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예미-
dc.contributor.author이수경-
dc.creator이수경-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58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5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4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42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89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 for obtaining the appropriat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 when using disposable barrier to prevent infection by comparing the surface microhardness of the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photopolymerization time and the type of curing light when using disposable barrier to prevent infection. In this experiment, Z250 A2 (3M ESPE Dental Products, St. Paul, MN, USA)was used as a lighta ctivated composite resin, three company products of 3M ESPE Eilpar B10 (3M Deutschland Gmbh, Kempten, Germany), Demi plus (Kerr corporation, Orange, CA, USA) and Valo (Ultradent Products lnc., south Jordan, USA)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Light curing unit, and Reynold 920 Curing Light Tip Warp(Reynolds Inc., Henrietta, NY, USA) was used for the disposable barrier to prevent infection. The resin specimen used in the experiment was a hole with a diameter of 4 mm and a length of 6 mm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SO 4049 and a Teflon mold was used as the mold. Mylar strip and a 1 mm thick transparent slide glass were welded with pressure to remove excess resin and followed by photo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time was 20 seconds, 40 seconds, and 60 seconds. The control group was a light-radiated specimen on the distal optical fiber of curing light without using the disposable barrier to prevent infec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a light-radiated specimen on the distal optical fiber of curing light with using the disposable barrier to prevent infecti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pecimen were measured three times for microhardness to obtain an average value, thereb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nalysis of the microhardness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ith respect to the averag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 for the type of curing light and the increase of light irradiation time was conducted using one-way ANOVA, and the post hoc test was performed with the Tukey method. Analysis on the microhardness of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increase of light irradiation tim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 and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 for the increase of irradiation time i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using t-tes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average microhardness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 by the type of curing light for 20, 40, and 60 seconds of light irradiation time showed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p<0.001).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icrohardness of the three types of curing light based on the same irradiation time (p>0.001).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types of curing light at 60 seconds as a result of the microhardness of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increase of light irradiation time in the upper surface(p>0.001).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other curing light except Valo at 60 seconds as a result of the microhardness of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increase of light irradiation time in the lower surface(p>0.001). 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ree types of curing light at 20, 40, 60 seconds as a result of the microhardness of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increase of light irradiation time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p>0.001). 6. Relative microhardness was 80%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only at 60 seconds light irradiation and in Demi plus.;본 연구는 일회용 감염방지용 차단막 사용 시 광중합 시간과 광중합기 종류에 대한 복합레진의 표면미세경도를 비교하여 일회용 감염방지용 차단막 사용 시 적절한 복합레진의 중합도를 얻기 위한 방법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광중합기의 광섬유 말단부에 일회용 차단막을 사용하여 광조사한 시편을 실험군으로 사용하였고, 광중합기의 광섬유 말단부에 일회용 감염조절용 차단막을 사용하지 않고 광조사한 시편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일회용 감염방지용 차단막은 Reynold 920 Cling Film (Reynolds Inc., Henrietta, NY, USA)을 사용하였다. 광중합형 복합 레진으로 Z250 A2(3M ESPE Dental Products, St. Paul, MN, USA)를 사용하였고, LED 광중합기는 3개의 회사 제품 3M ESPE Eilpar B10(3M Deutschland Gmbh, Kempten, Germany), Demi plus(Kerr coporation, Orange, CA, USA), Valo (Ultradent Products lnc., south Jordan, USA)를 실험에 사용하게 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레진 시편은 국제표준기준인 ISO 4049의 기준을 따라 직경 4mm, 길이 6mm의 hole을 형성 하였고, 주형은 테프론 몰드를 사용하였다. mylar stirp과 1mm 두께의 투명 슬라이드글라스로 압접하여 과잉 레진 제거 후 광중합 하였고, 중합시간은 20초, 40초, 60초 시행하였다. 시편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3회씩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광중합기 종류와 광조사 시간 증가에 대한 상면과 하면의 평균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미세경도에 대한 분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Tukey 방법에 의한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상면과 하면에서 광조사 시간 증가에 대한 광중합기 종류별 대조군과 실험군의 미세경도는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에서의 광조사 시간 증가에 대한 상면과 하면의 미세경도에 대한 분석은 t-test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0초, 40초, 60초 광조사 시간에 대한 광중합기 종류별 상면과 하면 평균의 대조군과 실험군의 미세경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2. 같은 광조사 시간을 기준으로 3가지 종류의 광중합기 미세경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01). 3. 상면에서 광조사 시간 증가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미세경도의 결과 60초 일 때 3가지 종류의 광중합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01). 4. 하면에서 광조사 시간 증가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미세경도의 결과 60초 일 때 Valo를 제외한 나머지 광중합기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01). 5. 대조군과 실험군에서의 광조사 시간 증가에 대한 상면과 하면의 미세경도의 결과 20초, 40초, 60초 일 때 3가지 종류 광중합기 모두 통계학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6. 상대적 미세경도는 60초 광조사 시 Demi plus에서만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80%를 보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재료 및 방법 4 A. 연구재료 4 B. 연구방법 4 1. 주형의 제작 4 2. 시편의 제작 4 3. 미세경도 측정 5 4. 상대적 미세경도 6 5. 통계 분석 6 Ⅲ. 결과 8 A. 광중합기 종류와 광조사 시간 증가에 대한 상면과 하면 평균의 대조군과 실험군의 미세경도 비교 8 B. 상면과 하면에서 광조사 시간 증가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미세경도 비교 12 C. 대조군과 실험군에서의 광조사 시간 증가에 대한 상면과 하면의 미세경도 비교 16 D. 상대적 미세경도 비교 18 Ⅳ. 총괄 및 고찰 22 Ⅴ. 결론 26 참고문헌 28 ABSTRACT 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57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17.6-
dc.title일회용 감염방지용 차단막 사용 시 광중합 시간과 광중합기 종류가 복합레진의 표면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fluence of light curing time and the type of curing unit on microhardness of composite resin when using infection control barrier-
dc.format.pagevii, 3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