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1 Download: 0

입력과 출력중심의 형태초점 의사소통 수업 활동이 중학생의 영어 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입력과 출력중심의 형태초점 의사소통 수업 활동이 중학생의 영어 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put and Output-based Focus on Form Instruction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Grammar
Authors
정재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입력과 출력 중심, 그리고 입력과 출력 복합 활동의 형태초점 의사소통 수업 활동이 중학생의 영어 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과거 주입식 영어교육의 부작용을 경험하여 현재는 의사소통 중심 영어 교수를 강조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현실적인 상황으로 인해 많은 영어 중등 교육 현장에서는 문법 학습을 위하여 규칙을 명시적으로 설명하고 관련 예문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교사 중심의 전통적인 문법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당 언어의 정확성과 유창성을 균형 있게 학습시킬 수 있는 대안적 교수법으로 등장하여 오랜 시간 연구되어온 형태초점 의사소통 수업은 의미 중심의 학습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학습자들을 언어 형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교수법이다(Long, 1991).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입력과 출력 중심의 형태초점 의사소통 수업활동의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그 동안 입력과 출력 단독 활동을 비교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Cheng, 2002; Dekeyser & Sokalski, 1996; Shin, 2010; Van Patten, 1996; Van Patten & Cadierno, 1993; Yang, 2004) 그 결과가 일치하지는 않았고, 단독활동으로는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의 취지라고 볼 수 있는 학습자들에게 형태에 대한 충분한 주목 및 습득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판단 하에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입력과 출력 활동을 모두 수행하게 하는 복합적인 수업의 효과도 함께 확인해 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 71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총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방법으로는 학습자들을 입력 중심활동 집단과 출력 중심활동 집단, 입력과 출력 복합 활동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 이렇게 네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에 맞춘 활동으로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입력중심활동은 목표언어항목을 굵은 글씨와 밑줄로 강조하는 입력강화 기법이 포함된 읽기지문을 읽은 후 의미 위주 문제에 답하는 활동과 같은 내용의 읽기지문에 본인이 직접 목표언어항목을 찾아 표시하는 활동을 하였고, 출력중심활동은 읽기지문을 읽은 후 목표언어항목을 반드시 사용하여 답할 수 있는 활동과 그림을 보고 목표언어항목을 활용해 영어로 문장을 작성하는 활동을 하게 하였다. 그리고 입-출력활동 집단은 1차시는 입력중심활동을 그리고 2차시에는 출력중심활동을 번갈아가며 하는 방식으로 활동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문법 규칙이 명시된 학습지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실험은 한 차시 당 45분씩 진행되었으며 실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사전설문 및 사전평가를 실시하였고 총 4차시의 수업이 종료된 직후 사후설문과 사후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업이 끝나고 4주 후에 지연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력중심 수업활동과 출력중심 수업활동 그리고 입력과 출력활동을 결합한 형태초점 의사소통 수업활동, 그리고 전통적인 규칙설명식 수업활동 모두 영어 문법학습 효과의 단기적 측면에서 성취도가 향상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이를 이해능력과 표현능력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입력중심 활동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세 집단은 이해능력과 표현능력 측면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다. 집단 간 비교 검증의 사후 분석을 통해 나타났듯이 출력활동을 포함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네 가지 학습활동 중에서 입력과 출력활동을 모두 실시한 형태초점 의사소통 수업활동이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단독활동보다는 두 활동을 병행하였을 때 학습자들이 목표 문법을 더 잘 학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입력중심 수업활동과 출력중심 수업활동 그리고 입력과 출력활동을 결합한 형태초점 의사소통 수업활동은 모두 영어 문법학습의 장기적 측면에서 성취도가 향상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이해능력과 표현능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출력중심활동과 입-출력중심활동의 집단은 이해능력과 표현능력 측면 모두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였으나 나머지 두 집단은 그렇지 않았다. 그리고 이해능력에서 통제집단은 단기적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점수 향상이 있었지만 장기적으로는 그 효과가 지속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장기기억과 관련되어있는 망각 정도를 살펴보았을 때 입력과 출력활동을 모두 실시한 실험집단이 총점기준으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망각이 일어나지 않아 장기적 학습 측면에서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및 문법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있어서 입-출력중심활동을 한 집단이 가장 유의미한 상승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추가 사후 설문의 결과를 함께 보았을 때 통제집단을 제외하고 입력활동과 출력활동 그리고 그 둘을 병행한 수업을 진행한 집단의 학생들은 자신들 스스로 주어진 맥락과 예시를 통해 언어형태에 주목하고 규칙을 찾아내는 과정에 대한 흥미를 보이며 만족감을 드러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목표언어 형태에 대한 배경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중학교 영어학습자라 할지라도 본인들이 배워야할 목표 언어 형태에 주목하여 그 규칙을 발견하는 자기 주도적 과정을 더 선호하며 성취감을 통해 학습동기를 더욱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중학교 영어학습자들에게도 연역적이고 명시적인 규칙설명식 문법 수업이 아닌 의사소통적 상황문맥과 예시를 통하여 목표언어의 형태를 발견, 습득할 수 있는 학습방법이 단기적으로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자유학기제의 도입으로 다양한 수업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 중학교 학생들에게 이러한 입력과 출력을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을 시간적 제약에서 조금 더 벗어나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교사들은 의미 위주의 의사소통 맥락 속에서 문법 항목을 습득하기에 적합하도록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연구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 학습자들은 대체적으로 배우지 않은 내용이라 헷갈리는 부분이 있었던 점을 해당 학습법의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풍부한 예시를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나 학습지가 명시적으로 문법규칙을 확실히 설명해주지 않음에 따른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입력과 출력 중심의 형태초점 의사소통 수업 활동을 중학교 영어학습자에게 적용하고자 할 때 수업의 마무리 단계에서 교사가 학습자들이 습득한 언어 형태에 대한 확인 및 정리를 해준다면 해당 수업활동의 단점이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활동을 언어 형태 교수에 다양하게 적용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중학교 영어 교과 과정의 문법 교수에 있어서 입력과 출력 중심 활동을 활용한 단계적인 과제를 싣고 해당 과제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영역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현 교과서 구성을 더 세심하게 보완해야 할 것이다. 언어형태에 대한 본격적인 학습이 필요한 중학교 영어 교육과정에 의미를 강조한 형태초점 의사소통 학습법의 다양한 활용은 장기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방향이라 보여진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cus on form instruction: input and output-based activity, input-output combined activity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grammar proficiency. Due to the side-effects of previous traditional one-way English education in Korea, current English instruction is focused on communication. However, in reality, because of various situations, many English classes in middle schools are still teacher-centered traditional grammar classes whereby grammar rules are explicitly explained and related examples are provided to the learner for grammar education. Meanwhile, focus on form instruction, which has been long studied as an alternative instruction method that can enable balanced learning of accuracy and fluency of the respective language, is a learner-focused proactive instruction method that overtly draws students’ attention to linguistic elements as they arise incidentally in lessons in which the overriding focus is on meaning or communication(Long, 1991). Among