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은-
dc.contributor.author김연수-
dc.creator김연수-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50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5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3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31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840-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인들은 가치 실현을 통해 삶에 대한 의미를 찾고자 하며, 이를 행복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게 되었다. 궁극적인 행복을 위하여 자신의 삶과 라이프 스타일을 더욱 적극적으로 설계하고자 하고, 이는 소비에 대한 의식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현대사회의 소비자들은 소비를 통한 가치 충족을 최우선으로 여기게 되었으며, 가치에 근거한 소비행태인 가치소비를 지향하고 있다. 가치를 중시하는 현대인들의 가치관의 변화는 기존 국내 웨딩문화의 허례허식을 지양하고 결혼 본연의 가치에 집중하고자 하는 욕구로 이어졌으며, 이에 결혼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중시하고 진정한 가치 실현을 이루고자 하는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웨딩드레스는 신부의 의상이라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 의복으로서 신부들의 주관적인 만족이 중요한 소비 요인으로 작용하기에 가치소비 성향이 더욱 뚜렷하게 반영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응하기 위한 가치가 반영된 웨딩드레스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국내 웨딩드레스 시장은 세분화, 전문화된 양상으로 빠르게 변화하며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소비자들의 내재된 욕구나 가치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여 구체적인 디자인 개발에 반영하는 것은 다소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지향적인 관점을 통해 가치소비 웨딩문화에 따른 가치소비 유형과 웨딩드레스에 요구되는 가치를 파악하고 실질적인 웨딩드레스의 디자인 요소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추상적인 가치가 궁극적으로 어떠한 디자인 요소로 도출되어 이미지화되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이에 가치가 반영된 구체적인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반영한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국내 웨딩 업계에서 특화된 고부가가치 웨딩드레스의 개발을 위한 디자인을 제안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연구는 가치소비의 개념 및 현황과 국내 웨딩문화의 현황을 전반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개념을 학술적으로 규명하고 그에 따른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웨딩드레스 개념 및 디자인 요소와 시장 현황을 고찰함으로써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소비자 집단과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한 심층면접 조사를 통해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가치소비 유형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웨딩드레스의 가치를 도출하고, 실질적인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지향하는 내재된 가치가 어떠한 디자인 요소로 이미지화 되어 외형적으로 나타나는지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에 도출된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응할 수 있는 가치를 반영한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현대인들은 가치에 근거한 합리적이고 실속있는 소비행태의 가치소비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웨딩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허례허식의 웨딩을 지양하고 진정한 가치 실현을 이루고자 하는 가치소비 웨딩문화가 확산하는 계기가 되었다. 웨딩드레스가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급부상하면서 그에 따른 특화된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에 대한 니즈가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관련 웨딩업계 시장은 맞춤화, 세분화된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가치창출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소비자들의 추상적인 가치를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로 반영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가치소비 성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가치가 반영된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둘째,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에 앞서 가치소비 유형에 따라 요구되는 웨딩드레스 가치 및 디자인 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소비자 집단 7명과 전문가 집단 7명의 총 14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심층면접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가치소비 유형은 감정적 가치소비 유형과 실용적 가치소비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가치소비 웨딩문화에 요구되는 웨딩드레스 가치는 심미적 가치, 상징적 가치,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로 나타났다. 심미적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는 독창성과 장식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징적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는 희소성과 고급성이 요구되었다. 경제적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는 단순성과 효율성이 요구되었으며, 기능적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는 활동성과 사용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 결과 논의를 통해, 가치와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타일, 실루엣, 패브릭, 디테일 등 각각의 디자인 요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시각적으로 다르게 표현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최종적으로 가치와 디자인 요소 간의 관계 및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에 반영하였다. 셋째, 실증적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된 가치소비 웨딩문화에서 요구되는 웨딩드레스 가치와 그와 관련된 디자인 요소의 내용 및 특성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치를 반영한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기획 및 개발하였다. ‘Blooming Bride’라는 컨셉 하에 감정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를 함께 고려한 디자인을 기획하였으며, 총 4벌의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가치소비 웨딩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가치소비 성향에 부응할 수 있는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들의 가치를 고려한 웨딩드레스 디자인의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가치 실현에 따른 소비자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을 통해 국내 웨딩드레스 시장의 활성화에 이바지 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Modern people desire to find meaning in life through realizing one’s own values and have become to consider this as an important factor of happiness. People try to design their lives as actively as possible in the pursuit of achieving ultimate happiness and this behavior i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consumption as well. As consumers today regard value fulfillment through consumption to be the highest of priorities, value consumption, a consuming pattern based on values is being pursued. The change in values of modern people who regard value importantly has led to avoiding existing empty formalities in the Korean wedding cultures and the desire to focus on the true values of marriage. Consequently, ‘wedding cultures of value consumption’, which aims to realize self-value and emphasize the true meaning of weddings is spreading. This especially applies to wedding dresses since wedding dresses, as a costume with special meaning of being the bride’s dress, act as an important consumption factor where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bride is the most important. Hence, the demands for wedding dress designs that reflect the values satisfying the needs of the consumer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domestic wedding dress market is quickly changing and expanding in ways of being divided and more specialized. However, the current conditions have somewhat difficulties in discovering and reflecting specific design factors in design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inner values of the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grasp the types of value consumption and values demanded in wedding dresses in accordance