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남궁민-
dc.creator남궁민-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51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5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3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39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84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직물에 나타난 한국과 중국, 일본의 매화(梅花)·도화(桃花, 복사꽃)·행화(杏花, 살구꽃)무늬를 고찰한 것이다. 매화·도화·행화무늬의 조형성과 동반무늬와의 조합에서 나타나는 상징성을 분석하여 매화·도화·행화무늬를 분류하고 한중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15세기에서 20세기 전반의 한중일 직조(織造)무늬를 중심으로, 문헌 조사 및 사진자료 분석을 통해 논문을 진행하였다. 매화와 도화, 행화무늬는 모두 다섯 꽃잎의 꽃(오판화, 五瓣花)으로 표현되며 겹꽃으로도 나타난다. 직물에 시문된 오판화는 그 형태가 대부분 유사하여 꽃의 조형성만 가지고 어떤 꽃을 표현한 것인지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단독무늬일 경우 함께 표현된 잎과 가지, 열매 등은 꽃의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세 꽃 모두 잎보다 꽃이 먼저 피며 특히 매화는 만개할 때까지도 잎이 돋아나지 않는다. 따라서 회화적으로 표현된 직물에서 가지에 잎이 없이 오판화만 시문되는 경우 매화로 해석이 가능하다. 일본에서는 가몬[家紋]이라는 특유의 문장(紋章) 문화가 있어 매화무늬의 경우 가몬의 조형성을 통해 무늬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도 있다. 도화는 함께 시문된 복숭아 열매를 통해 그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조형적 특징으로 도화의 잎은 비교적 길게 표현되며, 꽃잎은 동그란 형태가 많지만 끝이 뾰족하게 묘사되기도 한다. 반면, 행화의 경우 조형성만으로 행화무늬로 판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중일의 매화·도화·행화무늬는 복합무늬로 나타날 때 조형성뿐만 아니라 동반무늬와의 조합에서 나타나는 상징성 해석이 필수적이다. 매화는 봄소식을 가장 먼저 알리는 꽃으로 선비의 지조와 절개의 의미도 담고 있다. 매화무늬가 인물 함께 등장할 때 중국에서는 양생(陽生)을 상징하는 태자면양도(太子綿羊圖)의 도상이 나타난다. 또한, 매화의 향기는 암향(暗香)이라 불리며 사랑받아왔는데, 이러한 향기를 표현하기 위해 나비나 벌을 함께 묘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매화와 소나무, 대나무의 조합인 송죽매(松竹梅)는 절개를 상징하여 함께 시문되었는데 일본의 송죽매무늬는 학, 거북이와 함께 시문되어 장생(長生)을 상징하기도 한다. 물결무늬와 매화가 함께 시문되어 엄동설한에도 견디는 고고한 매화의 특성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매화는 희상미초(喜上眉梢), 희보춘선(喜報春先) 등을 의미하여 까치와 함께 나타나거나, 봄을 상징하는 의미로 제비를 동반하기도 한다. 매화와 대나무를 조합한 매죽(梅竹)무늬는 절개를 상징하여 함께 많이 쓰였고, 매화와 모란, 연꽃, 국화의 구성 등으로 사계절 꽃무늬를 이루기도 하였다. 매화와 난초, 국화, 대나무의 조합은 사군자무늬로 19세기 이후에 등장한다. 장수(長壽)를 상징하는 복숭화의 꽃인 도화는 장수 및 다산(多産), 복(福)을 상징하는 다양한 무늬들과 함께 시문되었다. 도화는 다복(多福)을 상징하는 박쥐, 장생을 상징하는 학 무늬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박쥐는 한국과 중국에는 많은 반면, 일본에서는 선호하지 않아 드물다. 돌 옆에 도화와 모란을 배치한 도안은 장명부귀(長命富貴)를 상징하며 한국과 중국에서 나타나고, 일본에서는 도화가 아닌 벚꽃[櫻花]으로 변환된 형태가 보인다. 물결무늬가 꽃송이와 나타나는 경우 이 꽃을 명(明) 영락제의 도교 애호와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나타난 도화유수(桃花流水)의 정취로써 도화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 밖에도 도화는 석류와 함께 장수와 다산을 상징하는 도류(桃榴)무늬에도 자주 나타나며 수(壽)자, 복(福)자 등의 문자무늬와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관문(官門)에 등용을 상징하는 행화는 제비와 함께 시문될 때 비로소 그 정체성을 드러낸다. 제비를 동반한 행화는 행림춘연(杏林春燕)의 도상이 되며 이는 과거급제를 상징한다. 이러한 도상은 한국과 중국에서 나타나며, 과거가 없었던 일본에서는 행화 대신 벚꽃으로 변환되어 나타난다.;This study examined the plum blossom(梅花), peach blossom(桃花), and apricot blossom(杏花) patterns of Korea, China, and Japan on textiles. Plum blossom, peach blossom, and apricot blossom patterns are expressed mostly with five petals and thus are difficult to tell apart just from the flower. The formative features and symbolized meanings of plum blossom, peach blossom, and apricot blossom patter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ssociated patterns with them. In additi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hree floral patterns were examined across Korea, China, and Japan. The study utilized historic documents and photo which include information of weaving patterns of Korea, China, and Japan from 15th century to 20th century in general. Plum blossom, peach blossom, and apricot blossom patterns appear as five flower petals. They also appears in the form of double flowers. This study found that when textile patterns of plum blossoms are pictorially expressed, they describe only five flower petals without any leave on branches. All of plum, peach, and apricot blossom have botanic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eaf shapes. However, long-shaped leaves expressed on textiles are presumed to be peach leaves. Also, unlike plum blossoms, peach blossoms usually have pointy ends for the flowers. There are also many cases, however, where they are expressed as round, so it is impossible to