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신화-
dc.contributor.author이선정-
dc.creator이선정-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54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5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4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46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86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프로그램 곡목의 다양한 측면 분석이다. 이 분석을 통해 작곡가들의 생애와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작품과 작곡 기법을 알아봄으로써, 그들의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그에 더해서 특정 시 또는 성경구절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작곡가가 어떠한 양식을 사용하였는지 분석하고, 실제 연주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한스 레오 하슬러(Hans Leo Hassler, 1564-1612)의 <Verbum caro factum est> (말씀은 육신이 되어)와 <Dixit Maria> (마리아가 말하기를),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의 『Coronation Anthem』(대관식 미사) 중 <Zadok the priest> (제사장 사독),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Bartholdy, 1809-1847)의 『Der 42. Psalm(Op.42)』(시편42편) 중 첫 번째 합창곡인 <Wie der Hirsch schreit nach frischem Wasser> (사슴이 시냇물을 찾듯이), 야일로(Ola Gjeilo, 1978-)의 <The ground -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대지 - 하늘과 땅에 가득 찬 당신의 영광) 마지막으로 브리튼(Benjamin Britten, 1913-1976)의 <A Ceremony of Carols> (캐럴의 제전)이다. 하슬러는 르네상스시기 이탈리아의 양식을 독일 음악에 적절하게 융합한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특히 그는 안드레아 가브리엘리(Andrea Gabrieli, 1533- 1585)로부터 영향을 받아 베네치아 복합창(polychoral)양식을 독일합창음악에 도입하였다. 그의 작품 중 베네치아 복합창양식은 <Verbum caro factum est> (말씀은 육신이 되어)에서 잘 나타난다. 한편 하슬러는 말의 강세를 음악과 연관지어 잘 전달하고자 끊임없는 시도를 하였는데, 그런 시도는 모방적으로 진행되던 곡을 화성적인 양식으로 바꾸어 대화체의 가사를 명확히 전달하고자 한 <Dixit Maria> (마리아가 말하기를)에서 잘 나타난다. 헨델은 독일, 이탈리아, 영국의 음악에 모두 능통했던 국제적 작곡가였다. 초기에 이탈리아 음악이었던 오페라로 큰 명성을 얻었던 헨델은, 1712년 영국으로 귀화한 후 앤섬 등 영국음악에서 중요한 작품을 남겼다. 『Coronation Anthem』(대관식 앤섬)은 그가 조지 1세(George Ⅰ, 1660-1727) 재임 하에 궁정음악가로 일할 당시 쓴 그의 대표적인 앤섬 중 하나이다. 그 중 <Zadok the priest> (제사장 사독)는 3부분으로 구성된 대조적인 양상을 띠고 있는 합창작품으로 열왕기상 1장 성경구절을 바탕으로 작곡되었다. 낭만파 작곡가이지만 사용하는 대부분의 선율과 화성이 고전 양식에 가까운 멘델스존은 고전주의적 낭만파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합창음악으로 범위를 좁히면 더 분명하게, 멘델스존의 음악은 팔레스트리나(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ca.1525-1594)의 르네상스,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와 헨델의 바로크적 형식에 뿌리를 두고 있다.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가 독일어로 번역한 시편 42편을 가사로 소프라노 솔로와 혼성4부 합창, 남성4부 합창을 위해 작곡한 『Der 42. Psalm(Op.42)』(시편42편)은 총 7악장의 칸타타 형식으로 이루어져있다. 그 중 시편 42장 1절 가사로 쓰인 제 1악장 <Wie der Hirsch schreit nach frischem Wasser> (사슴이 시냇물을 찾듯이)에서 멘델스존은 가사에 따라 적절하게 대위법적인 양식과 화성적인 양식을 사용하여 음악의 진행에 적절한 변화를 주었다. 특히 등장하는 악기의 수에 따라 곡의 셈여림을 조절하는 모습은 바로크양식을 바탕으로 했음을 알 수 있다. 야일로는 노르웨이 출신의 젊은 현대작곡가로, 최근 그의 작품들은 미국을 넘어 세계 곳곳에서 활발하게 연주되고 있다. 그는 영화음악과 재즈음악의 요소를 음악에 도입하기도 하는데 이는 그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나타난다. 야일로는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작품뿐만 아니라 다수의 무반주 합창곡들을 작곡하였다. <The ground -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대지 - 하늘과 땅에 가득 찬 당신의 영광)는 <Sunrise Mass> (해돋이 미사)의 마지막 악장을 기초로 작곡한 대표적인 합창작품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은 <Sunrise Mass> (해돋이 미사)에 연결되는 곡으로 평화, 기나긴 인생의 여정 끝에 존재하는 ‘도착(땅으로의 귀환)’의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 작품이다. 브리튼은 헨리 퍼셀(Henry Purcell, 1659-1695) 이후 영국 음악의 전성기를 다시 끌어온 작곡가이다. 그는 영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라틴어 등 다양한 언어를 그의 음악에 사용했으며, 그레고리오 성가 등 옛 음악부터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음악적 소재를 사용하여 작품을 썼다. 