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국내 여성 패션브랜드의 베이직 컬러 기획에 관한 연구

Title
국내 여성 패션브랜드의 베이직 컬러 기획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asic Colors Planning of Domestic Women's Fashion Brands
Authors
주형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패션브랜드에서 활용되는 베이직 컬러는 매 시즌에 일정 이상의 빈도로 제안되며 검증된 판매실적을 가져오는 컬러군으로서 소비자는 코디가 용이하고 편안한 컬러를 구매하려는 심리가 있기 때문에 폭 넓은 지지를 받는다. 패션브랜드의 입장에서는 제품 이미지와 브랜드의 베이직 컬러로 전달 할 수 있는 상징적 이미지가 부합될 때 브랜드와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져 브랜드의 이윤창출에 있어서도 주요한 컬러이다. 반면, 베이직 컬러의 과다한 사용은 패션에서 새로움이라는 중요한 속성을 간과할 수도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차별화된 니즈를 반영하고, 브랜드의 가치가 고려된 베이직 컬러 기획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에서 활용되는 정성적, 정량적 특성이 반영된 베이직 컬러의 개념적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컬러기획 프로세스와 연관지어 베이직 컬러의 현상적인 속성을 규명함으로서 패션브랜드의 베이직 컬러(Basic Color) 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컬러기획 체계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컬러기획 프로세스 단계에서 도출된 베이직 컬러의 특성과 제품컬러의 실적데이터 분석과 베이직 컬러의 색속성 변화추이 분석을 통해 도출된 베이직 컬러의 정량적 특성을 교차 분석하여 패션브랜드에서 활용되는 베이직 컬러의 실제적인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규명된 패션브랜드에서 베이직 컬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브랜드에서 활용되는 베이직 컬러는 프로세스 전 단계에 걸쳐 단계 별 특징과 부합되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브랜드별 베이직 컬러 기획 프로세스 단계별 업무에 있어, 베이직 컬러가 관여되는 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베이직 컬러는 브랜드의 정량적인 판매실적과 연관되어 브랜드에서 선호하는 베이직 컬러의 범주에 대한 논의가 있는 전년도 컬러리뷰 단계와 시즌 컬러기획이 실행되는 소재·제품 컬러 발주단계에서 관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컬러기획 프로세스에서 세분화되어 관리되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베이직 컬러(basic color) 기획에서 있어 브랜드 별로 베이직 컬러를 적용하는 기준은 차이를 보였다. 브랜드 Ⓐ는 브랜드 정체성이 반영된 아이덴티티 컬러의 영향으로 브랜드다운 베이직 컬러로 접근하게 된다. 브랜드 Ⓑ의 베이직 컬러는 기획 가이드라인에 따라 프로세스 전 단계에 걸쳐 베이직 컬러가 관여되는 비율이 정해져 있었으며, 브랜드 Ⓒ에서는 시즌 트렌드 컬러 경향이 기준이 되어 베이직 컬러의 휴와 톤, 출현빈도율의 변화가 매 시즌 다른 모습으로 보여진다. 셋째, 베이직 컬러는 정량적인 실적데이터에 의해 일차적으로 범주화되며, 색명으로서 고유한 범주가 있었다. 시즌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봄/여름 시즌은 Beige, Black, Navy, Grey, White, B이며, 가을/겨울 시즌은 Grey, Black, Beige, Navy, Brown으로 구분되었다. 각각 시즌 컬러 구성에서 높은 빈도율 분포를 나타냈으며, 브랜드의 시즌 평균 판매실적 이상의 검증된 판매실적을 나타냈다. 브랜드별 색명으로서 베이직 컬러의 큰 범주는 차이가 없었지만 브랜드에서 선호하는 브랜드 컬러는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컬러들은 고유한 휴와 톤의 범주를 가지며 브랜드 아이덴티티 컬러로서의 역할하고 있었다. 넷째, 브랜드별 베이직 컬러의 연도별 빈도분포에서 특징적인 변화추이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안정된 빈도분포 추이를 보이는 베이직 컬러와 급격한 빈도분포 변화를 보이는 베이직 컬러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브랜드별 특징적인 빈도분포 변화추이는 패션컬러로서의 베이직 컬러는 매시즌 일정이상의 빈도율로 제안되더라도 전년도 컬러리뷰를 통한 도출된 브랜드의 컬러개념, 시즌 트렌드의 경향과 변화추이에 영향을 받아 다른 양상으로 분포하는 특징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패션브랜드에서 활용되는 베이직 컬러는 독립적인 개념으로 존재하지만 컬러기획 프로세스 상에서 베이직 컬러는 아이덴티티 컬러, 트렌드 컬러와 서로의 영향을 주고받으며 겹치거나 고유한 범주로 존재하면서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실용학문으로서의 패션과 패션색채의 산업현장과 교육현장의 연결고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제적인 업무내용과 현장 데이터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컬러기획 체계화에 기여할 수 있는 패션브랜드의 베이직 컬러 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The basic colors utilized in fashion brands are the color group that are frequently suggested every season and bring about verified sales results. They are widely supported because consumers tend to try to purchase the comfortable colors that are easy to mix and match. From the viewpoint of fashion brands, they are the important colors in creating profits of brands as they well communicate with consumers when product image accords with symbolic images that can be delivered with basic colors of the brands. On the other hand, excessive use of basic colors can ignore the novelty in fashion. So studies for reflecting consumers' differentiated needs and planning the basic colors that consider brand value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build basic data for planning basic colors of fashion brands by suggesting conceptual guidelines of the basic colors that reflect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utilized