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인출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인출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Retrieval Formats o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apacity to Memorize English Vocabulary
Authors
이정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인출(retrieval)이란 주어진 자극을 통해 관련된 지식을 상기시키는 것을 말한다(Baddeley, 1990). 많은 연구를 통해 인출은 구두 및 쓰기 반복이나 개념 조직자를 활용한 학습 활동보다 효과적인 학습 방법으로 밝혀졌다(Barcroft, 2015; Goossens, Gamp, Verkoeijen, & Zwaan, 2014). 영어 습득 분야에서도 인출을 활용한 효과적 어휘 학습의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영어 학습 시 많은 경우 어휘의 형태와 모국어 의미를 일대일로 대응시켜 학습하는데 인출은 어휘의 형태나 의미 중 하나를 문제로 제시하고 다른 하나를 상기시켜 응답하는 것을 가리키며 여타 반복 학습보다 효과적임이 드러났다. 인출은 효과적인 영어 어휘 학습 방법으로서 주목할 가치가 있지만 아직 국내 영어 교육 분야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드물다. 특히 학습 활동으로서의 인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데 Laufer와 Goldstein(2004) 및 Schmitt(2010)가 분류한 인출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를 비교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인출 유형에 따른 영어 어휘 학습에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어휘 인출 활동과 관련된 실험 연구를 진행하고 그 중 121명에게 설문 조사, 5명에게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먼저 실험 연구에서 피험자들은 글을 읽고 인출을 통해 실험 어휘 20개를 학습하였으며 피험자를 네 집단으로 나누어서 동일한 어휘를 서로 다른 네 가지 인출 유형으로 학습하게 하되 모든 집단이 네 가지 학습 방법을 모두 경험할 수 있도록 활동을 설계하였다. 인출의 유형은 어휘 지식과 선택지의 유무에 따라 의미 재인, 의미 회상, 형태 재인, 형태 회상 유형으로 분류하였다(Schmitt, 2010). 어휘 학습 활동을 마친 뒤 학습한 20개의 어휘에 대해 사후 평가가 진행되었으며 각 단어를 네 가지 인출 유형으로 평가하였다. 활동 직후 즉각적 사후 평가와 4일 뒤에 지연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어휘 인출 활동에 대한 효과 및 유용성에 대해 조사하고 해당 활동의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인출 활동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의견을 도출하여 이를 어휘 인출 활동을 개선하는 데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연구와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출의 유형에 따른 한국 중학생 영어 학습자가 어휘의 장·단기 학습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Laufer와 Goldstein(2004)은 인지적인 노력이 가장 많이 수반된다고 판단한 형태 회상 유형의 인출이 가장 학습 효과가 높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형태 회상 유형으로 학습한 경우 장·단기 사후 평가 중 형태 회상 유형 문항에서 높은 성적을 기록하였지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대다수의 피험자가 인출을 활용한 어휘 학습 활동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실험 연구의 특성상 단시간에 긴 글을 읽고 새로운 영어 어휘 10개를 학습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인출이라는 새로운 어휘 학습 방법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었으며 인출이 영어 단어를 학습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어휘 인출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휘 활동의 장점으로는 어휘가 잘 외워진다는 느낌이 들며 부담이 적다는 점을 들었다. 그러나 글의 난이도가 높아 어휘 학습 시 어려움을 느꼈으며 어휘 인출 문항이 글 속에 포함되어 있어 글 읽기에 방해가 된다는 의견이 단점으로 제기되었다.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 결과를 반영하여 어휘 인출 활동을 설계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참고하기를 권고한다. 첫째, 어휘를 학습할 때 다양한 어휘 인출 유형을 적용해야 한다. 심층 면담 내용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학습 시 경험한 인출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평가 문항에서 부담을 덜 느꼈으며 경험해 보지 않은 인출 유형으로 평가할 경우 불편함을 느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인출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는 크게 차이 나지 않았지만 학습자들이 수용적, 생산적 언어 사용 상황에서 자신감 있고 편안하게 어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인출 유형을 연습하게 하여 학생들의 어휘 및 언어 사용 능력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어휘를 학습할 때 어휘의 발음을 함께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자들은 인출 유형 중 형태 회상 유형 평가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며 철자를 기억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냈다. 비록 본 연구는 어휘의 형태와 의미만을 학습하는 것을 다루고 있지만 이러한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은 학습자들이 철자를 더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어휘의 발음을 함께 제시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앞으로의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어휘 학습 시 인출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활동을 개발하기 위해 인출과 관련된 요인과 인출 유형에 대해 상세하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비교적 높은 학습 효과를 보였던 형태 회상 인출 방법을 수업 시간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연습 간격, 성공률, 인출 유도 방법 등과 관련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실제 수업에서 교사는 구두 지도 및 학습지를 제공함으로써 어휘 인출 활동을 적극적으로 적용 및 지도해야 할 것이다.;Vocabulary can be viewed as the basic building block comprising language communication and, as such, communication in foreign language can be effectuated to some extent via mere listing of vocabularies. While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has already been conducted regarding L2 vocabulary, one area of research that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relates to the concept of “retrieval”, which is a process of recalling stored knowledge.