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7 Download: 0

중광지곡의 화음구조에 관한 연구

Title
중광지곡의 화음구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ructure of harmony of "Choonggwang"
Authors
정수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국악에서는 그 3요소로 가락, 장단, 시김새를 포함하고 있고, 수직적 울림보다는 선율의 흐름, 장단의 구조와 같은 수평적인 움직임을 중시하여 왔으며, 각 악기의 시김새로 하여금 독자적인 음색을 발현함과 함께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나오는 울림을 고려하였다. 전통 합주곡에서도 수직적으로 서로 다른 음의 결합을 의도하기보다, 악기 간 같은 선율을 연주하면서도 각 악기의 주법과 시김새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다채로운 울림을 형성하였다. 그러한 울림은, 서양음악에서 화성의 좁은 의미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두 개 이상의 음의 결합을 의미하는 ‘화음(和音, Chord)’과는 구분되는, ‘조화로운 음’, ‘어우러지는 음’으로서 ‘화음’을 가지고 있다. 국악의 화음구조에 대해 별도의 정의가 규정되어 지지 않고 있으나, 우리 전통음악 역시 다양한 악기편성에 의한 합주곡에서 다채로운 수직적 울림이 존재하여 왔고, 오늘날 창작음악에서는 전통음악 음계로 구성한 화음이나 서양음악 화음을 차용한 것, 작곡가의 어법에 의해 형성된 새로운 화음의 결합 등 다양한 화성의 형태를 볼 수 있다. 다만 화음의 구조, 화성의 개념이 양악에서 먼저 이론화된 개념이기에 양악에서 가지는 기능화성이나 현대화성의 개념을 그대로 수용하는 형태는 문제가 있으며 전통음악에서 화음현상과 그 개념을 찾고 이를 발전‧확장시킨 것을 오늘날 국악의 화음구조로서 개념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중광지곡(重光之曲)의 수직적 울림을 형성하는 화음구성음의 분석을 통해, 주요 음정 구조와 유형을 살펴보고, 전통스러운 울림의 현상을 개념화해 보는데 있다. 주요 연구대상은 중광지곡(重光之曲) 모음곡-상령산(上靈山)ㆍ중령산(中靈山)ㆍ세령산(細靈山)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上絃換入]ㆍ하현도드리[下絃換入]ㆍ염불도드리[念佛換入]ㆍ타령(打令)ㆍ군악(軍樂)-의 전곡 9곡에서 나타나는 수직적 울림의 화음구조이다. 중광지곡은 대표적인 전통 기악 합주곡이자 악곡 간의 파생, 변주 관계를 가지면서도 악곡 별로 점차 다른 텍스처로 나타나는 음악의 흐름을 보인다. 모음곡을 구성하는 9곡 전곡을 통틀어 화음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우리 전통음악이 내제하고 있는 화음현상을 정량․정성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국립국악원 홈페이지에 업로드 하여 공식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김기수의 편보, 국립국악원 발행의 한국음악 악보집을 활용하여, 오선보의 음들을 기준삼아 수직적 화음구조를 분석한다. 첫 번째, 오선보로 역보한 국립국악원 악보에서 박 별로 출현하는 음을 묶어 음고류 집합이론(Pitch Class Set Theory, 이하 집합이론)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각 음류집합을 구성하는 음과 그 음들이 결합한 구조를 살펴보고, 주요 음정을 찾아내며, 중광지곡에서 나타나는 수직적 화음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두 번째, 중광지곡에서 나타나는 화음현상이 어떤 음악적인 움직임으로 형성되는지 알아본다. 각 악곡의 장별로 시작화음과 끝화음을 살펴보며 구절의 시작부나 종지부에 주로 위치하는 화음은 없는지, 화음현상을 형성하는 요인에는 어떠한 음악적인 어법이 있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움직임은 피리가 끌고가는 주선율과 비교하여 다른 선율음이 어떻게 출현하여 화음을 형성하는지 알아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중광지곡의 화음구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중광지곡에서 수직적 울림을 구성하는 주요 음정은 장2도와 완전4도 음정이다. 박 별로 화음을 이루는 음류집합은 17가지이며, 총 52가지의 음조합으로 화음을 구성한다. 이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주요 음류집합은 (2-2)(02), (2-5)(05), (3-7)(025), (3-9)(027), (4-23)(0257), (5-35)(02479)로, 이들의 음정 구조를 통해 수직적 울림을 구성하는 화음에서 장2도와 완전 4도 음정이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군악은 조가 바뀌면서 출현하는 화음구성음도 이조되어 나타나는데, 음류집합은 상령산에서 출현하는 것과 동일하다. 즉 화음의 수직적 구조는 동일한 것이다. 악곡별로 같은 음류집합의 화음이 나타나는 것은 우리 전통음악의 음계, 음조직을 바탕으로 형성된 화음으로서 같은 구조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2-3)(03), (3-6)(024), (3-11)(037), (4-22)(0247), (4-26)(0358) 음류집합이 위의 음류집합 대비 출현비율은 적으나, 곡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수직적으로 3도가 단독적으로 쌓이는 형태-(2-3)(03), (3-11)(037)-를 비롯하여 3도 음정을 포함하는 음정으로, 다른 음정과 조합하여 비3도 구성의 화음을 지향한다. 