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목-
dc.contributor.advisor송희경-
dc.contributor.author황현숙-
dc.creator황현숙-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10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1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2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27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986-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ncludes a discussion on visual expression through thoughts on existing methods of things innate in the world and the perception of their potentiality. My work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ings found in our everyday life, confirm their existence, and open up their potential through taking an interest in such things and having conversations with them. Everything in the world is constantly changing every minute. All of these things can be viewed in terms of being void. They are also organisms that are linked by an intangible force and interact in continuity. My perception and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void was caused by an overlap of several events. I realize that things are organically associated with one another and that the world we inhabit derived from such relationships while following such event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s my work is a representation of the creation, extinction, and transformation of things and their structure and potential, this study on the expression of potential things as void and organisms could work to solidify the content and form of my work. Buddhism defines everything that arises from casual relationships or affinity as void. It refers to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extinction as arising dependently. Thus, a myriad of things that are considered confrontational are actually all equal. This can be thought of as a reference to the basic tenant that “One is all and all is one.” One thing can be the whole universe: the whole universe is inherent in the one thing we perceive. This goes back to Lord Indra’s net in which ten thousand things in the universe have one body and life. It also presents a course for reflection and development through which our harmonious life can last through an interaction between a whole and a part and an organic relationship among everything in the world. The subject of dependent arising is not any specific thing but can be everything. Anything can be the cause of something else in borderless space and time without confrontation. They are in harmony without drawing any line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is is referred to as the endless casualty of all phenomena or the endless mutual dependen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us, the principle of arising from causation can be seen as the objective, universal truth observed and experienced in life. What we have experienced enables us to gain the true nature of existence and the world, which becomes the base of our artistic creation. The Zhuangzi contains stories carried in the form of myths or anecdotes which therefore have room for diverse interpretations. Such myths or anecdotes mostly have playful characteristics but what they mean is in no way lighthearted. These enable readers to attain spiritual liberation, an aesthetic view of life and an expansion of aesthetic objects, moving beyond their imagination. This is identical with the concept of sublime being of true emptiness of neither being nor non-being or the true nature of reality beyo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Zhuangzi’s spirit of “carefree wandering” can be the driving force enabling us to pursue freedom and experience the opening of the world and things. The pursuit of freedom associated with enlightenment