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양하-
dc.contributor.author김수아-
dc.creator김수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18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1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7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78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4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불면증 여부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 및 대사증후군의 위험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안성, 안산)자료를 분양 받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여성 40-64세를 대상자로 하였으며 최종 분석 대상자는 3646명 이었다. 대상자들은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 지를 이용하여 영양소 섭취 상태를 파악 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불면증 여부를 확인하는 문항(불면증이 있습니까?)을 통해 “아니오”인 대상자를 대조군(Normal sleeper)으로, “예”인 대상자를 불면증군(insomnia)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일반적 특성은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유의적으로 나이가 높은 경향성을 보였으며, 교육수준 및 월평균수입은 낮은 경향성, 흡연상태는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P<0.05). 신체 계측 치는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허리둘레, 허리둘레/엉덩이둘레 비율,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P<0.05). 식품섭취 분석에서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지방의 섭취량이 적게 섭취되었다(P<0.05). 3대 영양소의 열량구성비에서는 지방의 섭취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유의적으로 적게 나타났으나 탄수화물의 섭취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1000kcal 당 지방의 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유의적으로 적게 나타났으나 1000kcal 당 탄수화물의 섭취량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불면증 여부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항목 별 위험도를 알아보기 위해 항목 별 교차비(Odds ratio)를 산출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중성지방과 공복혈당의 요소가 높을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불면증 여부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교차비(Odds ratio)로 산출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서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3대 영양소의 열량 구성비에서 탄수화물의 섭취 비율 및 1000kcal 당 탄수화물 섭취량이 높은 경향이 관찰되었고, 대조군에 비해 불면증군에서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From previous studies, there came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insomnia, dietary intake and chronic illness. But above all illnesses subject to study, there are only a handful of studies on its link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insomnia.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have a grip on the impact of nutrition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caused by insomnia among middle-aged women in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f local cohorts (Ansung, Ansan) aged between 40~64 year old women affiliated to a community based organization such as KoGES (Korean Genomic Epidemiology Study). The size of the sample was comprised of 3,646 subjects, all devoid of certain conditions knowingly the individuals with the issue of insomnia, general details and nutritional intake. The individuals matched with aforementioned conditions are what came to be those 3646 subjects. By using SQFFQ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study was able to discern the subjects' dietary intake while having them to answer whether they suffered insomnia by 'yes' or 'no' questions. The study also divided its categories of insomnia into two for the yes group as 'insomnia' and no as 'normal sleeper'. The outcome for this study was first seen in three major nutrition's calorie ratio, particularly a ratio between fat and carbohydrate . In terms of fat, the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among 'insomnia' (12.90%±5.06 ) than 'normal sleeper' (13.96%±5.24 ). However, in terms of carbohydrate, th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insomnia' (72.88%±6.68) than 'normal sleeper' (71.57%±6.72). For every 1000kcal consumption of fat, the number was lower among 'insomnia'(14.33g±5.62) than normal sleepers (15.52g±5.82). However for every 1000 kcal consumption of carbohydrate, the number was higher among 'insomnia' (183.52g±16.87) than 'normal sleeper' (180.03g±16.86). The risks of metabolic syndrome potentially caused by insomnia was higher among 'insomnia' 1.284(1.032-1.597) than 'normal sleeper'. Results above indicate that middle-aged Korean women who fell under 'insomnia' consume more carbohydrate and were more likely to be under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than those under 'normal sleeper'. Evidently, this study necessitates additional studies on its linkage between insomnia, dietary patterns and metabolic syndrome. It is expected that such studies can be used as pedagogical tools on proper nutrition and mediation, all in light of lowering the risks of metabolic syndrome caused by insomni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방법 3 A. 연구대상 3 B. 조사내용 및 방법 5 1. 일반사항 조사 5 2. 신체계측 조사 6 3. 혈액검사 조사 7 4. 식품섭취 조사 8 5. 불면증 여부 9 6. 대사증후군 10 7. 자료처리 및 통계분석 11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2 A. 일반사항 12 B. 신체계측 및 혈압 15 C. 혈액수치 17 D. 영양소 섭취 19 E. 불면증유무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관계 22 1. 불면증유무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요인 22 2. 불면증유무에 따른 대사증후군 24 Ⅳ. 고찰 26 참고문헌 34 ABSTRACT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69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한국 중년 여성의 불면증여부에 따른 식이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ies on the Risk of Dietary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s Accompanied by Insomnia among Middle-Aged Korean Women-
dc.format.pagevi, 4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