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2 Download: 0

평가 지시문 유형과 쓰기 목적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과 태도 및 상위담화 사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평가 지시문 유형과 쓰기 목적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과 태도 및 상위담화 사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Writing Prompt and Purpose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Attitude and Metadiscourse Use
Authors
박수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영어는 국제어로서, 영어로 원활하게 의사소통하는 것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필수적인 능력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 스마트폰의 발달과 더불어 SNS 사용의 증가로 인해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표현하는 쓰기 능력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에 따라 우리나라 영어 교육에서는 기존의 읽기 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 쓰기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단위 학교에서는 쓰기 수업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이러한 문제는 입시에 치중된 고등학교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각 시‧도 교육청에서 수행평가를 의무화하면서 단위학교에서 쓰기 수행평가도 실시되고 있으나 고등학교 쓰기 성취 목표와는 달리 실생활과 동떨어진 서답형 위주의 쓰기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쓰기 성취 목표와 현실과의 괴리를 줄이기 위하여 쓰기 평가에서 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하고 실생활과 밀접한 과제들을 수행하게 하는 과제형 쓰기 평가를 실시해야 하지만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에게 한 문단 이상의 글을 쓰는 것은 부담이 되는 작문 과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쓰기 평가 지시문에 표, 텍스트, 그림 등 다양한 자료를 포함하여 학습자들이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문 과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쓰기 평가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한다. 기존에 제시된 쓰기 평가 지시문 유형이 이론적 토대가 부족해 연구나 현장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점을 고려하여 Robinson (2001b)의 과업 복잡성 개념을 토대로 평가 지시문을 제작‧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 영어 Ⅰ 교과서 8종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쓰기 활동이기 때문에 접근 및 적용 가능성이 높은 모델 글 참고하기, 개요 작성하기, 외국인 친구의 글에 답변하기 활동을 평가에 적용하여 이러한 평가 지시문이 학습자의 쓰기 수행과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마찬가지로 영어 교과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쓰기 목적인 설명과 논설이 학습자의 쓰기 수행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영어 평가 지시문과 쓰기 목적에 따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상위담화 표지어의 사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두 곳의 고등학교 2학년 각각 6개 학급, 총 17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사전 쓰기 평가와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에 학급별로 쓰기 평가 지시문과 쓰기 목적 유형을 달리 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집단은 총 6개로, 평가 지시문 유형은 과업 복잡성이 낮은 순으로 모델 참고 집단, 개요 작성 집단, 이메일 답변 집단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쓰기 목적인 설명 목적 집단과 논설 목적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쓰기 평가와 사후 설문조사를 수행하게 하였다. 실험을 마치고 학생들의 작문 결과를 채점 기준표에 따라 과업 완성, 내용, 구성, 언어 사용 영역으로 채점하였고, 쓰기 학습과 쓰기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묻는 폐쇄형 및 개방형 설문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위담화 표지어 분류표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작문 결과에서의 표지어 사용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지시문과 쓰기 목적 유형이 과업 완성, 내용, 구성, 언어 사용 영역에 미친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6개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모든 평가 영역에서 이메일 답변 집단이 개요 작성 집단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모델 참고 집단은 다른 두 집단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평가 지시문 유형을 분류한 기존의 연구에서 모델 참고 지시문과 이메일 답변 지시문을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한 것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평가 지시문과 쓰기 목적 유형이 평가 지시문 유용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단어 사용, 문법, 글의 형식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단어 사용과 문법 측면에서는 모델 참고 집단, 개요 작성 집단, 이메일 답변 집단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아 과업 복잡성이 낮을수록 언어적 측면에서 도움을 많이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업 복잡성이 높을수록 언어의 정확성이 높아진다는 Robinson(2001b)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글의 형식 영역에서는 모델 참고 집단, 이메일 답변 집단, 개요 작성 집단 순으로 응답을 하여 글의 형식을 참고하는 것은 단어 사용이나 문법과는 달리 이메일 답변 집단이 참고할 수 있을 정도의 보다 낮은 인지적 부담을 요구한다고 할 수 있다. 개방형 문항 응답은 통계적인 분석을 하지는 않았지만 집단 간에 차이가 발생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평가 지시문과 쓰기 목적 유형이 상위담화 사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변인 모두에서 상위담화 사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평가 지시문 유형에서는 구조어와 태도어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구조어와 태도어 영역 모두에서 과업 복잡성이 낮은 평가 지시문일수록 작문에서 더 많은 빈도수의 표지어가 나타났다. 한편, 쓰기 목적 유형에서는 논리어, 구조어, 예시어, 관여어 영역에서는 논설 목적 집단이, 유보어와 태도어에서는 설명 목적 집단이 더 높은 빈도로 표지어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단순한 과업을 유도하는 평가 지시문일수록 더 많은 도움을 제공하여 언어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 지시문과 마찬가지로 쓰기 목적도 상위담화 사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생들이 수행평가에서 주제나 지시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수행 결과에 민감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평가를 실시할 때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에 맞는 다양한 평가 지시문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상위담화 표지어 사용에 대해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며, 수행평가나 채점에 대한 유용성과 타당성을 학생들에게 인지시켜주어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writing prompts and two types of writing purpose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attitude, and