter II explores the concept of value and it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explor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ading value by identify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value. In addition to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actual reading value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and textbook dim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ading value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value as a representative educational element of reading area.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content and elements of the education on affective domain, the horizon for the independent reading value education is expanded by correcting the level of the reading value set as the sub-element of the attitude based on the concepts and attributes of the attitude and reading value. Also, before suggesting actual reading value education that can achieve educational goals, we tried to examine the aspect of learner 's reading value in the context of life of learner. In chapter III, different types of reading value of learner 's from 103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n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aspects were deri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er 's reading value aspect by deriving the learner's value type in an open questionnaire which can check the learner 's reading belief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well the reading value of a learner is form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motions are attached to the cognitive beliefs, the influence of the reading value on the learner's reading performance is confirmed through the voluntary performance will and one’s likes-and dislikes which is the emotional aspect. In Section IV,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in Chapter II and the result of the learner's actual reading value, we propose a reading valu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n establish reading values through learner's subjective thinking experience. Based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value, we presented the objectives and principles that form the foundation of the contents of reading value education and implemented the actual education which enables learners to experience reading value based on reading value education design principles. In Section V,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clarified and its limitations are clarified in order to develop the discussion related to this study. This study focuses on the reading value as a more fundamental element of education that forms a learner's affective domain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reading education about the affective domain which has been prevailing as attitude educa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up study focusing on the reading value educat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discussion about the affective domain is expected to sprea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