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정훈-
dc.contributor.author옥시후-
dc.creator옥시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55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5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7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76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874-
dc.description.abstract2014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암 발생률은 OECD국가 평균 수준으로 그 중 갑상선암은 국내외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한국 여성의 갑상선암 발생률은, 국내 남성에 비해 약 4배, 세계 여성 평균에 비해 약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국내외에서 갑상선암 과잉진단 논란이 일어나기도 하였으나 많은 선행연구들이 갑상선 건강과 여성호르몬의 연관성에 대해 보고해 왔기 때문에, 여성의 갑상선질환은 과잉진단 논란에서 벗어나 연구 및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에는 여성의 갑상선 건강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기에, 본 연구에서 한국 성인 여성의 갑상선 검진 수검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여성 갑상선 건강에 관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제공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국 수준으로 표준화 된 제6기 3차년도(2015)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로 갑상선암 및 갑상선질환 진단 경험이 없는 만 19세 이상 성인여성 2,706명을 선정하고, SPSS 프로그램(SPSS version 20.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 관련 요인, 여성건강 요인 및 갑상선 검진 수검 여부에 대한 단변수 분석(uni-variable analysis)과 다변수 분석(multi-variable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단변수 분석 결과, 갑상선 검진 수검군은 921명(34.0%), 미수검군은 1,785명(66.0%)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갑상선 검진 수검 여부 분석 결과, 수검군 중에서는 40-60대 연령, 8개 특별·광역시 및 경기지역 거주자, 아파트 주거자, 기혼자, 취업자, 고졸이하, 기초생활 미수급자, 민간의료보험 가입자, 직장건강보험가입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가구소득은 중, 상, 하 순으로 많았다. 경제활동상태, 건강보험종류에 따른 갑상선 검진 수검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관련 요인에 따른 갑상선 검진 수검 여부 분석 결과, 수검군 중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 나쁨, 좋음 순인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동반질환이 있는 대상자, 기타암진단 경험이 없는 대상자, 만성질환가족력이 있는 대상자,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는 대상자, 건강검진 및 암검진 수진자, 음주경험이 있는 대상자, 흡연경험이 없는 대상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유병여부는 정상, 비만, 저체중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의사진단여부, 의료서비스이용여부, 활동제한여부, 주관적체형인식, 신체활동에 따른 갑상선 검진 수검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건강 요인에 따른 갑상선 검진 수검 여부 분석 결과, 수검군 중에서는 폐경인 대상자와 임신·출산·모유수유경험이 있는 대상자, 경구피임약을 복용하지 않는 대상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수 분석 결과,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민간의료보험가입여부, 주관적건강상태, 동반질환여부, 암검진 수진여부가 갑상선 검진 수검의 영향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에 비하여 40대-60대가 약 7배, 고학력 일수록 약 1.4배, 고소득 일수록 약 1.5배 갑상선 검진 수검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민간의료보험 미가입자는 가입자보다 약 0.7배 수검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건강상태가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경우, 좋음으로 인식하는 경우보다 약 0.6배 수검 가능성이 유의하게 낮았고,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약 1.3배 수검 가능성이 높았다. 암검진 미수진자는 수진자보다 약 0.5배 수검 가능성이 낮았으며, 월경여부, 임신·출산·모유수유경험, 경구피임약복용여부는 갑상선 검진 수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제6기 3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갑상선 검진 수검 동기 및 갑상선 초음파 검진 의사진단 결과를 알 수 없어, 대상자의 검진 수검에 관한 인식이나 경로, 환자군과 정상인군에 관한 분석을 포함하지 못하였다. 또한, 갑상선암 가족력에 관한 문항이 없어 갑상선 검진의 영향 요인으로 분석하지 못하는 등 연구 내용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흔히 다루지 않은 여성의 갑상선 검진 영향 요인 분석에 대하여,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연구자는 본 연구가 여성의 갑상선 건강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며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여성 40-60대 연령에서 갑상선 검진 수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여성의 갑상선 검진 및 건강관리 방안이나 정책 수립 시 해당 특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에서는 고학력 여성의 갑상선 검진 수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갑상선 검진 교육 및 홍보 시 해당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서는 경제적 수준이 높은 여성일수록 갑상선 검진 수검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따라, 관련 정책 마련 시 사회·경제적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넷째, 한국 성인 여성은 건강에 관한 관심이나 우려가 많을수록 갑상선 검진 수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여성의 갑상선질환에 대한 인지된 위험도를 조사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여성건강 요인이 갑상선 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여성 특성과 갑상선 검진 수검 간의 연관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상, 본 연구자는 연구에서 정리한 결과에 따라, 여성들에게 갑상선 건강과 검진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시행하여 갑상선질환의 특성과 위험성을 인식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적으로 여성에게 차별화된 갑상선 건강관리 방안 및 정책을 수립하여 여성으로부터 연령, 사회·경제적 수준, 건강 특성에 따라 합리적인 갑상선 검진이 가능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한 건강관리를 하게 할 것을 제언한다.;The Korean thyroid cancer incidence has taken 1st ranking in the world and especially Korean women’s thyroid cancer incidence was 13 times compared with the global women’s average. Lately, some changes happened in national statistics after world-wide controversy about over-diagnosis about thyroid cancer. However, Korean women’s thyroid disease incidence is still higher than men, and it has been reported the correlation of thyroid disease with female hormone.