또한 가사와 선율의 관계를 중시하는 한편, 효과적인 음향효과를 그의 음악에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는 어린이들의 맑고 깨끗한 음색을 추구했는데 이러한 특색은 1942년 작곡한 <A Ceremony of Carols> (캐럴의 제전)에서 잘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 브리튼은 중세, 르네상스의 선법뿐 아니라 고전시대의 장단조 조성, 현대의 복합 조성 등 한 개 이상의 조성과 선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다양한 리듬 유형을 통해 단조로운 선율에 다채로운 표현을 담았으며, 소년 합창(boy soprano)의 맑은 소리를 추구하는 영국 합창의 전통에 따라 맑고 깨끗한 음색을 강조했다. 작품은 1번 <Procession> (입당)과 11번 <Recession> (퇴장)이 동일한 곡으로 구성된 순환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하프 간주곡을 포함하여 총 12곡으로 이루어져있다.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필자는 향후 해당 작품을 연주하려는 연주자들에게 보다 나은 연주의 길잡이를 보이고자 한다. 르네상스 작곡가인 하슬러부터 현재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야일로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생애와 작품경향을 세밀히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작품을 분석하는 것은, 단지 연주기술에만 기초하지 않고 음악의 전체적 맥락에 바탕을 둠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연주에 이르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This thesis concentrates on the graduate recital program, I conducted, for the completion of the master’s degree. I have analyzed each composer’s life and their historical background that affected the works and compositional technique. Also for each piece, I analyzed the text chosen from poem and bible by the compose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expressions associated with the lyrics for giving a practical support to the performing artists. Subjects of analysis are <Verbum caro factum est> (And the word became flesh) and <Dixit Maria> (Mary said to the Angel) composed by Renaissance German composer Hans Leo Hassler(1564-1612), <Zadok the priest> composed by Georg Friedrich Händel(1685-1759), <Wie der Hirsch schreit> (Like as the hart desireth) composed by Romantic composer Felix Mendelssohn-Bartholdy(1809-1847), <The ground -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composed by Ola Gjeilo(b.1978) and the 19th century composer Benjamin Britten’s <A Ceremony of Carols>. Hassler is evaluated as a great composer who merge the Italian Renaissance style to the German choral music. Especially, he developed the German choral music by bringing Venetian polychoral style to the 16th century of Germany. The polychoral style was used in <Verbum caro factum est> (And the word became flesh). In his works, Hassler lay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text’s unique stress and clearness of text delivery. So he used different texture on <Dixit Maria> (Mary said to the Angel). He used polyphonic style in the commentator’s text, whereas used homophonic style on the dialogue that Maria talks to the angel in order to deliver the Bible text more distinctly. Händel was an international composer and an eclectist that merge German, Italian, France and England traditional music style. And he made a musical reconciliation in his pieces. Besides, he interested in both of church and secular genre. Especially, he composed a wide repertoire of choral works in a short time. In 1712, Händel was naturalized as a England citizen after he had get a fame because of his Italian opera works. At that time, he get interest in anthem genre. In the George Ⅰ period, Händel became a court composer and composed 『Coronation Anthem』 for the coronation of George Ⅱ. <Zadok the priest> was a choral work based on the First Kings;1 and had three parts which are in complete contrast to each other. Despite Romantic composer, Mendelssohn is evaluated as a Classical Romantic composer because of the classical melodic line and harmonic texture. Especially, his choral works were based on Renaissance style from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ca.1525-1594) and Baroque style from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and Händel. 