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강지은-
dc.creator강지은-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17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1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5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55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인권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인‘인권사랑연구회(가명)’에서의 활동을 통한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인권사랑연구회에서 이루어진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활동과 그 특징을 탐색하고, 활동에 참여한 교사들의 전문성 발달 영역을 확인함으로써 일반 교사들의 인권교육 전문성 개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사랑연구회에서의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활동은 어떤 것이 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인권사랑연구회의 활동을 통해 교사들은 어떠한 전문성이 개발되었는가? 연구 문제에 따라 2015년 5월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로 설립된 인권사랑연구회를 연구 사례로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 교사 8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보조적으로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사랑연구회에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 어떤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인권 강의와 독서 토론, 교과서 분석 및 지도안 개발과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인권 공개 수업과 인권 수업 공동 실천이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인권 강의와 독서 토론을 통하여 인권에 관한 기본 지식을 쌓을 수 있었고, 보편적 인권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인권사랑연구회가 나아갈 방향을 뚜렷하게 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형성된 전문적 지식을 토대로 교사들은 초․중등학교 인권 관련 교과의 교과서를 분석했고, 학습 지도안을 개발했으며, 이에 따른 학습 자료를 만들었다. 그리고 보편적 인권 개념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 인권송을 제작했다. 또한 올바른 인권 개념을 토대로 하는 수업이 실제로 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두 번의 공개 수업을 하였고,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는 공동으로 개발한 학습 지도안으로 4명의 교사가 공동으로 인권 수업을 실시하였다. 인권사랑연구회에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활동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공동의 비전을 가진 교사들의 자발적인 주도와 참여, 수평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한 협력,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의 생성과 발전, 인권교육 콘텐츠 제공을 위한 집단 지식의 구축과 확산과 같은 특징이 있었다. 인권사랑연구회는 교육 현장에서의 인권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진 교사들이 모여서 만든 모임으로 모든 활동을 교사들이 직접 주도하고 참여함으로써 전문성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들이 서로의 인권을 존중하는 수평적 관계와 정서적 유대감을 바탕으로 상호호혜적이며 유기적으로 협력하면서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었다. 인권사랑연구회에서의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은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생성하고, 이러한 지식을 실천하고 반성함으로써 교육 현장에 더욱 적합한 형태로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인권사랑연구회는 일반 교사들에게 인권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자료들을 다량으로 제작하고 있었고, 주변 교사들에게 자료를 공유하면서 그들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었다. 둘째, 인권사랑연구회 활동을 통해 개발된 교사 전문성의 영역을 살펴본 결과, 연구 참여 교사들은 인권사랑연구회 활동을 통해 인권에 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고, 교육과정 전문성이 개발되었으며, 수업 지도 능력이 증진되었고, 인권교사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들은 인권에 관한 지식의 습득과 관련하여 인권에 관한 내용 지식이 확장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보편적 인권에 관한 개념을 정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과정 전문성 개발의 측면에 있어서 교사들은 인권교육과정의 계열성을 보는 안목이 형성되었고, 초중등학교 인권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이 개발되었다. 또한 수업 지도 능력도 증진이 되었는데, 인권 수업 방법이 개선되었고, 인권 수업뿐만 아니라 자신의 기존 수업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함으로써 수업 실천 개선에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고, 이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인권사랑연구회 교사들은 인권교사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었는데, 학생의 인권을 자각하고 존중하게 되었고, 인권교육을 통한 국가의 미래까지 생각하는 교사로서의 책임감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권사랑연구회 활동을 통해 개발된 교사들의 인권교육의 전문성의 영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인권교육 전문성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정책 개발자들이나 학교 관리자들은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개발된 인권교육 전문성이 학교 안에서도 확산될 수 있도록 폐쇄적이고 고립적인 학교 문화를 바꾸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둘째, 교육부나 시․도 교육청 주관으로 인권교육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교사들의 노하우와 실천 사례, 학습 자료들을 공유하고 전수할 수 있는 공식적인 온라인 사이트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셋째, 국가교육과정에 인권교육의 목표나 필요성, 내용, 방법뿐만 아니라 인권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및 각 교과로 흩어져 있는 인권교육과정의 계열성에 대해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hieved through activitie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pseudonym),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human rights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e study sought ways to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of general teachers for human rights education by explor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and by ascertaining the area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quired by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se activitie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chosen. First, what kinds of activities were conducted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and what are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what kind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did teachers achieve through the activitie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an out-of-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established in May 2015, as the case subject. Eight teachers were interviewed as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ith supplementary written materials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for teachers in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included human rights lectures, reading discussions, textbook analysis and development of lesson plan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human rights teaching demonstrations, and collaborative human rights instructional practices in the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able to accumulate basic human rights knowledge through lectures on human rights and reading discussions, establish a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and clearly define the direction of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Based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developed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teachers analyz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or human rights-related