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yroid disease occur with women’s health problems such as pregnancy, delivery, menstruation, menopause, osteoporosis, cardiovascular disease, etc.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udy about women’s thyroid health and management. However, reference studies have focused mainly on the thyroid cancer incidence, other specific disease, or over-diagnosis. It was rare to find any study about women’s thyroid screening, thus this study focused o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hyroid screening in Korean adult women using the Ⅵ-3rd(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yroid screening behavior and screening rate, an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correlation between thyroid screening rat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to explain the factors influencing thyroid screening rat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factors, and women-health related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706 adult women aged 19 and over among the 7,380 participants in Ⅵ-3rd(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factors, and women health related factors which classified based on the reference studi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taking thyroid screening or no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factors, and women health related factors) of the subjects, th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hyroid screening experience and influential factors,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And the significant variables from the Chi-square test were ent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yroid screening. Al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0.0(SPSS Inc., Chicago, IL, USA), with the significance level set at 5%(α=0.05).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The thyroid screening rate was 34.0% in this study.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yroid screening were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subscription to private health insurance, self-assessment of health condition, diagnosis of comorbidity, taking a cancer screening. And the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Model 1’ Hosmer & Lemeshow p-value=0.536, Nagelkerke R2=0.186, Accuracy=68.7%; Model 2’ Hosmer & Lemeshow p-value=0.406, Nagelkerke R2=0.232, Accuracy=70.4%; Model 3’ Hosmer & Lemeshow p-value=0.672, Nagelkerke R2=0.237, Accuracy=70.3%). In the logistic analysis which controlled for other variables, the thyroid screening rate of the subjects who aged 40s-60s was about 7 times higher than 20s (40s OR=7.3, 95% C.I 3.93-13.68, p< .001; 60s OR=6.7, 95% C.I 3.14-14.25, p< .001; 50s OR=6.5, 95% C.I 3.17-13.12, p< .001); who has high-educated was about 1.4 times higher than lower-educated group(95% C.I 1.12-1.83, p< .01); who has high-income level was about 1.5 times higher than low-income level(95% C.I 1.07-2.04, p< .05); who didn't subscribe to private health insurance was about 0.7 times lower than subscriber(95% C.I 0.59-0.92, p< .01); who assessed the self-assessment of health condition as ‘regular’ was about 0.6 times lower than ‘good’(95% C.I=0.48-0.85, p< .01); who had comorbidity was about 1.3 times higher than who had not(95% C.I=1.06-1.62, p< .05); who didn't take a cancer screening was about 0.5 times lower than who did take(95% C.I=0.36-0.65, p<0.001).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 In order to manage women’s thyroid health and encourage reasonable selection about thyroid screening,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make differentiated plan, policy, educating or promotion, by taking into account women’s gener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that thyroid screening rate is higher in women who 40s-60s age, high socio-economic level, and who more interested in health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it needs to conduct more specific study with the detail questionnaire survey about women’s health factors and health-belief. Key words; Thyroid, Thyroid screen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D. 연구의 제한점 8 Ⅱ. 이론적 배경 9 A. 갑상선의 해부생리병리적 특성 9 B. 한국의 갑상선암 및 갑상선질환 현황 11 C. 갑상선암 과잉진단 논란 12 D. 여성과 갑상선질환 13 Ⅲ. 연구방법 15 A. 연구 설계 15 B.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16 C. 연구 도구 및 내용 19 D. 자료 분석방법 29 Ⅳ. 연구결과 30 A. 연구 대상자의 특성 30 B.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갑상선 검진 수검 여부 36 C. 갑상선 검진 수검의 영향 요인 41 Ⅴ. 고찰 44 Ⅵ. 결론 및 제언 49 참고문헌 53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79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한국 성인 여성의 갑상선 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6기 3차년도(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hyroid screening in Korean women : based on the Ⅵ-3rd(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dc.format.pagevii, 63 p.-
dc.contributor.examiner김혜경-
dc.contributor.examiner안정훈-
dc.contributor.examiner최남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