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6 Download: 0

만 3세 사랑반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실행연구

Title
만 3세 사랑반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for developing basic life habits of three-year-old children in the Sarang class
Authors
김민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만 3세 학급인 사랑반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형성 지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지원 방안이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3세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3세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지원 방안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행복유치원 만 3세 학급 사랑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사랑반 유아 24명과 담임교사 2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7년 1월 18일부터 5월 31일까지였으며, 만 3세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기본생활습관 지도에 대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는 문제점 인식 및 1차 실행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실행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최종 평가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 동안 동영상 촬영, 오디오 녹음, 현장 약기, 사진 촬영을 현장노트로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일화기록, 참여교사와의 면담, 연구자 저널, 학부모와의 공식 및 비공식적 면담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를 실행하는 동안 자료 수집과 동시에 실행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 연구자의 느낌이나 해석, 새롭게 알게 된 사실 등을 수집된 자료에 첨부하여 기록하며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범주화하고 코딩한 후 연구문제별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세 사랑반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1차 실행 방안으로는 기본생활습관의 자율적 실천 지원하기, 유아들의 자조기술(Self-help skill) 형성 지원하기, 가정과 협력하여 유아의 자율적 실천경험 확장하기였다. 1차 실행방안을 평가한 결과 공동체 사회에서 필요한 기본생활습관의 형성의 필요성,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개별유아를 위한 지속적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 평가를 반영하여 공동체 사회에서의 기본생활습관 형성 지원하기, 준우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지속적 지원하기를 실행하였다. 둘째, 만 3세 사랑반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지원 방안이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유아들의 자조기술(Self-help skill), 일상생활 속 또래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만 3세 사랑반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유아의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있어서 유아들 둘러싼 교사, 또래, 가정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tthe ways to develop basic life habits of three-year-old children,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ways to deelop basic life habits of three-year-old chiilidren? 2. What effects do the planshave on the three-year-old children? The research was taken place in a three-year-old 'Sarang Class' in 'Haengbok' kindergarten in Seoul, with 24 children and two homeroom teachers. The study period was from January 18, 2017 to May 31, 2017.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eight progresses: problem recognition and formulation of primary action plan, implementation of the plan, evaluation and formulation of second action plan, implementation of the plan, evaluation of the second plan and final evaluation of the overall process. During the research period, video and audio recording, on-the-spot scans, and photo shoots were actively collected. Anecdotal records, interviews with participating teachers, researchers' journals, and offici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parents were also collected as research data. All data were categorized and coded,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foremetioned two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evised plans that help childfen develop basic life habits. The primary action plan was devised to support children's autonomous practice of basic life habits, support their development of self-help skills, and further expand their life practice in collaboration with individual households. Upon evaluating the first action plan,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basic life habits required for communal society became more pronounced, and there was more need for continuous support for individual infants who were experiencing difficulty in developing basic life habits. In the second run, the primary action plan was reflected to support basic life habits required in the communal society, and to provide continual support for Junwoo to develop his basic life habits. Second, the effects action plans had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basic life habits were children's increased volition in daily activities and pro-social behavior toward peers. The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refreshe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daily life habits of three-year-old 'Sarang Class' children, and it has devised relevant action plans that take infants' development level into account. In addi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fants' surrounding milieu such as teachers, peers, and home environment in the infants' development of basic life habi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