셋째, 앞선 음정들로 이루어진 화음은 곡 중에서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타난다. 거문고의 문현을 이용한 살갱, 싸랭, 가야금의 슬기둥과 같은 현악기 주법은 주선율 대비 주로 완전4도, 완전5도, 완전8도 낮게 나타났고, 거문고와 가야금 간에는 장2도가 발생하였다. 피리 주선율이 최저음역대인 Ab에 이를 때 대금은 음역제한으로 인해 Bb음을 지속하면서 장2도 간격이 발생하였다. 관악기군이 지속음을 내는 동안 지속음을 내지 못하는 현악기군이 앞의 음이나 새로운 선율음, 혹은 특정 악기에서 새롭게 짜여진 선율로서 주선율과 다른 음을 연주하거나 대위적인 진행이 나타나면서 서로 다른 음의 결합이 일어나 다양한 음정관계-장2도 아래, 장2도 위 혹은 단7도 아래, 단3도 아래, 완전4도 위 혹은 완전5도 아래, 단6도 위 등-의 화음을 형성하였다. 한편,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관악기군의 시김새 또한 피리 주선율음 대비 장2도, 단3도, 완전4도 간격의 음들이 결합하며 음악적인 밀도를 높여준다. 즉, 화음, 수직적 울림을 구성하는 음은 악기 고유 특성이나 새로운 선율로서 주선율 대비 다른 음들이 덧붙여지면서 화음을 형성하는 유형을 보인다. 이 가운데 화음을 이루는 음이 많다고 반드시 화성적 구조가 두껍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시김새의 위치, 악기 선율 간 대위적인 진행의 출현에 따라 음악의 밀도가 변하고 있다. 넷째, 상령산에서 가락덜이까지 유니즌의 출현비율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유니즌의 출현비율은 상령산 제 1장에서 38%로 가장 높고 가락덜이에서는 20%정도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우리 전통 합주곡의 선율진행이 대부분 유니즌, 혹은 옥타브 중복으로 이해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이다. 실제 화음이 있으나 청감상 유니즌 위주로 들렸던 것은 주선율을 끌고 가는 피리의 음색이 주도적으로 들리고, 규칙적인 패턴이 느껴지는 화음이 아닌 선율의 흐름에 협화적으로 부가된 화음구성음이 자연스럽게 전개되면서 그 음들이 주도적으로 들리지 않았을 것이다. 앞의 곡들의 텍스처와 달리, 상현도드리 이하 곡들은 악기 간 선율은 유니즌을 위주로 진행하고 있으나, 단위박 안에서 선율의 움직임이 늘어나면서 시김새가 아닌 선율 움직임에 의해 박 내 화음을 구성하는 음이 늘어난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장 별 시작화음은 곡 내에서 장 별로 특정한 규칙이 없이 개별적으로 나타난다. 끝화음은 상령산에서 가락덜이까지는 한 음으로 수렴하려는 경향이 나타났고, 짧은 꾸밈음으로 인해 2음군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상현도드리에서 군악까지는 장에 따라 같은 종지음으로 끝나지만 시김새가 다르게 덧붙여지면서 서로 다른 음류집합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것은 양악의 화성이 가지고 있는 주종관계에 의한 시작화음과 끝화음이 정해져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수직적인 울림은 장2도와 완전4도가 결합한 화음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선율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피리가 끌고가는 주선율음에 장2도, 단3도, 완전4도 음정의 음이 부가되면서 형성되었다. 주선율을 중심으로 악기군이 대부분 같은 선율을 연주하고 있으나, 거문고의 문현이나 가야금의 슬기둥과 같은 현악기 주법, 관악기군의 시김새, 부분적으로 악기들 간에 대위적인 선율 진행, 즉 시차를 가진 선율 단편들이 겹치면서 서로 다른 음의 결합이 일어난다. 화음을 이루는 음이 많다고 반드시 화성적 구조가 두껍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시김새의 위치, 악기 선율 간 대위적인 진행의 출현에 따라 음악의 밀도가 변하고 있다. 이상으로 전통음악의 화음현상을 밝히고자, 중광지곡의 화음 구조 분석을 통해 ‘어우러지는 음’들의 주요 음정 구조, 형성, 분포를 살펴보았다. 여러 음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다음성의 개념, 전통음악에 대한 화성적 접근, 국악 화성에 대한 필요성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있고, 오늘날 음악환경에서 화음은 창작의 주요한 소재 중 하나이다. 국악창작곡에서 한국적인 화음구조를 설계하는 데 있어, 다양한 전통곡에서 나타나는 화음 구조에 대한 이해가 밑받침된다면, 보다 우리 울림의 색채를 담은 곡을 작곡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수직적인 화음구조를 중심으로 다루었다면, 향후 수평적인 관점에서 울림의 현상이 어떻게 진행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후속 연구로 진행되길 바란다. 