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5 Download: 0

건강생성이론에 기반한 치과위생사의 건강상태 영향요인

Title
건강생성이론에 기반한 치과위생사의 건강상태 영향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status of dental hygienist based on theoty of salutogenic
Authors
임희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명선
Abstract
As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and life expectancy is extended, the increase in demand for oral health care and the various oral health policies of the government have resulted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creases in services demanded by the subjects. Dental hygienists have been experienc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related to those of work environments, such as muscular skeletal diseases, inhalation or skin contact with various dental materials, constant exposure to pathogenic infections,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alth status of dental hygienists based on the theory of salutogenesis an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fit and path of the model by establish the health structure model to derive the factor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ing the health. A questionnaire survey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dental hospitasl and dental clinic in tertiary medical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from April 30 to May 14, 2017. Out of the total 450 questionnaires, 441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the insufficient questionnai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health status in the health status of dental hygienists were found to be highes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rgonomic factor in exposure to harmful factors,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i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job requirement in the job stress, management ability in the sense of coherence, and meaningful person in the social support were the highest. In Health behavior of frequency of drinking was 1.4 times, the usual alcohol consumption was 0-2 glasses, frequency of binge drinking was less than once a month, and the light workout in exercise was the highest. Second, Sense of coherence directly affected the health status of dental hygienist, job stress affected health through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affected health status through sense of Coherence. Third, exposure to harmful factors,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job stress was all affected social support, which is generalizes resistance resources, and social support indirectly influences health status through mediation of integration. Fourth, drinking among the health behaviors decreased as the exposure of harmful factors increased, and drinking behavior increased as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increased. However, it did not directly affect health status. Exercise was not directly or indirectly significa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business plan and program development of dental hygienist applying theory of salutogenesis. In particular, sense of coherence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competencies for health promo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pe with stress, strengthen sense of coherence and promote various social resources for dental hygienists.;생활수준이 향상되고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구강진료 수요 증가 및 정부의 다양한 구강보건정책으로 대상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는 질적‧ 양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에 따라 치과위생사는 근무환경과 관련되어 근 골격계질환, 다양한 치과재료 사용 시 흡입이나 피부 접촉, 병원성 감염의 상시 노출, 감정적 노동 및 직무스트레스로 신체적, 정신적인 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생성이론을 근거하여 치과위생사들의 건강상태를 평가하고 직접적, 간접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건강구조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ㆍ경기 지역의 종합병원, 치과ㆍ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30일부터 5월 14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총 4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충분한 설문 응답지를 제외하고 총 441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과위생사의 건강상태는 사회적 건강상태가 가장 높았으며, 근무환경의 유해요인 노출은 인간공학적 요인, 근무환경의 심리적 환경은 감정표현의 빈도,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요구, 통합성은 관리능력, 사회적 지지는 의미 있는 사람이 가장 높이 차지하였다. 건강행위 음주빈도는 1.4회, 평소음주량 0~2잔, 폭음빈도는 월 1회 미만이었으며, 운동은 가벼운 운동이 가장 높았다. 둘째, 치과위생사의 건강상태에 통합성은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와 통합성을 매개로, 심리적 환경은 통합성을 매개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해요인 노출, 심리적 환경, 직무스트레스는 모두 일반적 저항자원인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주었고 사회적 지지는 통합성을 매개로 건강상태에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행위 중 음주는 유해요인 노출이 높을수록 낮아지고, 심리적 환경이 높을수록 음주 행위가 증가되었고 건강상태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운동은 직ㆍ간접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건강생성이론을 적용하여 치과위생사의 건강증진사업 계획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본 연구의 결과가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통합성과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을 위한 중요한 역량이므로 치과위생사가 스트레스 발생 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건강을 생성할 수 있도록 통합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사회적 자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