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retrieval promotes long-term memory retention of items acquired through learning process. However, onl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effects of different retrieval formats on the learning of English vocabulary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ous effects that retrieval formats may have o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apacity to memorize L2 vocabulary in terms of both (i) actual effects and (ii) effects as perceived by the students themselves. For this study, one hundred and forty students attending the 3rd year of a Korean middle school were chosen as the participants of an experiment. In the said experiment,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read the 12 sets of text (each containing from one to three target vocabularies)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and subsequently take tests which required the students to retriev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aid reading, if an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thirty five, each of which was taught the first 10 vocabularies in the morning session and the remaining 10 vocabularies in the afternoon session with each session lasting 20 minutes. During these sessions, however, each of the 4 groups learned the same set of vocabularies through different retrieval formats: (i) meaning recognition, (ii) meaning recall, (iii) form recognition and (iv) form recall. Each vocabulary appeared more than three times, in which both the word meaning and form of the vocabularies were shown to the students during the first trial and each of the word meaning and form of the vocabularies was removed during the second and third trial, respectively, so that the students had to recognize or recall the related knowledge based on the limited information provided. After each of the foregoing learning session, the students took an first immediate post-test and a second post-test 4 days thereafter. Both of the post-tests were designed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students’ short-term and long-term retention of English vocabulari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se tests was analyzed by one-way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trieval formats an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apacity to memorize English vocabularies. According to Craik and Lockhart(1972), a more cognitively challenging task promotes efficiency in the learning process. However, while form recall is considered as the most difficult retrieval format, it did not lead to better performance on both post-tests. In addition, according to Smith and Karpicke(2014), the easier it is to retrieve certain knowledge, the higher the chance of retaining the said knowledge. However, while meaning recognition is considered as the easiest retrieval format, no statistic supported its superiority over other formats in terms of vocabulary retention. Second, through a survey, the majority of subjec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e vocabulary retrieval exercise. The perceived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e retrieval activity were supported by more than the half of the subjects regardles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The two most frequently cited benefits of the vocabulary retrieval exercise were its effectiveness in (i) memorizing vocabularies and (ii) preparing for tests. Nevertheless, the students also cited some shortcomings of the memory retrieval exercise, two of which were the fact that (i) the vocabularies were more advanced than their language proficiency level and (ii) they were distracted from the reading during the test. This response indicates that a learning activity is most effective when it is created at a level consistent with the language proficiency level of the learners. Third, based on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of the students subject to the test, the following methods could be further considered in order to make improvements in the learning process: (1) for more effective learning of word orthography, vocabulary should be presented with its pronunciation and (2) more variety of retrieval format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school education to encourage students to better comprehend and use vocabulary with the ultimate goal of preparing them for various real-life situ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retrieval exercise could be an effective and useful learning strategy for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Even though the retrieval formats have little effect on the students’ performance of learning new vocabular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exist some ways to improve form recall format by scaffolding the activity with spelling difficulty and that English vocabulary learning be aided with a variety of retrieval formats. As a further research, the act of retrieval needs to be investigated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other factors such as success rates and difficulty level of vocabula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