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중학교 시 교육의 자기평가 방안 연구

Title
중학교 시 교육의 자기평가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lf-assessment method for poetry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Authors
양혜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자기평가는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평가에 참여하는 평가 방법으로 교육의 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표준화된 평가의 대안으로 교육현장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평가 방법이다. 이처럼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며 능동적으로 학습 과정에 참여하는 것을 강조하고 단순히 지식을 수용하기 보다는 직접적인 대화와 경험을 통한 의미 구성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시 교육은 작품에 대한 감상보다 이해 중심으로 변질되어 교수·학습과 평가가 분리된 수업을 해오고 있다. 시 수업에서는 작품에 대한 감상을 통한 작품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평가는 작품에 대한 이해력과 해석 능력에 초점을 맞춰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보다 인지적 특성을 중심으로 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시 교과는 교수 · 학습과 평가가 학습자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통합하여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교수·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대안적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교과와 달리 시 수업은 학습자 스스로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교수 ·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고 나아가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평가할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교수 · 학습을 가능하게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함양되어야 한다. 자기평가는 학습의 전 과정에 대해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대해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하는 평가 방법이기 때문에 시 교육에서 주목할 만한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본고는 교수 · 학습과 평가가 분리된 시 교육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대안적인 평가 방법으로써 자기평가에 주목하였으며, Ⅱ장에서 시 교과의 특성과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자기평가를 재개념화 하여 사용하였다. Ⅲ장에서는 교육현장에서의 자기평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현재 교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시 단원의 자기평가를 살펴보았다. 교과서 분석 결과 2009 개정 교과서 시 단원의 자기평가는 일괄적인 형식과 방법을 보이며 미흡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어 이전의 교육과정 7차, 2007 개정에 따른 교과서 시 단원의 자기평가와 비교 ·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의 자기평가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교과서 자기평가 분석 이외에도 중학교 국어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시 교육에서의 자기평가 활용 실태와 교사들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교과서 시 단원의 자기평가는 문제점이 있고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으며 현장 교사들도 이에 동의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의 자기평가의 재개념화, Ⅲ장의 교과서 시 단원의 자기평가 분석과 중학교 국어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시 교육에서의 자기평가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 Ⅲ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 교육에서의 자기평가 원리와 자기평가의 내용 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하고, 기존의 자기평가 방법과 교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기평가 방법 그리고 교사들이 사용한 자기평가 방법 이외에도 시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자기평가 방법을 고찰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제시한 자기평가 원리와 자기평가 내용 그리고 자기평가 방법을 바탕으로 자기평가 도구를 제시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시 교육의 자기평가 방안을 마련하였다.;Self-assessment is an evaluation form in which the learner participates in the evaluation as a subject. It is an evaluation form that has been highlighted in the education field as an alternative of the standardized evaluation as the paradigm of education changes into the learner centered type. Like this, education emphasizes the learner's self-control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and focuses on the formation of meaning through direct dialogue and experience rather than simply accepting knowledge. However, the poetry education up to now, has sidetracked from the appreciation of the work to the understanding, and th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have been separated in the class. The poetry clas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ork interpretation through appreciation of works, but evaluation is performed by focusing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ability of works. This means the poem evaluation is made mainly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 rather tha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 In particular, because th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of poetry class should be performed by integrating the learner 's cognitive domain and the definitional domain so the alternative approach that integrates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is required. Different from other curriculum,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oetry class should be performed so that learners can appreciate and understand their own works themselves, and furthermore, guidance is needed to evaluate works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To make such teaching and learning possibl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should be fostered. Self-assessment has a notable significance in poetry education because it is an evaluation form that enables learners to check their own learning about the whole process of learning and thereby enhanc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elf-assessment as an alternative evaluation form with the problem consciousness about the poetry education which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are separated. In Chapter Ⅱ, the self-assessment is used after re-conceptualiz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clas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chapter Ⅲ, we examined the self-assessment of poetry unit from 2009 revise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currently used in the classroom in order to figure out the actual status of self-assessment in the educational fiel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book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assessment of poetry unit in 2009 revised textbooks showed one-time forms, and there are many deficient parts, the actual status of self-assessment was figured out in the educational fiel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elf-assessment of poetry unit of textbook revised by 7th educational curriculum, 2007 revision. In addition, other than the self-assessment of textbook, we tried to listen the actual utilization case of self-assessment and various opinions in poetry education by conducting the survey to 40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As a result, it was judged that the self-assessment of poetry unit of textbooks had problems and needed improvement, and it was figured out that teachers agreed to such a fact. In chapter Ⅳ, we tried to prepare the plan for self-assessment in poetry education by reflecting the re-conceptualized self-assessment, the self-assessment analysis on the poetry unit of textbook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implemented to 40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Ⅱ and Ⅲ chapter, the self-assessment principle and the content factor of self-assessment are derived and presented, and other than the existing self-assessment form, the self-assessment form used in textbooks and the self-assessment form used by teachers, we developed and suggested a self-assessment form that can be applied to poetry education. Finally, based on the self-assessment principle, self-assessment content, and self-assessment form presented in this study, self-assessment tools were developed and self-assessment methods of poetry education were prepared so that they could be utilized in the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