in Buddhism enables us to have a time of emancipation from what frightens us or causes us to hesitate such as vanity, anxiety and death. This also has us accept and regard them as something that goes together with us. Potentiality opens and we meet the new world at the moment when unfamiliarity is no longer unfamiliar and familiarity is no longer familiar. Something potential has its ability to be realized. If we consider why one thing exists or why one thing exists in this way, we are able to come closer to its potentiality. Potentiality is already given but is concealed without revealing its creative ability. We can discover its value only when we listen carefully to its voice with interest. Creation at this time can be regarded as a leap of life as a phenomenon that springs from the potentiality of a thing. The world and things are organisms that are in dependent relation. Thus, potential organisms display the continuity of another potentiality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of leaping life forms. And, something potential lies in diverse zones of time. The sea of potentiality consists of infinitely spread pleats with various singularity and swelling memories in the layers of time. This work generates an expansion of expression in the process of working while facing things with unfixed ideas. Potentiality in things is represented in diverse ways. As a potential thing reveals in a concealed state, a thing itself is poetic and a poet itself can be seen to be a potential thing. Linguistic expression of potentiality in things is reviewed through a reference to poems associated with the subjects of my works. I have explored aesthetic value of blank and resonance, the form of emptiness, visible and invisible things, and things inside and outside, considering potentiality working together with things and the space surrounding them. My work begins from an encounter with things. Thus, relations with things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my work. We are in relation with the world and things constantly changing by the minute. And, things are mutually related to one another as if they were mirrors to reflect each other. Getting to know the methods of the world and things and processes by which they change is after all a way to gain awareness of myself. Potential things have substantiality and such potentiality becomes divided and realized as difference arises. My work explores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such potentiality and reality. I have dealt with some characteristic aspects in visually representing such things through an analysis of my work. In recent years, I have worked on the themes of “void” and “organism” while trying to clarify the meaning in potentiality of things I have been interested in from my college years. And, my thoughts on “void” have derived from my discovery of fireworks and a little rubber ball. All existing things are not set in stone so they are in void and mutually dependent relations arising from causation. As a result, potentiality arising from such relationships is added to the intrinsic potentiality things have. Things are changed and extinguished every minute while they are reversely or cyclically recreated. Thus, all existing things are in void, which helps get rid of any discrimination and obsession. The work this paper reviews is one holding such meaning and work of solidifying this process. This work is like portraying void while erasing void. I consider my relationships with things, potentiality, and the concept of void and organism while examining the subject matters of my paintings such as chandeliers, ball and girl, roe deer, Gotjawal, and grapes on a plate. A chandelier whose color is faded is represented with musical notes in ink on paper. Things seen from diverse