『Der 42. Psalm(Op.42)』 was based on the Psalms translated as a german language by the Martin Luther(1483-1546). This work was composed for soprano solo, four-part chorus of mixed voices, and the four voices of man. It consists of 7 part cantatas. <Wie der Hirsch schreit> (Like as the hart desireth) was composed by using Psalms;42 1 as a lyrics. He lifted up the meaning of text by keeping balance between polyphonic and homophonic texture. Particularly, he did not used the artificial dynamic marks but controled the dynamics by changing the appearance of instrument which was based on Baroque musical tradition. Gjeilo is one of the most prolific composer in the modern musical society. He composed pieces for piano, orchestra and a cappella choral works with an American modern music, Film music and Jazz music’s compositional style. <The ground -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is based on a chorale from the last movement of my Sunrise Mass (2008). It’s for choir and string orchestra. He wanted to convey a sense of having ‘arrived’ at the end of the Mass to have reached a kind of peace and grounded strength, after the long journey of the Mass. Britten was a central figure of 20th-century British classical music who bring the second golden age after the Henry Purcell(1659-1695). He emphasized the sound more than a melodic line, and used tonal music in spite of the 20th century composer. He used wide-ranging languages including English, Italian, French, German, Russian, Latin. Also he took creativity by using from medieval music tradition like mode and gregorian chant to modern musical style. He emphasized the melodic expressions associated with the lyrics. Particularly, he pursued the pure sound from the boy soprano. <A Ceremony of Carols> composed in 1942 was an important piece that imply all of his musical technique. This work was composed with Major-minor tonal composition system and Mode, besides he included Polytonality and Bitonality. Also, he used various rhythm for putting diverse into monotonous melodic line. And he used term ‘treble voice’ to emphasize the children’s pure sound. The work consists of 12 pieces including ‘harp interlude’ and have a circular form by placing the same piece on the beginning and ending. The writer of this thesis will enter into the composer’s intention closely by analyze work’s form and basic structure in order to give a practical support to the performing artists. And by setting the Renaissance composer Hassler to Gjeilo as a historical flow, the writer will find out the common musical foundation and technique to organize and emphasize a important basics for compose great choral musi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본론 2 A. 하슬러(Hans Leo Hassler, 1564-1612) 2 1. 하슬러의 생애와 작품 2 2. Canziones Sacrae 3 B. 헨델(Georg Friedrich Hndel, 1685-1759) 9 1. 헨델의 생애와 작품 9 2. Coronation Anthem 11 C.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Bartholdy, 1809-1847) 18 1. 멘델스존의 생애와 작품 18 2. Der 42. Psalm(Op.42) 19 D. 야일로(Ola Gjeilo, b.1978) 24 1. 야일로의 생애와 작품 24 2. 야일로의 합창음악 작품 25 E. 브리튼(Benjamin Britten, 1913-1976) 28 1. 브리튼의 생애와 작품 28 2. A Ceremony of Carols 30 Ⅲ. 결론 63 참고문헌 67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50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Program Annotation-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Hans Leo Hassler <Verbum caro factum est> <Dixit Maria> Georg Friedrich Händel <Zadok the priest> Felix Mendelssohn-Bartholdy <Wie der Hirsch schreit nach frischem Wasser> Ola Gjeilo <The ground -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Benjamin Britten 《A Ceremony of Carols》-
dc.format.pagevii, 73 p.-
dc.contributor.examiner김동근-
dc.contributor.examiner최낙기-
dc.contributor.examiner백정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