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자막의 형태와 노출 빈도가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듣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막의 형태와 노출 빈도가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듣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put Enhanced L2 Subtitles and Frequency of Exposure to Listening Input on Incident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Listening
Authors
홍예화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put enhanced L2 subtitles and frequency of exposure on incident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listening. Sixty two Korean university students from two different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Many of the studies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re focused on learning through reading, but there are relatively a small number of studies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rough listening despite of the fact that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allows easy access to authentic audiovisual materials. Also, there are even fewer studies exploring the factors that affect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rough listening such as input enhancement or frequency of exposure. Several studie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measure vocabulary knowledge with the test in both written and aural form. This is because students are exposed to listening input and reading input at the same time when they watch videos with subtitles. However, previous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put enhanced L2 subtitles on vocabulary learning through listening measured vocabulary knowledge only with written form of test. In this study, vocabulary knowledge was measured by presenting students with vocabulary tests both in written and aural form, which is expected to help to find out more precisely how effective it is to utilize input enhanced L2 subtitles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 of standard L2 subtitles to that of input enhanced L2 subtitles, keyword subtitles, and frequency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for experiment. One was presented with standard L2 subtitle watching video clips twice. Another was presented with standard L2 subtitles watching video clips four times. Another was presented with keyword subtitle watching video clips twice. The other was presented with keyword subtitle watching video clips four times. After the treatment, each group took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and vocabulary test successively. Existence of vocabulary test was not notified in order to make sure that vocabulary acquisition occurred incidentally. After finishing all the tests,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aimed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on usefulness of subtitles and the number of repetition in vocabulary learning.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 of aural form recognition test between groups who were provided different subtitles. Keyword subtitle group got higher scores than standard subtitle group. This result indicates that keyword subtitle is more effective than standard subtitle when it comes to recognition of aural form of vocabulary. Even though keyword subtitle group was better on written form recognition test too,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st result between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result of meaning recognition test both in aural and written form. Also,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 of vocabulary test between groups who were exposed to listening input with different number of repetition. The test results were rather inconsistent in that two groups have similar mean scores on form recognition test, but the group who watched video twice was better on meaning recognition test. This indicates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exposure doesn’t ensure more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listening. Lastly, students’ perception on usefulness of subtitles and multiple exposures in vocabulary learning was not affected by type of subtitles and the number of exposure. In other words, students considered keyword subtitle as useful as standard subtitle even though keyword subtitle consisted of only 17-18 percent of words from standard subtitle. Also, students didn’t think that more exposure to input was not useful for learning vocabulary. For the open-ended question asking advantage of using subtitles, most of students said that subtitles help them to comprehend listening. More students in keyword subtitle group said that subtitles help them to recognize spoken words. For the disadvantage of using standard subtitles,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reading subtitles make them ignore listening at times.