them,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s of input and output based focus on form instruction. Furthermore, under judgment that learners may not have enough chance to perceive and draw their attention on elements just with input and output, this paper compares the effects of combined instruction which requires performing both input and output activity which is relatively less looked at from a research point of view. For such purposes, 71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and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6 weeks. For experiment methods, learners were classified into following 4 groups: input-based activity, output-based activity, input-output combined activity and control group. Then experimental classes were performed with the activities planned for the respective groups. Input-based activity included reading passages that included input enhancement techniques that emphasized target linguistic items in bold and underline and answering questions mainly related to meaning, and indicating the target linguistic items on the same passage. Output-based activity included answering using target linguistic items after reading the passage and picture-cued writing using the target linguistic items. Subjects in the input-output combined activity group engaged in input-based activity for the 1st period, and engaged in output-based activity in the 2nd period, and repeated the 3rd and 4th periods in the same order. Classes for the control group were based on worksheets that explained grammar rules.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was 45 minutes per session. Pre-survey and pre-test was done before the experiment and post-survey and post-test was performed after the 4th period.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final test which took place 4 weeks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put-based activity, output-based activity, input-output combined activity focus on form instruction and the traditional rule-explaining activity all improved the achievement from a short-term point of view for English grammar instruction methods. Also, among the four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focus on form instruction, which implements both input and output based activity, had the biggest effect. Such result shows that input and output-based activity are both needed for drawing attention to and to learn target grammar elements, and that learners can better learn the target grammar when both activities are combined. Second, input-based activity, output-based activity and input-output combined activity focus on form instruc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long-term efficacy of English grammar learning. Among them, the experiment group that performed both input and output activities had the biggest significant effect from a long-term learning perspective. Third, input-based activity, output-based activity and input-output combined activity focus on form instruction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attitude area. Such research results are more evident when seen with the post-survey results. Students who engaged in input-based activity, output-based activity and input-output combined activity showed interest and felt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independently discovering the patterns in the linguistic elements in the given examples and reading passages. The following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grammar education for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learning methods based on discovering and learning the target language elements through communicative context and examples, and not deductive and explicit rule explaining type grammar classes were effective not only in the short term but also in the long term for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who are in an EFL environment. Even if it may be grammar that they have seen for the first time, by performing the given assignments, they understood the patterns and the uniqueness of the linguistic element, and as they were able to systemize it, it was confirmed that such grammar education is possible even for young learners. Also,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semester system, there is the need for instructors to research and develop teaching material that is adequate for learners to acquire grammar items in communicative contexts like in this experiment without simply teaching grammar rules to memorize as it is possi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enroll in various class activities, and as they can flexibly utilize English grammar learning through such input and output without time constraints. Secon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nput based-activity and output-based activity, and input-output combined activity which showed best learning results, have significant learning effects in the long and short term compared to the traditional rule explaining instruction method. However, when learners were asked in the post-survey, they commonly indicated the hardships of the learning method as ‘There were confusing aspects as we did not learn it previously‘. It seems that such issue is due to the uncertainty from teachers or worksheets that do not explicitly explain the grammar rules, although sufficient examples were provided to the learners. Such issues can be modified when applying the input and output-based focus on form instruction suggested in this study to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if teachers could review and summarize the acquired linguistic elements in the wrap-up period of the class. Third, there needs to be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widely applies the focus on form communicative approach according to the different linguistic element teaching methods. If the grammar educational curriculum is studied and revised so that grammar learning is realized together with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nd not as a separate subject, this will suggest a direction in grammar education for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Although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al curriculum tries to focus on communication abilities, as students must pass an entrance exam for college admissions after going through the middle school educational curriculum, English learners at this stage cannot take grammar lightly. In particular, various uses of the focus on form instruction, a type of definition-focused linguistic element learning method, seems to be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al curriculum where serious learning about linguistic elements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