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0 Download: 0

디지털 게임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담론 연구

Title
디지털 게임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담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Post-apocalyptic Discourse in Digital Games
Authors
장세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최근 디지털 게임의 세계관으로 다수 차용되고 있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의 제 요소를 살펴보고, 플레이어가 게임 내의 플레이어 캐릭터로서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를 경험하는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플레이어가 게임의 매커닉을 통해 다이내믹으로서의 행위를 발생시키고 게임의 세계관과 상호적인 관계를 맺으며 향유하게 되는 동시대적 담론과 이데올로기의 의미를 인문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디지털 게임은 컴퓨터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가상공간에서 인간의 상상력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구현하는 예술작품이다. 기존의 예술작품은 수용자에게 일방향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나 디지털 게임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직접 해당 세계관을 유사체험 하며 게임 속의 가치와 이데올로기를 체현하도록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종말 이후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디지털 게임의 플레이어가 게임 안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담론을 이해하고 체현하는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게임의 매커닉 요소들을 유형화하고 플레이어 캐릭터가 게임 내의 매커닉과 직,간접적으로 부딪히며 발생시키는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디지털 게임 중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차용하는 154개 게임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해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유리 로트만의 공간 분류 기준을 활용해 종말 세계의 공간을 유형화한다. 유리 로트만은 공간의 외재성과 내재성이라는 분류 기준을 근간으로 게임 공간을 분류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게임 공간의 시각적, 경험적 외재성/내재성을 근간으로 하는 4가지 유형 중,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에는 시각적 내재/경험적 내재에 해당하는 제 3 유형이 부재함 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캐릭터 중 플레이어 캐릭터를 제외한 NPC(Non-player character)는 그 특성을 토대로 자경단, 정부 잔존세력, 고립된 개인, 방랑자의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나아가 플레이어의 페르소나로 기능하는 플레이어 캐릭터가 게임 서사의 영웅의 일대기 구조에서 제 12단계인 ‘영약을 가지고 귀환’하는 단계를 성취할 수 없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3장에서는 2장에서 유형화한 게임의 공간과 NPC가 플레이어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레이먼드 랭의 인과율 모델을사용해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에서의 플레이 다이내믹을 분석한다. 파국의 공간에서 플레이어 캐릭터는 시각적 이미지와 동사를 결합한 형태로 게임의 매커닉을 경험한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의 플레이어 캐릭터는 게임 서사의 마지막에서 동일한 하나의 동사 형태로 귀결하는 엔딩에 도달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때 파국 공간은 플레이어의 동사적 행위를 통해서만 통과의 기능을 지니는 비장소들의 집합이다. 결국 플레이어는 공간 자체를 향유하는 걷기(paseo) 행위를 통해 파국 공간에서의 실천성을 획득한다고 볼 수 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이 함의하고 있는 동시대의 담론과 이데올로기를 고찰하고자 한다. 현재와 핍진한 근미래를 그리고 있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동시대의 현실 세계를 이접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세계와 질서를 무너뜨리고 완전히 새로운 판국에서 신으로서의 창조와 불멸을 누리고자 하는 호모 데우스로서의 욕망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 게임의 플레이어는 플레이 행위를 통해 게임 세계의 실제적인 의미들을 확보한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은 핍진적인 추론 픽션으로서 동시대에 인문학적인 문제와 고찰을 던지는 예술 작품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은 동시대의 기술과 과학이 이미 자신의 몰락을 내재하고 새로운 판국의 욕망을 자극하고 있음을 보이는 유의미한 매개라 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st-apocalyptic worldview which have been frequently used in the recent digital games and to analyze how players experience such post-apocalyptic world as a player character within a game. Moreover,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contemporary discourses and ideologies enjoyed by players while making the behaviors as dynamics based on the mechanics of the games and having interactive relationships with the worldview of games through a humanistic perspective. Digital game is a genre of artwork in which the human imagination and future vision is realized in a virtual space in a basis of computer technology. The existing artworks used a one-way method of delivering their messages to their receptors. In contrary, digital game allows a player to directly pseudo-experience its worldview to embody the values and ideologies of the game.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how a digital game player in the background of world-end world understood and realized its post-apocalypse discourse. For this purpose, the mechanic factors were classified, and the features occurred by a player encountering the mechanics within a game directly or indirectly were examined. 154 games using the post-apocalypse worldview were selected as the targets of the study among a variety of digital games.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classified the spaces of the post-apocalyptic world by applying the space classification standard by Yuri Lotman with his standard of the externality and internality of a space. Among the four classification based on the visual and experiential externality and internality of a game space, it was revealed that the third type corresponding the visual internality/experiential internality did not exist in post-apocalypse games. Also, among game characters, NPC(Non-player character) except for player character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4 types including civil militias, governmental leftover forces, isolate individuals, and vagabonds. Furthermore, it was fund that a player character functioning as a persona of a specific player could not achieve the stage of ‘returning with the elixer’, which was the 12th phase in a lifestory structure of a hero in a game narrative. The third chapter analyzed how a game space classified in the second chapter and NPC interacted with a player character. In this context, the play dynamics within a post-apocalypse game was analyzed by using the principle of casualty model by Raymond R. Lang. In the space of doom, a player experienced the mechanics of game under the form of combining visual images and verbs. It was shown that the player character in a post-apocalypse game reached the ending with a single identical verb form at the last phase of a game narrative. At that time, the doom space referred to a combination of non-spaces in which the function of passage could be performed only by the verbal behaviors of a player. Eventual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player could acquire the practicality of the doom space through the behavior of paseo to enjoy the space itself. The fourth chapter investigated the contemporary discourses and ideologies implied by post-apocalypse games based on the analysis findings of the third chapter. The post-apocalypse games describing the present and near future with vividness provided the disjunctive viewpoint on the contemporary real world to their players. In addition, they also revealed the desire as Homo Deus to destroy the existing world and orders and become a god of creation and immortality in an entirely new scene. A player in a digital game gets actual connotations of a game world through play behaviors. Post-apocalypse games are artworks to cast contemporary humanistic questions and investigations as vivid reasoning fictions. Therefore, they are significant mediators to demonstrate that the contemporary technologies and science already embed their collapses and stimulate the desire for a new sce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