또한, 보다 다양한 전통합주곡에서 나타나는 우리만의 화음현상을 밝히는데서 나아가 창작관현악곡에서 나타나는 전통적인 화음어법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길 바란다.;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find out the vertical structure and types of harmony of Choonggwang and to conceptualize the phenomenon of traditional sonority. Korean Music in tradition have been including melody, jangdan, sigimsae as three principle elements. It had set much value on horizontal movements such as the flow of melody, structure of jangdan. Sigimsae of each instruments revealed characterful tone colors and natural sonority. Whereas the vertical structure of notes had passed over. In Korean traditional ensemble, instruments made varied sonority by playing same tones within the technique and sigimsae of each instruments rather than construct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notes. That is the 'Harmony', harmonious sound, sounds that go together, compartmental meaning of harmony in western music.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on the structure of harmon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there has been vertical sonority or combination by many instruments playing together. Nowadays, there are many types of harmony in new Korean pieces, such as chords comprised by traditional scales, chords borrowed from western music, chords formed in new way by composers. Not just accepting chord and harmony of western music, but finding and developing the harmon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conceptualizing is needed. On the basis of this point, this study researched all nine pieces-Sangryoungsan, Jungryoungsan, Saeryoungsan, Garakdeori, Sanghyundodeuri, Hahyundodeuri, Yeombuldodeuri, Taryoung, Gunak-of Choonggwang. Using the score uploaded and offered on website of National Gugak Center, notes on staff notation is analyzed in two points of view. First, using Pitch class set theory, structure how the tones are combined, principle interval included in the sonority is found from the notes grouped by standard beats. Second, researching musical movements that forms the harmony by notes different from the melody of piri which is leading melody of the piece. Through the study, I have found followings about the structure of harmony of Choonggwang. First, principle intervals that construct the vertical sonority are major 2nd and perfect 4th, through the piece. Here, the vertical sonority means similar to chord in each standard beat. 17 pitch class set found within 52 kinds of note groups. Pitch class set of (2-2)(02), (2-5)(05), (3-7)(025), (4-23)(0257), (5-35)(02479) appeared most, refered to notice of major 2nd and perfect 4th. Appearance of all same pitch class set can be understand as the group of notes in a beat, or the chord is organized based on Korean traditional scale. Second, not as much as upper pitch class set. but pitch class set of (2-3)(03), (3-6)(024), (3-11)(037), (4-22)(0247), (4-26)(0358) come out few times, consistently through the piece. Including the set of interval of 3rd only-(2-3)(03), (3-11)(037), other are chords with 3rd and non-3rd intervals, aim at non-3rd chord. Third, harmony is formed by following movements of instruments. Playing technique of String instruments-Salgang, Ssarang using mun-hyun of Geomungo, Sulgidung of Gayageum-placed perfect 4th perfect 5th, perfect 8th