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6 Download: 0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여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피해간의 관계에서 경직된 친화성의 매개적 역할

Title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여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피해간의 관계에서 경직된 친화성의 매개적 역할
Other Titles
The mediating role of unmitigated commun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and girls’ victimization of relational aggression
Authors
김영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아동· 청소년의 또래간 공격성에 대한 연구는 남학생의 공격성에 대한 연구가 초기에는 주를 이루었고, 여학생들 사이에서 행해지는 공격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늦게 이루어졌다. 남학생의 공격성 연구를 통해 신체적· 언어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외현적 공격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행해져왔지만, 관계 자체에 해를 끼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관계적 공격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관계적 공격성 피해는 특히 여학생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있어서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보이나, 관계적 공격성 가해와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연구에 비해 관계적 공격성 피해와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연구 1에서 여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피해와 관련된 개인적· 가족적 변인들의 역할 및 작용 기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개인적 변인으로 특성분노와 성역할특성을, 가족적 변인으로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을 설정하고,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연구모형 1)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변인들간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전체 여학생 815명을 모두 분석에 포함시켰다. 연구 2는 관계적 공격성 피해 여학생 집단이 공격적 피해자와 수동적 피해자로 이루어지는 이질적 집단이라는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였다. 전체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변인들간의 관계가 실제로 관계적 공격성 피해를 당한 여학생 집단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연구 2에서는 관계적 공격성 피해 여학생 가운데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하위집단별 변인간 작용 기제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인물 중심 접근을 적용하였다. 이에 연구 2에서는 전체 여학생 815명 가운데 관계적 공격성 피해 경험이 한 번이라도 있는 542명을 선발하고, 이들을 다시 공격적 집단과 수동적 집단으로 나누었다. 그런 다음 다시 변인 중심 접근을 적용하여, 연구 1의 연구 결과를 통해 수정된 연구 모형(연구모형 2)에 대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고, 공격적 집단과 수동적 집단은 연구모형 2의 경로상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에서는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이 여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피해를 간접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은 특성분노 및 성역할특성 네 변인을 모두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성분노와 경직된 주도성, 경직된 친화성이 관계적 공격성 피해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직된 친화성은 특성분노 및 성역할특성 네 변인 가운데 관계적 공격성 피해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모형에 포함된 매개변수 가운데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매개변수는 경직된 친화성뿐이었다. 이를 통하여 특성분노와 같은 기질적 특성보다는 성역할 특성과 같이 사회적 맥락 안에서 표출되는 심리적 특성이 여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피해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이 경직된 친화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관계적 공격성 피해 위험을 높이는 매개경로가 확인되었다.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을 통해서 거부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진 여자아동이 또래집단에 수용되기 위한 노력으로 경직된 친화성을 발달시킴으로써 관계적 공격성 피해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결과를 통해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중요성은 어머니-딸간의 맥락에서 더욱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경직된 친화성을 나타내는 것이 오히려 관계적 공격성 피해를 초래하였는데, 아마도 경직된 친화성으로 인해 분노의 억압이나 부적절한 표출이 늘어나고, 결과적으로 관계적 공격성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 역시 커질 수 있을 것이다. 연구 2에서는 관계적 공격성 피해 집단을 반응적 공격성 점수를 기준으로 공격적 집단과 수동적 집단으로 구분한 후, 두 집단이 연구 1 연구모형의 경로상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비교하는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성역할특성 네 변수 가운데 연구 1에서 관계적 공격성 피해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친화성과 주도성을 모형에서 제거한 연구모형(연구모형 2)상에서 비교하였다. 다집단분석 결과, 공격적 집단은 수동적 집단에 비해 경직된 친화성이 관계적 공격성 피해에 미치는 직접효과의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에서 특성분노, 경직된 주도성, 경직된 친화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경직된 친화성의 매개효과만 확인되었는데, 공격적 집단에서의 매개효과가 더 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공격적 집단이 경직된 친화성을 통해 또래관계에 적응하기 위해 더 많이 노력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성공하지 못하고 더 큰 관계적 공격성 피해로 연결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공격적 집단, 수동적 집단 모두 개입을 할 때는 경직된 친화성에 대한 대안적 행동 습득에 초점을 두는 접근 방식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공격적 집단에서는 경직된 친화성과 특성분노간의 상관이 큰 점으로 미루어 분노 조절 문제에도 관심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수동적 집단내에서는 관계적 공격성 피해가 분노, 경직된 주도성, 반응적 공격성과 관련되지 않는만큼, 관계적 공격성 피해를 당하는 기제가 공격적 집단과 다를 가능성이 시사된다. 경직된 친화성과 우울간의 강한 연관성을 고려할 때, 수동적 집단의 관계적 공격성 피해는 우울 등 내재화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수동적 집단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는 우울 등 내재화 문제가 잠재해 있지는 않은지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만을 대상으로 관계적 공격성의 피해에 한정하여 관련 변인들의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각 변인들이 여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피해에 미치는 영향의 구체적 기제를 확인했다. 둘째,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이 여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피해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경직된 친화성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점이 확인됨으로써 경직된 친화성이 개입의 구체적인 목표가 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 셋째, 관계적 공격성 피해 집단을 공격적 집단과 수동적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에 대해 차별적인 개입의 시사점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들을 통해 관계적 공격성 피해 여학생에 대한 개입에 의미있는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The mediating role of unmitigated commun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and girls’ victimization of relational aggression Early research on aggression among pe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ocused primarily on the aggression of boys.