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3 Download: 0

내한 여성선교사들의 음악활동과 청각적 근대화

Title
내한 여성선교사들의 음악활동과 청각적 근대화
Other Titles
Music Activities of Women Missionaries and Auditory Modernization in Korea, 1885-1940 : The Case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of the U. S. A.
Authors
김사랑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채현경
Abstract
본고는 구한말부터 일제시기에 걸쳐 여성선교사들의 음악활동이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 추적하고 그 성격을 규명하려는 시도로 일상사적, 문화사적 입장에서 여성선교사들의 음악적 실천을 검토하였다. 이는 지금까지 근대 음악사가 ‘민족’ 및 ‘남성’ 중심의 서술로 주변화 된 여성선교사의 음악활동을 ‘근대화/서구화’이데올로기를 추동했던 당시의 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주요 연구 영역으로 드러내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문화적 ‘외부자’였던 초기 여성선교사들의 눈에 한국인들은 음악적으로도 ‘계몽의 결핍 상태’에 놓여있는 교육이 필요한 사람들이었다. 왕실의 몰락과 일본의 식민지배라는 급격한 정치․사회적 변화 속에서 문명개화에 대한 열망 고조와 교회의 폭발적인 성장이 교차했던 한국의 특수한 상황은 여성선교사들을 서양음악교육의 주체로 만들었고, 이들의 음악적 영향력은 종교적인 의미를 넘어 확대되어 나갔다. 이 과정에서 한국인들과의 음악적인 만남을 통해 몇몇 선교사들은 문화적 감수성을 드러내며 한국적인 음악, 한국인들에게 적합한 노래에 대해 고민하기도 하였고, 때로 서구 음악에 대한 한국인들의 강한 열망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문화전달자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된 채 드러나기도 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일련의 갈등과 교섭, 절충의 과정들이 내부적인 동인으로 작동하여 여성선교사들의 음악적 행위를 매개하였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전제 위에 여성선교사들의 구체적인 음악활동의 양상을 중등학교 교육, 악보 출판과 음반 활동, 엘리트 음악인의 양성과 교류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여성선교사 고유의 활동영역이었던 중등여학교는 서구식 음악교육이 강화되어 전개되었던 교육기관으로, 여선교사들 간의 협력과 한국인과의 공조를 통해 기독인 여성 음악 엘리트를 양성하는 체계를 보여 주었다. 특히, 미션계 중등여학교가 조선총독부와의 정책적인 대치와 갈등 및 협상의 과정 속에서 졸업생들의 일본 내 미션스쿨 진학이라는 고등교육루트를 형성하였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기독교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이른바‘마을(한국)에서 메트로폴리스(일본)로, 다시 마을로’ 라는 식민지적 환경을 활용하는 모습은 일제의 교육 정책에 대한 거부와 대조적인 선택이라는 점에서 선교사들의 입장에 대한 이중적 함의를 갖는다. 교육의 내용은 여성선교사들의 미국 음악문화가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났다. 주로 가창과 건반 위주의 교육이 진행되어 피아노 치며 노래 부르는 ‘근대적 여성의 이미지’를 형성하였으며, 여성 글리클럽의 대외적인 활동을 지원하고 지도함으로써 서구음악이 학교 담을 넘어 근대 문명의 표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장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졸업생들은 다수가 교사의 길을 걸으며 역할 모델이었던 여성선교사들의 음악적 영향을 전유하고 재생산하였다. 여성선교사들에 의해 찬송가 이외의 악보집이 출판되기도 하는 등 그들의 음악적인 영향력은 음악 매체를 통해서도 드러났다. 『챵가집』(1915)은 4, 7 반음정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인들의 가창 관습을 고려한 편집으로 1910년대 선교사들의 음악적 토착화에 대한 방향을 드러낸다. 즉, 한국인의 목소리/연행적 특징을 무시할 수 없는 선교사들에게 악보집은 또 다른 협상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이와 다르게, 『멜로디 웨이』(1924)와 각종 성가집의 번역은 당시 여성선교사들이 적극적으로 미국의 교재를 사용하였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1920-30년대에는 오히려 음악교육 방법론에 있어서 서구화 경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선교 초기와는 달리 3.1운동 이후 문화정책이 열어 놓은 제한적인 자유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신문화’와 ‘신사상’이 유입되는 사회적 변화를 추인했고, 그러한 배경은 여성선교사들의 음악교육 양상에도 변화를 초래하였다고 볼 수 있다. 여성선교사들은 한국의 음악 엘리트 양성의 최전선에 있었으며 그들의 상호적 영향은 다양한 형태의 교류를 통해 지속되었다. 미북장로교 대학인 숭실전문학교의 음악부는 대표적인 한국 초기 음악인 양성의 보고(寶庫)로, 여성선교사들이 교사이자 멘토로 교육에 깊이 개입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들은 한국인뿐만 아니라 재한 일본인, 외국인 등에게 개인적으로 음악을 가르치면서 유학을 위한 중요한 교두보로 역할 하였다. 이는 여성들이 대학의 음악부라는 ‘주변적 공간’과 자신의 집이라는 ‘사적 공간’을 통해 오히려 고등음악교육 기관의 공백을 메워가며 ‘주체적’으로 음악적 영향력을 확대해 갔음을 의미한다. 소리적 영향력이 정치적인 영향력과는 다른 차원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이다. 여성선교사들은 음악엘리트 양성에 그치지 않고 대구합창협회, 서울성가연합, 중앙악우회 등 다양한 모임의 형태로 교류하며 공연 무대를 만들어갔다. 기존의 자료로는 선교사들의 존재감이 잘 드러나지 않았던 이러한 모임들은 단지 사운드를 배우는 수준을 넘어서서 서양음악의 역사를 배우고 성가곡을 번역하는 등의 상당히 폭넓은 활동을 짐작케 한다. 당시 연주와 교육 등 다양하게 활동하던 한국인 음악가 및 아마추어 음악가들과의 교류는 영향력의 파급효과가 훨씬 클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여성선교사들이 음악가로서 공인되는 자리였다. 위와 같이 여성선교사들의 음악적인 다양한 행보는 서구 음악에 대한 한국인들의 열망과 만나 음악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토대가 되었다. 주목할 것은 1920-30년대에 각종 신문과 잡지 등의 매체들을 통해 드러나는 엘리트 지식인들의 음악에 대한 이미지가 19세기 절대 미학적인 음악론의 특징을 보이며 선교사들의 미학적 사고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근대적 음악 취향에 대한 흉내 내기(mimicry)로, 서양음악을 문명의 소리적 표상으로 인식하도록 한 서구에 대한 동경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한국인들의 반응은 여성선교사들의 정체성 재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미국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유명세나 실력자로서의 대우가 여성선교사들에게 문화전달자로서의 막중한 사명과 책임의식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초기에 한국인들에게 적합한 노래와 음악을 고민하기도 했던 여성선교사들은 1920년대 한국인들의 서구적 음악문화에 대한 요구가 더욱 강해지고 다양해지는 상황에 대응하여 서구 음악가로서의 면모를 적극적으로 드러냈다. 자신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한국의 환경적 요인들과 끊임없이 교섭하는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여성선교사들은 선교부 내에서의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도 ‘여성의 영역’으로 인식되었던 음악분야에서만큼은 다양한 활동의 스펙트럼을 보이며 폭넓은 영향력을 드러낼 수 있었다. 이들의 행보는 사회적인 변화와 요구 속에서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하며 한국인의 욕망과 목소리에 대응하였던 소통의 과정이었다는 점에서 흔들리는 문화교섭의 여정이었다. 