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림-
dc.contributor.author김혜민-
dc.creator김혜민-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47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4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8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80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813-
dc.description.abstract랑야방을 시작으로 중국 영상물과 해당 작품의 원작 문학이 한국어로 활발하게 번역되고 있다. 아울러 작품을 향한 관심만큼이나 해당 작품을 둘러싼 영상과 문학 번역 비평도 뜨겁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정작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이 어떻게 다른지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어떤 언어든지 간에 ST(Source Text)를 TT(Target text)로 번역할 때 원천 언어와 목표 언어 간의 형식적 차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해 변이가 나타난다. Catford는 번역 변이(Translation shifts)를 “원천 언어(Source language)에서 목표 언어(Target language)로 가는 과정에서 형식적인 대응으로부터 벗어나는 현상”이라고 정의했다. 본고에서도 Catford의 정의를 원용하여 변이를 “원천 언어(Source language)에서 목표 언어(Target language)로 가는 과정에서 형식적인 대응으로부터 벗어나는 현상”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변이는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영상 존재 여부와 시공간적 제약 차이로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 변이의 내용과 빈도수는 다르다. 여기에서 시간적 제약이란 자막이 화면에 떠 있을 수 있는 시간을, 공간적 제약이란 자막이 표시되는 위치와 글자 수를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대사 비교를 통해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의 각기 다른 번역 양상을 살펴보고 언어적·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변이와 장르적 차이로 인해 다르게 나타나는 변이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드라마 <랑야방> 1-10편, 소설 『랑야방』의 챕터 1-19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태자 경선이 자신의 어머니인 월 귀빈을 연말 제례에 참여하게 하려고 수를 쓰는 에피소드 전까지의 내용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일하거나 유사한 ST의 영상 번역 TT와 문학 번역 TT를 분석한 결과,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에서 나타나는 변이는 크게 생략, 삽입, 전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양적 축소와 관련된 생략과 전환의 빈도수는 영상 번역에서 훨씬 높다. 시공간적 제약이라는 영상 번역의 장르적 특징이 번역 결과물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2) 생략 유형 중,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에서 공통으로 많이 나타나는 현상에는 주어 생략이 있다. 주어 생략에는 지칭어 생략, 인칭 대명사 생략(1인칭 대명사 제외), 지시 대명사 생략 등이 포함된다. 이는 담화 상황에서 주어진 정보를 생략하는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반면,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에는 1인칭 대명사 주어 생략과 연동문의 선행 동사 생략, 부속성분(형용사 지칭어, 수량사, 시간 부사어)과 독립성분(호칭어, 접속부사)의 생략, 문장 생략이 있다. 영상 번역에서는 영상과 시공간적 제약으로 모든 정보를 전달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요소들을 생략하지만, 문학 번역에서는 보존하는 경향을 보인다. 3) 삽입 유형은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에서 공통적으로 적게 나타난다. 삽입이 일어나는 경우도 중국어의 언어적 특성 때문에 원문에서 생략된 정보를 한국어 번역본에서 드러내거나 수식 받는 말의 의미를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경우로 한정된다. 주어, 부사어, 독립어 삽입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4) 생략, 삽입과 달리 전환 유형은 번역 결과물의 길이와 연관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뉜다. 전자는 중한 문학 번역에서보다 영상 번역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문장 층위에서의 압축 전환, 순서 전환, 성격 전환, 단어/구 층위에서의 일반화가 대표적이다. 반면, 후자는 중한 문학 번역과 영상 번역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일어난다. ST의 표현에서 벗어나 한국어다운 표현을 쓰는 표현 전환과 지시 대명사를 명사로 바꾸는 대체가 예이다. 번역 결과물의 길이와 연관은 없지만 인명 대체와 화면 일치 전환은 영상 번역에서 주로 나타난다. 5) 언어적·문화적 차이 외에 장르적 차이로 인해 영상 번역가는 영상물을 번역할 때 생략과 전환을 하는데 그러한 선택의 결과는 영상 번역의 양적 축소로 이어진다. 동일한 ST에 관해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의 음절 수와 글자 수를 비교한 결과, 영상 번역의 음절 수와 글자 수는 문학 번역보다 모두 약 20% 정도 적은 양상을 보였다. 이는 장르적 요인이 영상 번역 결과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중한 번역 최초로 시중에 나온 번역 결과물을 대상으로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을 비교했다. 둘째, 계량적인 측면에서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의 양적 차이를 최초로 분석했다. 셋째,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에서 나타나는 변이의 빈도수와 빈도수 비율 비교를 통해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에서 나타나는 변이를 언어적·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것과 장르적 요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구분하고자 했다. 다만, 랑야방이라는 한 작품의 대사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데다가 그 대사마저 상당수가 각색으로 인해 분석 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에서는 한계를 지닌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여러 작품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중한 영상 번역과 문학 번역에서 무엇을 빼고 더하고 바꿔야 하는지를 고민하는 초보 중한 번역가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任何语言之间的翻译,在翻译的过程中都会出现“翻译转换(Translation Shifts)”现象。