differentiate plum blossoms and peach blossoms just with such characteristics. When expressed with the fruit of peach, however, it is easier to tell. In case of apricot blossom, it is impossible to tell just by formativeness. For such reason, there are limitations to differentiating plum, peach, and apricot blossom patterns just with formativeness. In case where branch, leaf, and fruit appear along with the blossom in an independent pattern, it is possible to tell with the formativeness suggested above. In Japan, there is a unique seal(紋章) called kamon(家紋), so there are some cases where flowers of five petals can be differentiated. The plum, peach, and apricot blossom patterns of Korea, China, and Japan convey symbolic meanings appearing from the combination with accompanying patterns beside the formativeness when appearing as composite patterns. When plum blossom patterns accompany human figures, taejamyeonyangdo(太子綿羊圖) form meaning sunshine and life(陽生) appears for China. Also, the scent of plum blossom has been cherished in the name of amhayng(暗香), and such expression of scent often involved accompaniment of butterflies and bees. The songjukmae(松竹梅) pattern with plum blossom, pine tree, and bamboo tree symbolize fidelity and have often been expressed together. The songjukmae pattern of Japan accompany cranes and turtles, being converted into the meaning of long life. When a wave pattern is combined with the plum blossom pattern, it expresses the noble characteristic of plum blossom which withstands the cold winter. In addition, plum blossoms and magpies appear together, signifying huisangmicho(喜上眉梢), huibochunseon(喜報春先) meaning delight and springtime. A swallow sometimes accompanies plum blossom patterns as the symbol of spring. The maejuk(梅竹) patterns with the combination of plum blossoms and bamboo trees are widely used symbolizing fidelity. Also, plum blossom, peony, lotus and chrysanthemum make up the Four-season flower patterns. The sagunja(四君子) pattern is the combination of plum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tree, appearing after the 19th century. When a peach blossom accompanying peach fruits and a bat signifying dabok(多福) appear together, it symbolizes long life and good fortune. It appears often in Korea and China, while it is rare in Japan as they do not prefer bat patterns. A crane also symbolizes long life just like a peach blossom, and thus often appear together for emphasis on that meaning. The formation where a peach blossom and a peony blossom are placed beside a stone symbolizes longevity and wealth(長命富貴), appearing in Korea and China. In Japan, the peach blossom is replaced with a cherry blossom. In case a wave pattern appears with flower blossom, it is the taste of peach flowers floating in water(桃花流水) found in “dohwawongi(桃花源記) and the preference for Taoism by the emperor Yeongnak(永樂帝) of Ming(明) dynasty, and can be interpreted as a peach blossom. Also, a peach blossom is often expressed with peach fruits, forming a doryu(桃榴) pattern along with pomegranate. This pattern means long life and many offsprings. Character patterns such as longevity(壽), and fortune(福) also appear with peach blossom patterns. An apricot blossom pattern becomes the form of hangnimchunyeon(杏林春燕) when accompanying a swallow, and this symbolizes the state exam pass. This appears in Korea and China, and it is substituted with a cherry blossom in Japa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2 Ⅱ. 매화(梅花)무늬 4 A. 한국의 매화무늬 6 1. 단독무늬 6 2. 복합무늬 9 B. 중국의 매화무늬 25 1. 단독무늬 25 2. 복합무늬 28 C. 일본의 매화무늬 46 1. 단독무늬 46 2. 복합무늬 52 Ⅲ. 도화(桃花)무늬 67 A. 한국의 도화무늬 69 1. 단독무늬 69 2. 복합무늬 72 B. 중국의 도화무늬 82 1. 단독무늬 82 2. 복합무늬 84 C. 일본의 도화무늬 94 1. 단독무늬 94 2. 복합무늬 98 Ⅳ. 행화(杏花)무늬 106 A. 한국의 행화무늬 108 1. 복합무늬 108 B. 중국의 행화무늬 116 1. 복합무늬 116 C. 일본의 행화무늬 120 1. 복합무늬 120 Ⅴ. 결론 123 참고문헌 126 ABSTRACT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167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직물에 나타난 한중일 매화·도화·행화무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lum, Peach, and Apricot Blossom Patterns of Korea, China, and Japan on Textiles-
dc.format.pagexiv,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