viewpoints and at various points in time are depicted with ink effects created by controlling the ink tonality and collage on traditional Korean paper. A ball may enter into an organic relation as it is a plaything that moves through space when it bounces somewhere. I am inspired by this ball whose inside is empty and its Korean pronunciation “gong” (공) is the same with “void” (공, 空). The gray worn-out rubber ball I found by chance on a walk is depicted in painting as the first child among 13 children in Crow’s Eye View, a poem by Yi Sang. This ball also appears in a painting featuring a girl who plays with it at Gotjawal. I try to represent what I want to say with pictures by dying the scene with tea to feel like hanji and collaging envelopes on paper. A grape looks like a ball and innumerable grapes are dangling from stems. These are also organic forms. However, shrunken grapes and skinny branches are reminders of void. Grapes are painted on the surface of collaged paper pieces or depicted to look like flowing down on the surface of collaged envelopes. This stands for the process of extinction and the cycle of life. Putting pieces of paper is made by repetitive actions that can be regarded as those of practicing the path of enlightenment. This process of repetitive actions is by no means mechanical, meaningless use of time. Any repetition brings about some difference. When pieces and grapes gather, they form one second, one minute, one day and one year. What’s portrayed in my paintings is different time. Grapes are illustrated like beads I played with as a child and skinny branches of grapes ae depicted as if they are engraved in a snowfield. This is both the dimension of remembering childhood and the dimension of portraying an aspect in the future. All is destined to change and die but it will become something new. I have painted pictures on pleated hanji since my college years: this painting work became concretely meaningful when I began painting grapes. I previously used visual and tactile aspects in my work while I presently consider the organic relations among the time and spac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eeing the features of pleats as the potentiality of things. I have realized this pleat work has possibilities to diversely develop in terms of form, size and meaning. A sketch book is also based on the same context in that it can unfold and create space and time. Some of my paintings have also been inspired by literature, music and film. This thesis defines these works as a visual manifestation of organic thinking. This is dedicated to diversifying the content of my work and deepening my thought. Undetermined time alongside undetermined space is opened by my heart, another’s heart, an unfamiliar space's familiarity, a familiar space’s unfamiliarity, things that are different from yesterday and potentiality. Just as the thing of a ball with potentiality reveals itself in the world, I will more sincerely work and consistently open up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while visually expressing potential things as void and organisms.;본 논문은 세계에 내재한 사물의 존재 방식에 대한 사유와 잠재성의 인식을 통한 시각적 표현을 논의한다. 본인의 작업은 일상생활에서 마주하게 되는 사물들에 관심을 갖고 그에 따른 깊은 정감에 의한 대화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며 존재를 확인하고 잠재성을 열어 보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한 순간도 멈추지 않는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공(空)의 관점에서 조명할 수 있으며 존재들은 보이지 않는 힘으로 연결되어 인연으로 만나고 헤어지는 연속성 안에서 상호작용하는 유기체(有機體)이기도 하다. 본인에게 있어 공(空)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탐구는 몇몇의 각인된 사건들이 중첩되면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건들을 종적, 횡적으로 따라가다 보면, 사물은 서로서로가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그 관계에서 오는 변화의 과정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계임을 알게 된다. 