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verage mean score of all participants in meaning recognition test was over 13 out of 25 target words, which suggests that student acquired more than half of target words in terms of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through listening. Also, under the condition of keyword subtitle, students were better on spoken form recognition than standard subtitle was provided. Therefore, exposing EFL learners to authentic video with keyword subtitle would help them to recognize spoken word form, which lead to not only vocabulary acquisition but also development in listening skills.;모국어 학습에서 대부분의 어휘가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등을 통해 우연적으로 습득 되는 것처럼 제 2외국어 학습에서도 다수의 어휘들이 우연적으로 습득 될 수 있다. 특히 듣기는 어휘 학습에서 주요한 학습 자료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실제적 듣기 자료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해주었다. 더불어, 듣기 자료와 함께 자막을 제공할 경우 발화 속도와 실시간 입력처리에 따라오는 인지적 부담을 줄여 줄 수 있어 어휘학습 자료로서의 듣기의 이용 가능성은 더욱 확대 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자막의 언어의 차이에 따른 어휘학습에서의 효과차이를 주로 살펴보았으며 핵심어 자막처럼 자막의 텍스트 입력을 변형하여 제공했을 경우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자막과 함께 제공하는 듣기 입력은 두 가지 양식의 입력을 동시에 제공받는다는 점에서 사후 어휘 검사 역시 지필과 음성의 형태로 제공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에서는 지필 검사만을 제공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 자막과 핵심어 자막이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지필과 음성 형태의 어휘 검사를 통해 각각 살펴 보고 더불어 입력에의 노출 빈도가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체 자막과 핵심어 자막으로 자막의 형태를 다르게 제시하고 입력에의 노출 빈도를 2회와 4회로 다르게 했을 경우 한국 대학생 EFL 학습자들의 듣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더불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과 효과적인 어휘 교수 방법으로의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2개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62명을 자막의 형태와 노출 빈도의 횟수에 따라 총 4집단으로 구분해 실험을 진행했다. 자막의 형태는 듣기 음성과 자막 텍스트의 언어가 일치하는 전체자막과 전체자막의 텍스트의 양을 줄인 핵심어 자막이 각 집단에 제공되었다. 노출 빈도의 경우 2회와 4회로 구분해 집단 간에 차이를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험 참가 집단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 핵심어 자막을 제공받고 2회 반복하는 집단, 핵심어 자막을 제공받고 4회 반복하는 집단, 전체자막을 제공받고 2회 반복하는 집단, 전체 자막을 제공받고 4회 반복하는 집단으로 구분한다. 실험 참가자들은 듣기 이해 검사를 완료 한 후 사후 어휘 검사지를 제공 받았으며 사후 어휘 검사의 여부는 실험 참가자들에게 사전에 알리지 않고 실험을 진행했다. 어휘 검사가 종료 된 후 실험 참가자들의 인적 사항과 해외 거주 경험 등을 알아보고 실험 처치에 대한 각 집단의 어휘 학습에서의 유용성 인식에 묻는 설문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자막을 제공받았을 때 듣기 입력과 자막 텍스트 입력 모두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모든 사후 어휘 검사지는 음성 형태와 지필 형태로 제공이 되었는데 전체 집단의 모든 음성 형태와 지필 형태 어휘 검사 결과는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는 읽기 입력과 듣기 입력이 동시에 제공 될 때 듣기 입력이 무시 되지 않고 학습자들이 두 개의 입력 모두를 효과적으로 처리한다는 선행 연구의 주장을 뒷받침 해줄 수 있다. 둘째, 텍스트 입력이 수정된 자막과 함께 듣기 입력에 노출 된 경우 학습자들은 전체자막을 제공받은 경우보다 어휘 음성 형태를 더 잘 인지했다. 어휘 형태 인지 검사 결과 음성 검사와 지필 검사 모두 핵심어 자막을 제공받은 집단의 평균이 더 높았으나 음성 검사에서만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자막 텍스트의 양이 적은 핵심어 자막을 제공받았을 때 음성 입력에 더 집중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어휘 의미 인지 검사에서는 음성 검사와 지필 검사 모두에서 핵심어 자막 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지만 집단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노출 빈도의 차이는 듣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노출 빈도에 차이를 둔 집단 간 평균 점수는 어휘 검사지 간에 다소 일관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어휘 형태 인지 검사의 경우 2회 노출 집단과 4회 노출 집단이 유사한 평균을 보였지만 어휘 의미 인지 검사에서는 2회 노출된 집단의 평균 점수가 더 높았다. 이는 듣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에서 단순히 노출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어휘 의미 유추의 촉진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시사해 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핵심어자막을 전체자막만큼 어휘학습에서 유용하다고 여겼으며 노출 빈도에 대해서도 2회 집단과 4회 반복집단이 동일한 수준으로 유용하게 인식했다. 설문 결과 전체 자막을 제공받은 집단이 핵심어 자막 집단 보다 어휘 인지와 어휘 학습 측면에서 자막 사용의 유용성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어휘 인지와 어휘 학습 측면에서 2회 반복 집단보다 4회 반복한 집단이 반복의 유용성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응답했지만 이는 통계상으로 검증되지 못했다. 본 실험연구 결과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듣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학습의 결과 집단의 구분에 상관 없이 학습자들은 평균적으로 목표어의 절반 이상의 어휘를 습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핵심어 자막을 제공했을 경우 음성 어휘 형태 인지 측면에서 전체자막보다 더 효과적이었던 점을 고려해서 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실제적 듣기 입력을 핵심어 자막과 함께 제공한다면 듣기 능력 향상뿐 아니라 부가적으로 어휘 학습의 효과까지 얻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노출 빈도의 경우 어휘 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단순히 노출 빈도의 횟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어휘학습에서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효율성을 고려한다면 자막과 함께 듣기 입력을 제공할 경우 노출 빈도를 2회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