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어머니의 교육신념이 유아의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교육신념이 유아의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others’ Educational belief on the Mastery Motivation of Preschooler : the Mediation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uthors
길태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숙달동기의 성차 및 연령차와 어머니의 교육신념, 양육행동 그리고 유아의 숙달동기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교육신념이 유아의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213명과 어머니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어머니가 질문지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교육신념은 Stipek, Milburn, Clements와 Daniels(1992)와 Sy(2002)의 척도를 기초로 송명숙(2006)이 제작한 ‘자녀의 교육에 대한 신념 척도’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박주희(2001)가 개발한 ‘양육행동척도’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유아의 숙달동기는 Morgan등(2002)에 의해 개발된 ‘숙달동기 질문지(The Dimensions of mastery questionnaire[DMQ])’의 개정판 중 하나인 DMQ–17의 유아용(preschooler, 1½~5세용)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동기의 성차를 살펴본 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총 숙달동기 및 총 지속성, 사회적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 3, 4, 5세 간 숙달동기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교육신념이 유아의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능동적 학습신념이 높을수록 유아의 전반적인 숙달동기 수준이 높았다. 또한 어머니의 교육적 기대가 높을수록 총 숙달동기, 총 지속성 그리고 사회적 지속성이 높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가 온정·격려적인 양육행동을 보이고, 한계설정이 높을수록 유아의 전반적인 숙달동기 수준이 높았다. 반면 어머니가 과보호·허용적인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숙달동기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거부·방임적인 양육행동을 보일 경우 유아가 실패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더 보였다. 넷째, 어머니의 교육신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가 능동적 학습신념이 높을수록 어머니는 온정·격려적인 양육행동과 한계설정을 더 많이 보였다. 반면 어머니가 지시적인 교수법을 지지하거나 수동적 학습신념이 높을수록 어머니는 과보호·허용적이고 거부·방임적인 양육행동을 더 보였다. 또한 교육적 기대가 높을수록 어머니는 과보호·허용적인 양육행동을 더 보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교육신념이 유아의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본 결과, 온정·격려적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능동적 교육신념이 총 숙달동기, 도구적 숙달동기, 사회적 지속성 그리고 표현적 숙달동기 중 숙달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였으며, 한계설정은 어머니의 능동적 교육신념이 총 숙달동기, 도구적 숙달동기 그리고 표현적 숙달동기 중 숙달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였다. 즉, 어머니의 교육신념은 유아의 숙달동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교육신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숙달동기 발달에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숙달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educational belief, maternal parenting and preschooler’s mastery motiva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roles of maternal parenting. Date were collected from 213 mothers of 3~5year old child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ries concerning their educational beilef,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mastery motiv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er’s mastery motivation differed according to sex but not to age. Second, maternal active learning belief and expec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mastery motivation of their child. Third,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behavior and limit sett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 mastery motivation of their child, whereas overprotective–permissive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low mastery motivation. Rejective-uninvolved parenting was related to negative reaction to failure, the expressive aspect of mastery motivation. Forth, maternal active learning belief predicated warmth–encouragement parenting and limit setting of the mother, whereas passive learning belief and dictative teaching belief predicated maternal overprotective–permissive and rejective–uninvolved parenting. Expectation predicted overprotective–permissive parenting. Lastly,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parenting and limit setting part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active learning belief and preschooler’s mastery motivation. That is, maternal educational belief influenced their preschooler’s mastery motiva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ir parenting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e both maternal educational belief and matenal parenting behavior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preschooler’s mastery motivation. Findings from this study would help researchers to develop programs that are intended to improve preschooler’s mastery motiv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