따라서 본인의 작업이 사물의 생성, 소멸, 변화하는 순환의 구조와 잠재성을 표현하는 것이므로, 공(空)과 유기체로서의 잠재적 사물 형상화론에 대한 연구는 작업의 내용과 형식의 기반을 확고히 하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불교에서는 인연에 의해서 생기(生起)하는 모든 존재를 공(空)이라고 한다. 또한 일체현상의 생기소멸(生起消滅)의 법칙을 연기(緣起)라 한다. 그러므로 대립적으로 생각되던 수많은 것들이 실제는 모두 동등한 것이 된다. 이것을 일즉일체(一卽一切) 일체즉일(一切卽一)이라 하여 전 우주로서 하나의 사물이 성립되고 그 결과 우리가 인식하는 하나의 사물 안에는 전 우주가 내재되어 있으니 사물을 연기(緣起)의 법으로 삼게 된다. 이것은 우주만물이 하나의 몸, 하나의 생명이라는 인드라망을 떠오르게 하며 서로를 비추는 구슬로 말미암아 부분과 전체가 상호 침투되고 세계의 존재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조화로운 삶이 유지되도록 하는 반성과 발전의 방향을 제시해준다. 우주연기의 주체는 특정한 사물이 아닌 그 무엇이든지 가능하며 모두를 합당한 모습으로 보고 다 같이 끝없는 시간과 공간에서 서로가 원인이 되고 대립하지 않으며 주객의 차별 없이 조화를 이룬다. 이것을 무진연기(無盡緣起)라 하며 끝없이 중첩되어 있는 우주 만물이 서로 무한한 관계를 맺고 얽혀있는 연기적 실상을 중중무진연기(重重無盡緣起)라 한다. 따라서 연기설은 삶에서의 관찰과 경험에 의해 체험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로 볼 수 있다. 존재와 세계의 실상은 우리의 체험으로 말미암아 획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예술 창작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대부분 신화나 우언(寓言)의 형태로 구성된 『장자』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그러나 신화나 우언은 대개 유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그 속의 의미는 결코 가볍지만은 않다. 이를 매개로 하여 상상력 이상의 정신의 해방, 심미적 인생관, 심미대상의 확장이 가능하고 세계와 사물의 신비하고 오묘한 조화를 일깨우게 한다. 이것은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의미와 상통한다. 장자의 소요자적(逍遙自適)하는 소요의 정신은 자유의 경지를 추구하여 세계와 사물의 열림을 체험하게 하는 동력이 된다. 완전한 자유로의 추구는 불교에서의 해탈과도 연관되며 인생의 허무, 불안, 죽음 등 우리를 두렵게 하고 머뭇거리게 하는 것들로부터 해방의 시간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그것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함께 나아가는 것으로 여기게 한다. 낯섦이 낯설지 않고 친숙함이 더 이상 친숙하지 않게 되는 그 순간 잠재성이 열리고 또 다른 세계를 맞이하게 된다. 잠재적인 것은 현실화되기에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다. 왜 이 사물은 존재하는가, 그리고 다른 방식이 아니라 왜 이렇게 존재하고 있는가를 생각한다면 우리는 한 층 더 사물의 잠재성에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잠재성은 이미 주어져 있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속에 숨어 있는 성질로서 창조적인 역량을 가진다. 따라서 그것에 관심을 갖고 귀 기울여야만 그 가치를 발견해 낼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창조는 사물의 잠재성에 의해 드러나는 현상으로 생명의 도약이라 할 수 있다. 세계와 사물은 끊임없는 관계 맺음으로 생성되고 소멸하는 연기적 유기체이다. 따라서 잠재적 유기체는 도약하는 생명들 간의 관계성에서 오는 또 다른 잠재성의 연속적인 발견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잠재적인 것은 다양한 시간 선들의 공존을 가능하게 한다. 다양한 특이점들을 가지고 그것을 펼치고 접으면서 무한히 나아가는 주름과 켜켜이 쌓이는 시간의 층위와 함께 부풀어 가는 기억은 잠재의 바다를 이룬다. 이것은 고정되지 않은 사유로 사물을 마주하고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표현의 확장을 일으키는 작용을 한다. 사물의 잠재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잠재적 사물은 숨은 채로 드러나 있어 그 자체가 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시 또한 하나의 잠재적 사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인의 그림 주제와 연관되는 시를 언급하여 사물 잠재성의 언어적 표현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물의 잠재성은 사물을 포함한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공간 모두가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여백과 공명, 공(空)의 형상,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안과 밖의 시각적 표현의 미학적 가치를 탐구하였다. 본인의 작업은 사물과의 만남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사물과의 관계는 본인의 작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와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물과 관계한다. 그리고 사물은 서로가 서로를 비추는 거울과 같이 연관되어 존재한다. 세계와 사물들의 존재 방식과 변화의 과정을 알아간다는 것은 결국 나를 알아가는 것이 된다. 잠재적인 사물은 그 자체가 충만한 실재성을 갖고 있으며 잠재성은 분화하면서 차이가 발생하고 현실화되기에 이른다. 작업의 과정은 이러한 잠재성과 현실성이 주고받는 역동적인 관계에서 이루어진다. 본인은 이러한 사물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있어 특징적인 면들을 작품분석에서 다루었다. 최근 몇 년간 ‘공(空), 유기체(有機體)’를 주제로 작업해 왔는데 이것은 학부시절부터 관심을 가져온 사물의 잠재성과 그 의미가 구체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공(空)에 대한 사유는 불꽃놀이와 하나의 작은 고무공의 발견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고정 불변하지 않기 때문에 공(空)하며, 연기(緣起)에 의해 생성 소멸하는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이룬다. 따라서 사물은 고유한 잠재성 외에 관계에 의해 생성되는 잠재성이 더해지게 되는 것이다. 사물은 영원히 머물러 있지 않고 순간순간 변화하고 소멸한다. 그러나 역으로 사물은 생성, 순환한다. 