metadiscourse us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77 EFL second grad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ssigned into six groups. They were first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differentiated in writing prompts with different degree of task complexity. One group was presented with a writing prompt with lowest task complexity, which allows students to refer to the model text given. Another group was provided with a prompt which presents them a table to outline. The other group was given a prompt with highest task complexity, in which they had to read an e-mail from a foreign friend and reply to it. The first two prompts have instructions that present the expected reader, her situation, and the aim of writing task. On the other hand, the last prompt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about the writing task so that the students had to read the e-mail in order to complete the task. That is, it has highest task complexity since they have to reveal for whom they should write or what they should write about. Then,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explanatory and argumentative writing. As a pretest, the participants in all six groups took an identical narrative writing test for 20 minutes to identify their writing proficiency. Just after the pretest, they completed the pre-questionnaire to identify their attitude and perceptions toward English writing and writing performance test. During the experiment, the six groups conducted the writing tasks with different writing prompts and purposes for 20 minutes. They also answered the post-questionnaire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as any change in their attitude and perceptions. After the experiment, the students’ writings were evaluated in the aspect of task completion,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In addition, their responses to pre- and post-questionnaires were also analyzed. Lastly, their writings were analyzed to explore their use of metadiscourse markers using Hyland(2005)’s classifi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core on task completion,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ix groups. However, the groups who reply to the friend received lower scores in all aspects in evaluation criteria than the groups who fill the table of outline. The other groups, who refer to the model text, received slightly higher scores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refore, it can be questioned that the previous studies classify Model referring prompt and Reply to e-mail prompt into the same prompt type. Second, the result of a statistical analysis of pre- and post-questionnaires illustrat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experimental tests as useful test tools. They responded that the test prompts were helpful in referring to words, grammar, and format of e-mail. In terms of the word usage and grammar, the high response frequency was found in the order of the Model referring prompt, Outlining prompt, Replying to e-mail group. That is, the prompts with low task complexity were able to help the participants in the aspect of language use more than those with high task complexity. That is, the result is incongruent with the argument of Robinson(2001b) in which the higher task complexity induces learners to focus on linguistic elements so as to lead to more accuracy in language use. For the format of e-mail, the fact that the Model referring prompt group responded highest and the Outlining prompt group the least demonstrated that to recognize and refer to the e-mail format required less cognitive burden than the above two linguistic elements. Finally, both writing prompt and purpos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regarding the metadiscourse use. In terms of writing prompt type, the groups of prompts with lower task complexity used more markers in frame markers and attitude marker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writing purpose types the argumentative group used more markers in transitions, frame markers, code glosses, and engagement markers. The explanatory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in hedges and attitude markers. This result not only shows that the difference was influenced by the different text features with various writing purposes but also suggests tha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sing certain subtypes of metadiscourse markers. Overall,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lower degree of the task complexity triggers the students to focus on language use unlike Robinson(2001b)’s Cognitive Hypothesis. It is also found that the writing purpose as well as prompt type has a positive effect on metadiscourse use. Besides, it is shown that students are sensitive to the test results that can vary with the writing topic or prompt. Therefor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various writing prompts appropriate for their proficiency level and interest. They should also be taught and understand the concept and proper usage of metadiscourse. Additionally, teachers should help them recognize the usefulness and validity of such performance tests or test scor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