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8 Download: 0

요양보호사 대상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Title
요양보호사 대상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Death Education for Caregivers
Authors
황지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위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요양보호사가 간호보조업무 수행 시 적극적인 태도로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에게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시행 후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교육 시행 전·후 죽음에 대한 인식 변화와 현업에서의 적용 및 노인 돌봄 시 태도변화를 분석한 단일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용인시 소재 N 너싱홈에서 3개월 이상 근무한 요양보호사 30명을 비확률표본 추출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은 교육설계 모형 중 일반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애디(ADDIE) 모형을 바탕으로 죽음에 대한 이해, 죽음 준비의 필요성, 인생그래프 그리기, 입관체험자 사례 소개, 임종과정의 탐색, 호스피스 및 연명치료 소개, 임종 케어와 사후처치 보조업무, 사별과정 애도하기 등을 주요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주 1회, 50분 씩 총 4주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후 죽음에 대한 인식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Spilka et al.(1977)가 개발하고, 차영례(2006)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교육 시행 4주 후 현업에서의 적용 및 노인 돌봄 시 태도변화에 대하여 대상자에게 “교육에서 배운 내용이 업무와 어르신 돌봄 시 태도에 어떤 변화나 영향이 있었나요?” 라는 질문 후 답변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양적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사용하여 교육 전·후 죽음에 대한 인식 변화를 기술통계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교육 시행 4주 후 대상자에게 개방형 질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의 내용을 분석하여 두 가지 주제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죽음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후 죽음에 대한 인식 변화 본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죽음에 대한 인식은 평균 3.1±0.3에서 시행 후 평균 3.6±0.2로 증가하여 죽음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나타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12.533, p<.001). 2. 죽음교육 프로그램 시행 4주 후 현업에서의 적용 및 노인 돌봄 시 태도의 변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죽음교육 프로그램 시행 후 연구 대상자는 노인을 더욱 존중하고 조심스러운 태도로 정성스럽게 돌보게 되었고, 임종 전 노인을 대할 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져, 교육 시행 전보다 적극적인 태도로 임종 및 사후처치 보조업무를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들은 죽음교육 프로그램 시행 후 죽음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노인 돌봄 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져 적극적인 태도로 임종 및 사후처치 보조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요양시설의 간호업무 보조 인력인 요양보호사의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와 올바른 돌봄 태도 확립을 위한 실무적인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기틀을 제공하고, 그로 인해 노인요양시설 노인들의 여생 및 임종이 두려움 없이 편안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the change of positive perception of the death of caregivers working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and to provide caregivers with care for the elderly in an active manner when performing nursing assistant services.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at has analyzed changes in perceptions of death before and after death education, transfer of learning in the field of work, and attitude change in elderly car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conducted to caregiv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caregivers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3 months in a nursing home in Y City, Gyeonggi - do. The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nsisted mainly of understanding of death, necessity of death preparation, drawing of life graph, introducing casketing experience cases, exploration of dying process, introduction of hospice and life prolonging treatment, end-of-life care and care assistance after death and mourning during the bereavement process, etc, based on the ADDIE model, which is widely used in education design models.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subjects once a week for 50 minutes, for a total of 4 weeks. In this study, in order to measure and compare changes in perceptions of death before and after the death education program, the method developed by Spilka et al. (1977)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Cha Young-Rye(2006) has been used.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changes of the attitude in elderly care and the application of learning in the workplace after 4 weeks of education, I asked the subject "What changes did the contents learned in education affect the attitude of work and elderly caring ?" and the answer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to determine perception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using SPSS WIN 21.0 Program. Four weeks after the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open question asked to the subject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two t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ange in perception of death before and after the death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death before the program of death eduction was increased from 3.1 ± 0.3 to 3.6 ± 0.2, indicating a positive change in perception of death,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t= -12.533, p<.001). 2. The change of attitude in the application at workplace and the care for the elderly after 4 weeks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After application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have come to care for the elderly with more respect and cautious attitude, and the fear of death was disappeared when dealing with the elderly before death. As a result, they were able to carry out duties, end-of-life care and care assistance after death in more active way than befor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ubjects' perceptions of death changed positively and the fear of death in elderly care was disappeared and it was effective to change their attitude positively when performing duties, end-of-life care and care assistance after death. Therefore, I aim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a framework of practical death education program for the change of positive perception for the death of the caregivers who are the nursing care assistants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resulting that the life and death of elderly people in there can be comfortable without fea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