여성선교사들은‘진정한’ 음악, 즉 서양음악을 가르쳐야 한다는 필요성과 한국인들만의 정서와 목소리로 스스로의 신앙적/미학적 세계를 표현하길 바라는 소망 사이에서 기울어진 양가성(兩價性)을 드러낸 흔들리는 행위자였던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musical activities of women missionaries from 1885 to 1940 and to characterize them in everyday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For early woman missionaries who were cultural 'outsiders', Koreans seemed to be needed education that lay in a state of 'enlightenment deficiency'. The desire of Korean for civilization and the explosive growth of churches made woman missionaries the subject of Western music education and their musical influence has expanded beyond religious meaning. In this process, some missionaries have expressed their cultural sensitivity and have been concerned about Korean music and songs that are suitable for Koreans. Sometimes they responded more strongly to Koreans' desire for Western music, and their identity as a cultural communicator was strengthened. I accepted that the music activities of women missionaries were conducted on this process of conflict, negotiation, and compromise. On this premise, I examined the aspect of specific music activities of women missionaries in three aspects: secondary school education, music publishing and music activities, and the cultivation and exchange of elite musicians. Secondary school for girls, which was a field of activity for women missionaries, w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where Western music education was strengthened. It showed a system for fostering Christian women's music elites through cooperation among female missionaries and cooperation with Koreans. In particular, the missionary school has formed a ‘higher education route’ sending graduates to mission schools in Japan in response to the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Korea. Women missionaries refuse to accept the educational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but they use the colonial environment to cultivate the Christian workforce. Many of these graduates walked the path of teacher and reproduced the musical influence of women missionaries who were role models. Women missionaries’ musical influence was also revealed through the musical medium, such as the publication of music books and recordings. In the 1910s, Editing of a song book shows the possibility of musical indigenization by consideration of the singing customs of Koreans who are unfamiliar with half steps. I thought that the missionaries were at a place where they could not ignore Korean voices and they were at a place where they were compelled to make new musical negotiations. In contrast, women missionaries in the 1920s and 1930s translated and used American textbooks and sacred song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Westernization of music education method is strengthened that time. Unlike in the early days of the mission, the social changes in which the 'New Culture' and 'New Ideas' were introduced through various channels after the 3.1 movement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music education aspect of women missionaries. Women missionaries were at the forefront of training of the Korean music elite and their mutual influence persisted through various forms. Through this sturdy, I have confirmed that women missionaries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the education of teachers and mentors in the music department of the Soongsil College. They also played a role as important bridgeheads for studying abroad, teaching music individually to Korean, Japanese, and foreigners. This means that women have expanded their musical influence 'subjectively' as a higher music educator through various channels. In addition, women missionaries interacted with Korean musicians and amateur musicians, who were active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nd education at the time. The space of interactions and performances was a place where women missionaries were recognized as musicians. In conclusion, women missionaries were able to reveal a wide spectrum of influence in the music field as a “women' s domain” even in the patriarchal system within the miss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image of the elite intellectuals' Western music, which is reveal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e 1920s and 1930s, is characterized by the absolute aesthetic of the 19th century similar to the aesthetic thinking of the missionaries. This phenomenon originated from the desire for the Western world and recognition Western music as a sound of civilization of Koreans. These responses of Koreans influenced the re-formation of women missionaries' identity, and their reputation as a celebrity and talented person who could not be experienced in the United States strengthened the mission and responsibilities of women missionaries as a cultural communicator. Therefore, I suggest the music activities of women missionaries as a journey of cultural negotiation due to the communication process that responded to the desires and voices of Korea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