in fashion brands and investigating and revealing their phenomenal properties. This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systematization of color planning. This study investigated and revealed the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colors utilized in fashion brands through the cross analysis of their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drawn from the analyses on their characteristics drawn from the color planning stage, performance data of product colors, and change in their color proper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colors in fashion brands established through a series of th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colors utilized in fashion brands have found to have an effect that accords with the characteristics by stage on the entire proces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that the basic colors are engaged in business by stage of the basic color planning process by brand. The basic colors have found to show high levels of engagement in the color review stage of the previous year with discussions on their categories that brand prefer being connected to brands' quantitative sales results and the stage to order colors of materials and products that seasonal color planning is carried out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subdivided and managed in the color planning proces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andards that apply the basic colors by brand in their planning. Brand Ⓐ gets to approach the basic colors like the brand being influenced by the identity color that reflects its identity. For the basic colors of Brand Ⓑ, the rate that the basic colors are engaged is fixed in the entire process according to the planning guidelines. For Brand Ⓒ, change in hue, tones, appearance frequency of the basic colors shows different images every season as the seasonal trend colors become the standards. Third, the basic colors are first categorized by the qualitative performance data and there are their unique category as color names.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seasons. The Spring/Summer seasons are Beige, Black, Navy, Grey, White, and B. The Fall/Winter seasons are Grey, Black, Beige, Navy, and Brown. The distribution frequency rate was high in the composition of each seasonal colors. And the verified sales results that are higher than the seasonal average of the brands.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in the basic colors' categories as the color names by brand.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brand colors that the brands prefer. These colors have the categories of unique hue and tones and played the role of brand identity colors. Fourth, yearly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basic colors by brand could grasp characteristic changes. It was classified into the basic colors that show relatively stabled frequency distribution changes and rapid changes of frequency distribution. For these characteristic changes of frequency distribution by brand, the basic colors as fashion colors were characterized by distributing different aspects being influenced by color concepts of the brands, seasonal trends, and changes drawn from the color reviews of the previous year even though the frequency rate which is higher than the average every season every season. Finally, the basic colors had the organic relationships with identity colors and trend colors as they influenced and are influenced by the identity colors and trend colors or exist as the unique category in the color planning process even though they exist by the independent concep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onnecting industrial and educational settings of fashion and fashion colors as practical learning to each other abd build the basic data for planning basic colors of fashion brands which can make a contribution to systemization of color planning by making practical business contents and field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