with wedding cultures of value consumption through a consumer oriented perspective, and to research the types of design factors the consumers’ abstract values ultimately derive into by examining the relations with design factors of actual wedding dr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specific design factors of wedding dresses reflecting values and develope a wedding dress design of wedding cultures based on value consumption. Also,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proposing a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 wedding dresses specialized in the domestic wedding industry. In order to fulfill these purposes,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wedding cultures and the concept and conditions of value consumption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wedding cultures of value consumption was academically studied. Also, the needs fo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wedding dress design in value consumption wedding cultures were examined by researching wedding dress concepts and design factors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wedding dress market. This study derived the values of wedding dresses demand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value consumption of wedding cultures based on value consumption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a consumer group and expert group, and comprehensively discussed the types of design factor the inner values of the consumers form into,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design factors of actual wedding dresses. Furthermore, a wedding dress design was developed that reflects the values satisfying the needs of the consumers of wedding cultures of value consumption based on the wedding dress designs derived from the result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modern people pursue value consumption in the form of reasonable and solid consumption based on values. With this trend reaching the wedding cultures in Korea, this has been an opportunity for an expansion of the wedding cultures of value consumption that aims to realize the consumers’ values through marriage. Wedding dresses especially reflect the value consuming tendency and is quickly rising as a high value added product. Accordingly, the needs for developing a wedding dress design capable of realizing the values of the consumers is increasing and the wedding industry targets to ensure a differentiated competitive edge through value creation. However, since there exists difficulties in reflecting the abstract values of the consumers into specific design factor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wedding dress designs reflecting such values is increasing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endency of the consumers value consumption. Secondly, prior to the development of wedding dress designs in wedding cultures of value consumption, an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on a total of 14 people consisted of 7 consumers and 7 experts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values and design factors of wedding dresses demanded in accordance with the tendencies of value consumption. Th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 types of wedding cultures based on value consumption were categorized into emotional value consumption and practical value consumption. The values of wedding dresses demanded by the wedding cultures of value consumption were aesthetic value, symbolic value, econom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sign factors of wedding dresses to reflect aesthetic values required creativity and decorativeness, and the design factors to reflect symbolic values required scarcity and high quality level. Wedding dress design factors to reflect economic values were shown to require simplicity and efficiency while design factors to reflect functional values were shown to require activeness and usability. The study found out that values and wedding dress design factors are closely related, and that the values influence design factors such as styles, silhouettes, fabrics, details, etc, which leads to different visual expressions. Accordingly, a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s and design factors as well as specific design factors were derived which wer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actual wedding dress designs. Thirdly, a wedding dress design was planned and developed that reflects the values satisfying the needs of the consumers, based o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factors related to the values of the wedding dresses demanded in the wedding cultures of value consumption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research. A design considering both emotional values and practical values was drawn out under the concept of ‘Blooming Bride’, which resulted in a total of 4 wedding dress designs.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source of data for developing wedding dress designs that can meet the tendencies of the value consumption of the consumers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the wedding cultures based on value consump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future studies on wedding dress designs considering the values of the consumers, and to promotes the vitalization of the domestic wedding dress market through the development of wedding dress designs that can effectively enhance consumer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value real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C.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고찰 10 A. 가치소비 웨딩문화에 관한 고찰 10 1. 가치소비의 개념 및 현황 10 2.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개념 및 특성 18 B. 웨딩드레스에 관한 고찰 29 1. 웨딩드레스의 개념 및 현황 29 2.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 34 Ⅲ.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실증적 연구 45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45 B. 면접절차 및 분석방법 48 C.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 분석 51 1.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가치소비 유형 51 2.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웨딩드레스 가치 57 3. 가치소비 웨딩문화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요소 68 D. 종합결과 및 논의 90 Ⅳ.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 97 A. 디자인 의도 및 기획 97 1. 컨셉 101 2. 타깃 소비자 102 3. 이미지 포지셔닝 103 4. 이미지 맵 104 5. 컬러 105 6. 패브릭 108 7. 참고 치수 109 8. 작품 구성 110 B. 디자인 개발 111 1. 디자인 Ⅰ 111 2. 디자인 Ⅱ 117 3. 디자인 Ⅲ 123 4. 디자인 Ⅳ 129 Ⅴ. 결론 및 제언 135 참고문헌 140 부록 148 Abstract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032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가치소비 웨딩문화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dding Dress Design in Wedding Cultures of Value Consumption-
dc.format.pagexiv, 1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