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예술계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신체적 자기지각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예술계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신체적 자기지각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Physical Self-Perception on Major Satisfaction in Arts High School Students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uthors
이은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계 고등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신체적 자기지각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두 곳의 예술계고등학교의 연극영화과와 무용과 남녀학생들 310명(연극영화과: 255명, 무용과: 55명)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습동기는 Vallerand, Pelletier, Blais, Senecal과 Vallieres(1993)가 학습동기이론을 바탕으로 개발한 학습동기 검사지(Academic Motivation Scales; AMS)를 조현철(2000)이 한국문화에 맞게 번안, 신종철(2008)이 수정한 척도에서 내적동기만을 측정하였다. 신체적 자기지각은 유진, 소호성(1998)이 사용한 설문지를 손수미(2010)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차정은(1996)의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척도를, 전공만족도는 하혜숙(2000)이 작성한 학과(학부)만족 도구 중 이동재(2004)가 전공만족관련 부분만을 추출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상관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예술계 고등학생의 학습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하였고, 이는 예술계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강한 내적 흥미가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인다고 해석 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신체적 자기지각은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신체적 자기지각과 전공만족도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완전 매개하였다. 이는 예술계 학생들이 지각하는 신체상이 긍정적일 수록 본인의 과제 수행능력을 믿게 되고, 이는 전공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학교생활에 만족감을 갖는 것으로 해석 된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예술계 고등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고, 이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중요한 개입과, 신체적 자기지각이 자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힌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예술전공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관련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황에서, 학생들을 이해하고, 예술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physical self-perception, and self-efficacy on major satisfaction of art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310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theater and film: 255 and dance: 55) living in Gyeonggi-do responded to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items related to learning motivation, physical self-perception,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search were as follow. First, learning motivation had a direc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of arts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lso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the major satisfaction, playing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Second, physical self-percep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of arts high school students directly. However, physical self-perception indirectly influenced major satisfaction though self-efficacy. More important, finding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rt schools' self-efficacy had stronger influences on major satisfaction than self-perception.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to promote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ough majo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lays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art education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