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aggression among girls was carried out relatively late. Although much research on boys’ overt physical and verbal aggression has been carried out, research on relational aggression, which aims to harm the relationship itself, is relatively limited. The victimization of relational aggression appears to have particular importance in girls’ psychosocial adjustment. Nevertheless, research on variables associated with relational victimization is relatively scarce compared to studies on variables associated with relational aggress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oles and functioning mechanisms of personal and family variables related to relational victimization of girls. For this study, a total of 815 elementary school girls in their 5th and 6th grades sampled from fourteen elementary schools answered a questionnaire provided by this study. In Study 1, trait anger and gender role traits were set as personal variables, and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was set as a family variabl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was tes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earch Model 1). In Study 1, all 815 girl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s the main purpose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tudy 2 wa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suggested that the group of girl victims is a heterogeneous group consisted of aggressive victims and passive victi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for all girls in Study 1 may not be the same for the group of girl victims of relational aggression. Therefore, in Study 2, a person-centered approach was first applied to identify the functional mechanisms of variables by sub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girl victims of relational aggression. Of the total 815 female students, 542 girls who had experienced relational aggression at least once were selected, and were divided into aggressive group and passive group. Research model 2 was revised through the results of Study 1. Then, multi group analysis of the revised research model (Research Model 2)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ggressive group and the passive group in the pathway of research model 2.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Study 1,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indirectly predicted relational victimization of girls.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significantly predicted trait anger and four variables of gender role traits. Also, trait anger, unmitigated agency, and unmitigated communion significantly predicted relational victimization. Unmitigated communion showed the largest direct effect on relational victimization among trait anger and the four variables of gender role traits, and was the only mediator showing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mong the mediational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Thus, it is indicated tha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the social context such as gender role traits, rather than th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trait anger,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relational victimization of girls. In particular, this study demonstrated the mediating pathway that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increases the risk of relational victimization by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unmitigated communion. Furthermore, girls who had increased sensitivity to rejection through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increased the risk of relational victimization by developing unmitigated communion in the effort to be accepted by peer groups.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ternal parenting once mor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 addition, unmitigated communion in the effort to maintain relationships resulted in relational victimization. Unmitigated communion may possibly increase the repression or inappropriate expression of anger, consequentl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victim of relational aggression. In Study 2, the victim of relational aggression was divided into aggressive group and passive group based on the reactive aggression scores, and multi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in the pathway of research model of Study 1. Among the four gender role traits variables, the pathways from the communion and agency variables to relational victimization were not significance. Therefore, the aggressive group and passive group were compared in the pathway of the research model (Research Model 2) that removed communion and agency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multi group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aggressive group unmitigated communion has greater direct effect on relational victimization than in the passive group. Moreover, th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ger, unmitigated agency, and unmitigated communion were analyzed, and only the mediating effect of unmitigated communion was verified in both groups, showing greater mediating effect in the aggressive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ggressive group tries more to adapt to peer relationships through unmitigated communion, but such effort is not successful and leads to greater relational victimization. Thus, an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acquisition of alternative behaviors for unmitigated communion seems necessary in intervention for the aggressive group. In the aggressive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unmitigated communion and trait anger was large. Hence, it is desirable to pay attention to the anger control problems as well. In the passive group, the mediating effect of unmitigated communion was also found, but relational victimiz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anger, unmitigated agency, and reactive aggression.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mechanism of relational victimization in the passive group may be different from that in the aggressive group. Given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unmitigated communion and depression, relational victimization in the passive group may be related to internalizing problems. In this regard, it seem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internalizing problems such as depression is latent as well as social skill training that can improve unmitigated communion, such as self-assertiveness training, in intervention for the passive group.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girls and identified the effect of related variables on relational victimization of girls, thereby shed light on the specific mechanisms of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relational victimization of girls. Second, it demonstrated that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predict relational victimization of girls through unmitigated communion as a mediator, suggesting specific goals of intervention. Third, it classified the victim of relational aggression into aggressive group and passive group, and suggested different interventions for each group. Through these poi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intervention for girl victims of relational agg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