subjects, developed lesson plans, and created instructional materials. In order to disseminate and proliferate the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the teachers also produced a human rights song. In addition, they held two teaching demonstrations to see whether it was possible to apply to the classroom a lesson with the correct concept of human rights, and four teachers put a collaboratively developed lesson plan into practice during their respectiv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lasse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for teacher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included voluntary initiative and participation of teachers with a common vision, cooperation based on close, horizontal relationships,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knowledge that could be of practical use in the classroom, and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collective knowledg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content for human rights education.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was established by teachers with an awareness for the issue of human rights in the teaching field,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being achieved through all activities being led and participated in by the teachers themselves. Teachers achieved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reciprocal and organic cooperation based o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an emotional connectedness which enabled them to respect each other’s human right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were conducted in such a way that produced knowledge for practical use in the classroom, and through its practice and reflection, the knowledge was developed into a more applicable form for the classroom. In addition,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was produc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igh-standard materials in order to provide general teachers with content for human rights education. In fact,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being achieved by sharing these materials with other teachers.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acquire knowledge about human rights, develop curriculum expertise, improve their teaching abilities, and form their identities as human rights teachers through the activities at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Upon examining these accomplishments in detail,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were able to establish a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ir knowledge of human rights. In terms of curriculum expertise development, teachers acquired the ability to see the sequence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ed the ability to reconstruct the human rights curricula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addition, their teaching ability was improved; they saw improvement in their teaching method for human rights, and through reflective introspection on previous lessons, their classroom instructional practices were enhanced not only for human rights instruction, but instructional practices overall. They also became enabled to utilize and develop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Finally, the teachers of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formed an identity as human rights teachers. They became aware of, and came to respect, the rights of students. They also came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beyond the classroom as teachers for the nation. By examining in detail the domai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in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the activitie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effective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in human rights education. First, education policy develop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make various mean available that can change the closed and isolated school culture for human rights education expertise developed in out-of-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be proliferated within the school.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fficial online space where teaching materials, practical cases,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eachers with expertise in human rights education can be shared and transferred to other teachers at the level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r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present not only the objectives, necessity, content, and methods of human rights education to the national curriculum, but also the basic information on human rights and the sequence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curriculum, which has been dispersed throughout various subj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교사 전문성 5 1. 교사 전문성의 개념 5 2. 교사 전문성 개발 7 B. 교사학습공동체 9 1.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 9 2. 교사학습공동체의 학습 활동 12 3.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학습 14 C. 범교과 학습 주제로서의 인권교육 16 1.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교육 16 2. 인권교육 18 D.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20 1. 교사학습공동체의 이론적 논의에 관한 연구 20 2.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 21 Ⅲ. 연구방법 24 A. 연구 설계 24 B. 연구 참여자 25 1. 연구 참여 교사학습공동체 25 2. 연구 참여 교사 25 C. 자료 수집 방법 27 D. 자료 분석 방법 28 Ⅳ. 연구결과 30 A. 인권사랑연구회에서의 전문성 개발 활동 30 1. 인권사랑연구회의 개황 및 활동 현황 30 2. 인권사랑연구회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성 개발 활동의 실제 33 3. 인권사랑연구회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성 개발 활동의 특징 41 B. 인권사랑연구회 활동을 통해 개발된 교사 전문성 54 1. 인권에 관한 지식의 습득 54 2. 인권교육과정 전문성 발달 57 3. 수업 지도 능력의 증진 61 4. 인권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 67 Ⅴ. 요약 및 결론 74 A. 연구 요약 74 B. 제언 76 1. 교사의 인권교육 전문성 개발을 위한 제언 76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78 참고문헌 79 부록1. 교사 전문성 개발 경험에 대한 면담지 84 부록2. 초중등 인권 관련 교과의 교과서 분석 목록 85 부록3. 초등 학습 지도안 개발 목록 86 부록4. 중등 학습 지도안 개발 목록 88 부록5. 초등 수업자료 개발 목록 89 부록6. 중등 수업자료 개발 목록 91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72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학교 밖 인권교육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through Out-of-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Human Rights Education-
dc.format.pageviii,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