따라서 존재하는 것은 공(空)의 의미를 갖으며 이로 인해 분별과 집착은 사라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 살펴보는 작업은 이와 같은 의미를 내포하며 그것을 공고히 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화면에 하나의 공(空)을 그리면서 하나의 공(空)을 비워나간다. 본인의 그림에 등장하는 소재인 샹들리에, 공과 소녀, 노루, 곶자왈, 접시 위에 올려 진 포도, 그리고 그 밖의 몇몇 사물 작업을 살펴봄으로써 나와 사물과의 관계, 사물의 잠재성, 그리고 공(空)과 유기체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오랜 세월에 빛이 바랜 샹들리에를 장지에 먹판 드로잉을 통해 떨어지는 음표로 표현 하였으며, 한지의 앞과 뒤에 드로잉하고 발묵 기법, 콜라주 기법 등을 응용하여 다양한 시간과 시점에서 바라본 사물의 모양새를 표현하였다. 공은 어디론가 튕겨져 나가기 때문에 공간의 이동과 함께 주고받는 놀이 기구로써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며 또한 속이 비어있고 공(空)과 동음이의어로써 본인에게 다각적인 영감을 부여한 사물이다. 산책을 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버려진 낡은 회색의 고무공은 이상의 시 ‘오감도’ <시제1호>에 등장하는 13인의 아해로 처음 그림으로 표현되었으며 그 이후 곶자왈에서 공을 튕기며 노는 소녀와 유희를 하는 공으로 나타나게 된다. 화면은 홍차 물을 들여 빛바랜 한지의 느낌이 나도록 하기도 하고 장지에 봉투를 콜라주하여 본인이 봉투에 갖는 의미인 시간과 공간의 교차를 통해 전하고 싶은 말을 그림과 함께 표현하려 하였다. 그리고 포도 알맹이는 그 모양새가 공과 비슷하며 하나의 가지에 수많은 알이 달려 있어 이 또한 유기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알맹이가 빠지고 남겨진 쪼그라든 껍질, 앙상한 가지는 공(空)을 생각하게 하였다. 그러한 포도를 속지를 잘게 자르고 콜라주한 화면 위에 그리거나 봉투를 콜라주하여 흘러내리는 바탕 칠 위에 역시 흘러내리게 그렸다. 그것은 사물의 소멸의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생명의 순환을 의미한다. 끝날 것 같지 않은 속지의 붙여나감은 반복적인 행위이면서 수행의 시간을 갖게 하였다. 반복적인 행위의 과정은 결코 기계적이거나 무의미하게 흘려보내는 시간의 사용이 아니다. 반복은 차이를 낳고 하나의 조각, 하나의 포도 알은 모여서 1초가 되고 1분이 되고, 하루가 되며 일 년이 된다. 모두가 다른 날들이 화면에 그려진다. 포도 알을 어릴 적 가지고 놀던 고운 색의 구슬과 같이 표현했고 앙상한 포도 가지는 하얀 눈밭에 각인되듯이 그렸다. 이것은 어린 시절을 기억하는 차원이기도 하고 미래의 모습을 그리는 것이기도 하다. 모든 것은 변화하고 사라지기 마련이지만 또한 그 무엇인가로 다시 만나게 될 것이다. 학부 시절부터 지속된 주름 잡은 한지에 그림을 그리는 것은 포도를 그리면서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갖게 되었다. 예전에는 주름을 시각적인 면과 함께 촉각적인 면에 있어 관심을 가지고 작업에 활용한 측면이 컸다면, 최근에는 주름의 특이점들을 사물이 갖는 잠재성으로 보고 과거와 현재, 미래의 시간과 공간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무한히 펼쳐나가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형태와 크기, 의미 면에서 주름 작업은 앞으로 다양하게 발전시켜 나아갈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화첩도 주름 작업과 다르지 않은데 접고 펼칠 수 있는 시간과 공간, 풍경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미술 도구로써 그 활용도를 충분히 확장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인은 문학 작품이나 음악, 영화 등에서도 영감을 받아 작업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회화 작품을 유기적 사유의 시각적 발현이라 하였다. 이로 인하여 작업의 내용은 다양성을 갖게 되고 사유는 깊어지게 된다. 나의 마음, 타인의 마음, 낯선 공간의 친숙함, 친숙한 공간의 낯설음, 어제와 다른 사물에 대한 잠재성은 미결정된 시간을 연다. 더불어 미결정된 공간을 연다. 잠재성을 가진 ‘공’이라는 하나의 사물이 시간을 거슬러 올라와 세계 속에서 자신을 드러내며 자유로운 창조의 길을 만들어 가듯이 앞으로 공(空)과 유기체로서의 잠재적 사물을 형상화하는데 있어 폭 넓은 식견을 가지고 더욱 진지하게 작업에 다가가며 꾸준히 세계와 소통의 장을 열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3 Ⅱ. 세계와 관계하는 사물의 존재 방식 8 A. 연기적(緣起的) 유기체 세계 8 B. 공(空)의 관념과 세계사물주체의 존재론 16 1. 세계의 공: 분별없는 세계 18 2. 사물의 공: 존재의 묘유(妙有) 22 3. 주체의 공: 내적 자유의 표상 30 Ⅲ. 사물과 사물의 조우 38 A. 존재의 열림 38 1. 장자의 입장에서 본 유(遊)의 의미와 예술 38 2. 고정된 사유의 해체 49 3. 차이와 상생 55 4. 실천 활동을 통한 자유창작의 경지 58 B. 잠재성의 인식 62 1. 잠재성의 현실화 63 2. 접기와 펼침: 주름 67 3. 시간의 축적: 공존 75 Ⅳ. 발화하는 사물의 잠재성 80 A. 사물과 기호: 드러나는 사물 80 B. 사물의 소리 90 1. 공간: 여백의 현상 90 2. 소리: 공명 99 C. 공(空)의 형상화 104 1. 공(空)과 물방울 104 2. 안과 밖 111 Ⅴ. 공(空)과 유기체로서의 잠재적 사물 형상화 116 A. 잠재적 사물 116 1. 일상에서 마주한 사물: 사물에 대한 생각 117 2. 안녕하세요: 언어에 대한 생각 157 B. 시간과 공간의 교차 166 1. 반복적 행위의 의미 166 2. 공(空)의 사유를 통한 생성과 소멸의 콜라주 169 3. 접기와 펼침을 통한 무한성의 유희 177 C. 유기적 사유의 시각적 발현 186 1. 언어 기호의 회화적 공명 187 2. 영화적 기호의 회화적 아날로지 206 Ⅵ. 결론 212 참고문헌 216 ABSTRACT 2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477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공(空)과 유기체로서의 잠재적 사물 형상화론-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 Projection of Potential Things as Void and Organisms-
dc.creator.othernameHwang Hyun Sook-
dc.format.pagexiii, 227 p.-
dc.contributor.examiner김보희-
dc.contributor.examiner오숙환-
dc.contributor.examiner최기숙-
dc.contributor.examiner이종목-
dc.contributor.examiner송희경-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