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경-
dc.contributor.author이혜진-
dc.creator이혜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43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4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4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43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78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methods and results of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in Korea and abroad using systematic review. In addition, through the meta-analysis, the effect size for outcome variables was calculated to identify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In this study, 72 articles(39 articles in Korea, and 33 articles from abroad) were reviewed from 2005 to 2016. In the meta-analysis of domestic studies, 31 papers excluding 8 papers without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Studies of school smoking interventions in Korea is either quasi-experimental or pre-experimental designs, and RCT is not included. And 33 foreign studies about school smoking prevention programs were analy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frequent participants in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s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in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s in Korea. In case of gender, smoking prevention programs were the most common in mixed groups, and smoking cessation programs were most common in male student groups. Most of the Korean school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did not describe theoretical models. On the other hand, more than half of the foreign studies described the theoretical model.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risk of bias by using RoBANS in Korean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programs, the risk of bias in the ‘selection of participants’, ‘confounding variables’ were relatively high in both the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And the ‘selective reporting’ territory is shown to have low risk of bias. Overall quality of studies were not high, and for the case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in particular, the risk of bias were shown to be high.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meta-analysis of domestic smoking prevention programs, the variables that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ere in knowledge and self-efficacy. For the case of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s,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temptation, amount of smoking, nicotine dependency, self-assertive behavior, CO volume in exhalation, and urine cotinin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all, the effectiveness of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s were greater than the school smoking prevention programs. As a result of the moderator effect analysis on the knowledge of smoking variable, in domestic smoking prevention program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as ‘theoretical model’. In case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as a result of the moderator effect analysis on the self-efficacy variabl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provider of programs’, ‘frequency of programs’, and ‘time per session’.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quality of study by using the RoB for the overseas articles, the quality of studies is higher than the domestic studies, but there are many that do not describe the information related to ‘allocation concealment’, ‘blinding of participants and personnel’ and ‘blinding of outcome assessment’. Variables showi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s of overseas are knowledge, attitude and smoking rate.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moderator effect analysis on the smoking rate, the odds ratio of the elementary schools was the lowest in terms of schools. In other words,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regarding the smoking 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ill be evidence-based data for researchers conducting school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interven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본 연구는 국내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연구와 국외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 연구에 대하여 일반적 특성, 중재방법 및 결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메타분석을 통해 결과변수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 차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국내 39편(흡연예방 17편, 금연 22편), 국외 33편의 총 72편의 논문을 고찰하였으며, 메타분석 시에는 국내 논문의 경우 대조군이 없는 8편을 제외한 31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학교 흡연중재 프로그램 연구는 유사실험연구 또는 원시실험연구로써 RCT는 한 편도 포함되지 않았으며, 국외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은 RCT 33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대상자는 중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금연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이 가장 많았다. 성별 구성의 경우 흡연예방 프로그램은 혼성집단에서 실시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금연 프로그램은 남학생 집단에서 실시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 인원은 국내에 비해 국외 프로그램에서 대다수 인원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국내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은 모두 연구진에 의해 실시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국외 흡연예방 프로그램은 교사에 의해 실시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은 국내·외 모두 교육과 활동을 병행한 다요소 중재요법이 가장 많았다. 국내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의 과반수에서 이론적 모델은 기술되지 않은 반면, 국외 분석대상 연구에서는 이론적 모델을 적용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았다. 국내 연구를 대상으로 RoBANS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비뚤림 위험을 평가한 결과,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모두 대상군 선정, 교란변수 영역에서 비뚤림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으며, 선택적 보고 영역은 비뚤림 위험이 낮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연구의 질은 높지 않았으며, 특히 금연 프로그램의 경우 비뚤림 위험이 높게 나왔다. 국내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낸 변수는 지식, 자기효능감이었다. 국내 학교 금연 프로그램의 경우,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유혹, 흡연양, 니코틴 의존도, 주장행동, 호기중 CO량, 소변 코티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차이를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에 비해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에서 효과크기 분포가 이질적이고 효과크기의 개수가 적절한 지식 변수를 대상으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 지식의 효과크기에 있어서 하위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중재 적용이론이었다. 즉 흡연예방 프로그램에서 적용이론을 보고하지 않은 경우에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으나, 각 연구에서 변화단계, 의사결정균형 등 주요 건강행동이론의 요소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론에 대해 기술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파악되었다. 학교 금연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을 대상으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고, 하위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중재실시자, 회기 수, 회기별 시간이었다. 국외 문헌을 코크란 RoB를 이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한 결과, 국내문헌에 비해 연구의 질이 높은 편이었으나, 배정순서 은폐나 연구 참여자, 연구자에 대한 눈가림, 결과 평가에 대한 눈가림 영역에서 관련 정보를 기술하지 않은 문헌이 많았다. 국외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지식, 태도, 흡연율이었다. 이 중 흡연율에 대해서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 급에 있어서 초등학교의 통합오즈비가 가장 낮았다. 즉 초등학교 학생 대상 흡연예방 프로그램이 흡연율에 있어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사용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 및 청소년의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중재를 수행하는 연구자를 위한 근거중심 자료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1. 아동 및 청소년 5 2.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5 3.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성 6 Ⅱ. 이론적 배경 11 A.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11 1.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의 현황 11 2.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의 특성 15 B.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19 1. 체계적 문헌고찰의 개념 및 특징 19 2. 메타분석의 개념 및 특징 22 3. 흡연예방, 금연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에 관한 선행연구 24 Ⅲ. 연구방법 29 A. 연구의 설계 29 B. 자료수집 및 선정 30 1. 문헌검색 방법 31 2. 문헌선정 방법 32 C. 문헌의 질 평가 37 D. 자료의 코딩방법 38 E. 자료 분석방법 40 1. 출판편의 검증방법 41 2. 효과크기 계산 42 3. 이질성 검증 44 4. 하위집단분석 44 Ⅳ. 연구결과 45 A. 국내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분석 45 1. 국내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연구의 특성 45 2. 국내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연구의 질 평가 54 3. 국내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연구의 총 효과분석 59 B. 국외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 분석 79 1. 국외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 연구의 특성 79 2. 국외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 연구의 질 평가 83 3. 국외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 연구의 총 효과분석 85 Ⅴ. 논의 및 결론 94 A. 주요 연구결과 및 고찰 94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01 참고문헌 105 [부록 1] 검색 전략 예시 119 [부록 2] 분석대상 연구 요약표 - 국내 120 [부록 3] 분석대상 연구 요약표 - 국외 126 ABSTRACT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619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학교 흡연예방,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성-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dc.title.translatedEffectiveness of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c.creator.othernameLee, Hyejin-
dc.format.pageviii, 14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