卡特福德(Catford 1965,73)曾将其定义为“从源语进入译语的过程中摆脱形式对应的现象”。虽然在中韩影视翻译或文学翻译的过程中都会出现“转换”现象,中韩影视翻译中出现的转换现象与其频率和文学翻译中出现的转换现象与其频率有所不同。因为影视翻译是一种视觉上的感受,会受到时间和空间的限制。所谓的时间限制是指看字幕所需的时间,空间限制是指翻译字幕的字数和行数。本文研究的目的在于阐明影视翻译和文学翻译之差异。 为此,本文主要对电视剧《琅琊榜》和小说《琅琊榜》,电视剧《琅琊榜》的韩文版与小说《琅琊榜》的韩文版进行了对比分析。首先,从电视剧《琅琊榜》第1集到第10集和小说《琅琊榜》第一章到第十九张中抽出电视剧和小说的共同或类似的台词和翻译后的台词。其次,进行对照分析,阐明中韩影视翻译和文学翻译的共同、不同的转换现象。最后,计算文学翻译和影视翻译结果的长度,考察影视翻译的特征会不会影响到翻译结果的长度。 本研究的结果如下:1)无论是中韩影视翻译还是中韩文学翻译,都会出现转换现象。主要的转换现象分类为:省略、添加与转变。其中,省略和转变现象与翻译结果的长度有关,它们的频率在影视翻译上较高。2)省略现象中,影视翻译和文学翻译上出现的共同转换现象为主语省略,比如人称代词(第一人称除外)省略、指示代词省略。这些现象与韩语口语的特征有关,韩语口语中主语一般被省略掉。影视翻译和文学翻译上出现的不同转换现象为第一人称主语省略、连动句的第一谓语省略、句子的附加成分(形容词、数量词和时间副词)省略、独立成本(呼语和连接副词)省略、句子省略。影视翻译之所以尽量省去这些成分,是因为影视翻译受到时间和空间的限制。与此相反,文学翻译却会保留这些成分。3)无论是中韩影视翻译还是中韩文学翻译,都很少出现添加现象。4)转变现象可以分为两种,第一种转变现象与翻译结果的长度有关,第二种转变现象与翻译结果的长度无关。前者在影视翻译中出现的频率较高,典型的例子是句子层次上的句子压缩、倒换顺序、改写句子种类和词语层次上的普遍化。不过后者的频率在影视翻译和文学翻译中都较高,典型的例子是表达方式转变和指示代词转变。虽然人名代替和按画面来翻译与翻译结果的长度毫无关系,但是仅出现在影视翻译上。5)不同的转换现象和其频率会影响到翻译结果的长度,研究证明中韩影视翻译结果的长度是文学翻译的约80%。 本研究具有三个意义。第一,首次对正式出版的中韩文学作品和正式播放的中韩影视作品进行对比研究。第二,首次采用计量的方式对中韩影视翻译和文学翻译结果的长度进行比较。第三,对中韩影视翻译和文学翻译中出现的共同转换和不同转换现象进行研究,阐明语言因素导致的转换现象和影视翻译特征所引起的转换现象。希望本文可以成为中韩翻译新手们可以参照的一个翻译指南。;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of “shifts” in Chinese-Korean literary and screen translations. Catford (1965:73) defines “translation shifts” as “the departures from formal correspondence in the process of going from the Source language to the Target language”. The translation shifts occur in both Chinese-Korean literary and screen translations. However, because of their restrictions in time length and space, the screen translation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literary translations. To examin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hifts between the screen and literary translations, the study uses the Chinese-Korean translated works of the Chinese historical drama《Nirvana in Fire》and its original novel with the same titl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hifts in translation ar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ellipsis”, “addition”, and “reformulation”. (2) Some common ellipsis found in both literary and screen translations are ellipsis of personal (except the first person) and demonstrative pronouns. However, the ellipsis of the first person pronoun, first verb of serial-verb construction, referring expression, quantifier, adverbs of time, terms of address, conjunctive adverb and clause, are more commonly found only in the screen translations. (3) Additions rarely occur in both screen and literary translation. (4) Reformulations related to the length of the translation occur more frequently in screen translations. The revisions unrelated to the translation length, for example reductive paraphrasing and substitution, occur frequently in both screen and literary translations. However, standardization of character names, and translation based on individual screens appear only in the film translation. 5) These differences in shifts have led to different lengths in the literary and screen translations. The study shows that as a whole, the length of screen translation is 20% shorter than the length of literary trans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practical guide for the novice Chinse-Korean transla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5 1. 중한 영상 번역 5 2. 중한 문학 번역 7 3. 중한 영상/문학 번역 비교 8 II. 중한 영상/문학 번역 분석 대상과 방법 15 A. 분석 대상 15 1. 선정 이유 15 2. 소개 21 B. 분석 22 1. 동일/유사 대사 축출 22 2. 변이 내용적 분석 26 3. 변이 계량적 분석 29 III. 중한 영상/문학 번역 분석 결과 31 A. 변이 내용적 분석 결과 31 1. 생략 유형의 변이 31 2. 삽입 유형의 변이 50 3. 전환 유형의 변이 54 4. 소결 72 B. 변이 계량적 분석 결과 75 1. 음절 수, 글자 수 비교 75 IV. 결론 78 A. 결론 78 B. 의의와 한계 81 참고문헌 82 부록 1. 86 ABSTRACT 98 中文摘要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31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한 영상/문학 번역의 번역 양상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랑야방(瑯琊榜)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中韩影视翻译与中韩文学翻译的差异:以中韩译《琅琊榜》为例-
dc.creator.othername金惠敏-
dc.format.pageix, 101 p.-
dc.contributor.examiner최미경-
dc.contributor.examiner신지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통역번역대학원 번역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번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