lower than main melody of piri. Major 2nd revealed between Geomungo and Gayageum. Daegeum continued Bb note while piri moved to Ab, major 2nd lower note than Bb, because of the range of the instrument. When wind instrument played long notes, string instruments add melodic tones as they cannot keep the long note. Newly created melody come out with Major 2nd up or down, minor 3rd down, pefect 4th or perfect 5th down, minor 6th down, minor 7th down than main melody of piri. Sigimsae or Jangarak on wind instruments had major 2nd, minor 3rd, perfect 4th intervals, occuring consistently. Inherent character of instrument, new melody, contrapuntal movements form harmony, combining different notes to main melody of piri. Not the amount of different notes combined, state of sigimsae, contrapuntal progression change the texture and density of music. Fourth, ratio of appearance of unison decreased from Sangryoungsan to Garakdeori. 38% revealed in Sangryoungsan, while 20% revealed in Garakdeori. The numerical value is lower than expected as it has been known as melody progression in traditional ensemble is mostly in unison, or octave doubling. It might be felt like unison as the piri leads the main melody in loud sound level, and other tones are added consonantly, progressed naturally without regular pattern. From Sanghyundodeuri to the last piece, most melodies of each instrument go together in same note, unison. But more movements in a beat made the combination of other tones. Not sigimsae, but the movements of melodic tones formed harmony in standard beat. Fifth, starting chord of each 'Jang'(sectional unit) revealed separately with no coherence. And the last chord in Sangryoungsan to Garakdeori aimed to gather in a note or with short grace note it formed dyad. From Sanghyundodeuri to Gunak, some section had same last tone in melody but with varied sigimsae, different pitch class set revealed. Different from western traditional harmony which had the relation or function of master chord and others, such relation does not exist. In this dissertation, to find out the phenomenon of harmony in Korean traditional ensemble, I researched the structure, formation, distribution of harmonious sound by analysis of structure of harmony of Choonggwang. Mehrstimmigkeit which refer to existence of many notes, harmonic approach to traditional music, necessity of harmony of Gugak is presenting by many scholars, and the harmony is one of important material in composing new music nowadays. Basis on understanding of harmonic structure in many traditional works, creation will have more sincerity of our sound, designing Korean harmonic structure in new Korean musical works. As this study deal with vertical structure mainly, for the next study, hope to research how sonority is form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horizontal viewpoint. Also, hope to find out the harmony in various traditional ensemble. Moreover, how traditional harmony reflected in newly created Gugak Orchestral work, nowad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