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that the art class utilizing the public art affects to the conmunication skill of first grade of high school
Authors
선진솔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속해 있는 우리사회는 교육, 문화, 사회 등 많은 영역에서 다양하게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와 함께 대중들은 다양성을 지니게 되었고 이들이 모여 공동체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대중들과 세상과의 소통이 필수적이다. 이를 반영하여 교육부에서는 소통이 원활한 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의사소통능력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 속 관계를 고려하며 상대방의 말을 정확히 이해하고, 언어적·비언어적 요소의 효율적인 사용을 통해 자신의 의도를 명확히 표현할 수 있는 능력으로 개인이 사회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정겨운(2013)의 연구에 따르면 미술을 통한 사회 참여는 ‘뉴 장르 공공미술’이 현대 참여형 미술의 지향점이 될 수 있으며, 공동체 중심 미술의 역할을 통해 해당 공동체의 문제를 개선하고 더욱 견고한 공동체로 재탄생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동체 사회를 이루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소통을 통해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집단 참여를 유도하는 공공미술을 고등학교 1학년의 미술수업에 적용하고 공공미술이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공공미술은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지역민과 미술가의 협업을 통해 대중의 참여와 소통을 강조하는 미술이다. 이러한 ‘뉴 장르 공공미술’은 공동체 구현을 목적으로 지역과 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함께 나누고 해결해가는 과정 중심의 미술프로젝트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공공미술의 교육적 가치 및 필요성을 토대로 선행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확장시킨 다양한 연구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미술의 이론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미술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고, 공공미술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성을 모색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및 고등학교 미술문화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과서 및 단원을 선정하였고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인문계 S 여자고등학교 1학년 두 개 학급으로 총 67명의 학생들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 32명의 학생들과 총 8차시에 걸쳐 ‘뉴 장르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수업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 35명의 학생들과는 7차시에 걸쳐 ‘장소중심 공공미술’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진행하였다. 평가도구는 수업 및 실기 결과물에 대한 교사의 평가와 더불어 학생의 자기평가로 구성하였다.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3)이 개발한 생애능력 측정도구 중 의사소통능력 검사지로 신뢰도가 검증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의사소통능력 검사 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업 및 실기결과물 및 수업만족도 설문지, 자기평가지는 질적평가를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뉴 장르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의사소통능력 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의사소통능력 평균 사전 점수가 3.37에서 사후 3.73으로 상승하여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인 ‘해석능력’, ‘역할수행 능력’, ‘자기제시 능력’, ‘목표설정 능력’, ‘메시지전환 능력’의 다섯 영역에서 통계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수업 및 실기결과물, 수업만족도설문지, 자기평가지 등을 질적평가와 함께 분석한 결과 ‘뉴 장르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의사소통능력 뿐만 아니라, 작품의 표현활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먼저, 학습자는 공공미술에 대해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하며 작가의 소통방식 및 미술과 사회의 소통관계에 대해 공감하였다. 더 나아가 학생들의 공감 및 감상을 표현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뉴 장르 공공미술’의 소통적 요소를 활용한 미술작품을 제작하도록 하였다. 작품 제작과정을 통해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자연스러운 소통의 장이 형성 되었고 학교 구성원들과 지역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소통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또한 작품 표현활동에 있어서도 ‘뉴 장르 공공미술’을 한 실험집단이 ‘장소 중심의 공공미술’을 적용한 통제집단보다 높은 완성도를 보인 것으로 보아 작품 표현활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공공미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시점에, 앞으로 공공미술을 활용한 여러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길 바란다.;Our society, which is in the postmodern era, is changing rapidly in many areas such as education, culture, and society. With these changes in society, the masses have diversity, and in order for these people to gather together to form a community society, communica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world is essential. In light of this,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with the goal of educating the talented person with goo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e ability is the ability to clearly understand the other's words and to express own intentions through the effective use of verbal and nonverbal factor, with considering the context in which the conversation takes place. It is essential for individuals to become members of society. According to a study by Jung-keun (2013), "New Genre Public Art" can be the focus of modern participatory art, and the role of community-centered art can be us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and regenerate more firm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public art to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art class which promotes interaction through communicating as a member of community society and encourages group participation, and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blic art on communication abilitys of students. Public art is art that emphasizes th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public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he local people and the artists who make up the community. This 'New Genre Public Art' has been used as a process-oriented art project to share and solve problems facing local communities and society in order to implement community. Recently, preliminary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educational value and necessity of public art, and there are various research possibilities that extend this. Based on the theories of public art,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high school art class and sought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rt and communication abilit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extbooks and units were selected by analyzing 2009 revised art curriculum and high school art culture textbooks, and a teaching - learning program was constructed. A total of 67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grade of humanities S-girls’ high school in Gwangju. A total of 32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8 times in art classes applying 'New Genre Public Art' . A total of 35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7 times in art class applying ‘location-based public art’. The evaluation tool consisted of the teacher 's evaluation on the instructional and practical results and the student' s self - evaluation. As the communication ability test tool, the reliability-certified test tool was used as the communication ability test place among the life ability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03),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measured through pre- and post-test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test of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results of the class and practical work,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lass, and the self - evaluation 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rt class using 'new genre public art' positively influenced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of first grade in high school.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est scores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the average communicatio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3.37 to 3.73,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istical results in the five sub-domain of communication skills of 'interpretation ability', 'role performance ability', 'self presentation ability', 'goal setting ability', and 'message conversion abil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of class and practical works, class satisfaction survey, and self - evaluation with qualitative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art class using 'New Genre Public Art' was not only brining positive influence on a communication skill of high school 1st grade, but also on expression activities of works. As matter of fact, the learner understood the public art, appreciated the work, and sympathized with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rtist and the communication relation between art and society. Furthermore, in order to expand the sympathy and appreciation of students' expressions, they were made to produce works using communication elements of 'New Genre Public Art'.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the work, a natural place for communication was formed for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munication activities of the students became active through the class process that encourages the participation of the school members and the local people. In addition,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the work, the experiment group with 'New genre public ar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the work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perfection than the control group with 'Place-based public art'.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art class using public art verified the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t is hoped that at the point when the research on public art is activ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using public art will be developed and positively affect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