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7 Download: 0

치매 행동심리증상 노인 돌봄을 위한 요양보호사 대상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Title
치매 행동심리증상 노인 돌봄을 위한 요양보호사 대상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of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on Certified Nursing Care workers in a long-term Care Facilities
Authors
염미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 행동심리증상 노인의 효율적인 돌봄을 위하여 요양보호사대상 치매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한 후, 그 교육효과를 평가함으로써, 간호사 주도의 요양보호사 대상 치매 돌봄 교육의 기틀을 제공하고자 수행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 3일부터 2017년 4월 30일까지였으며,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1개 노인요양시설에서 치매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요양보호사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발된 치매교육프로그램은 4주, 4회기동안 실행되었으며 교육의 효과는 교육직후 치매지식측정으로 평가하였고, 교육 1개월 후 요양보호사의 교육이후 경험에 대해 개방형 질문으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 하였고,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t-test 통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매교육프로그램 시행 전 치매지식점수의 평균은 18.1±0.37점, 치매교육프로그램 시행 후 치매지식점수의 평균은 22.0±0.7점으로 나타나 지식의 점수변화가 평균 3.9±6.0점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t=3.53, p=.001). 2. 치매교육프로그램 교육에 참여한 요양보호사들은 교육이후에 치매노인과 치매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치매노인의 입장에서 공감하게 되고, 치매 행동심리증상의 악화원인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치매노인의 요구를 수용하고자 하였다. 치매 행동심리증상을 완화시키고자 주로 의사소통방법과 전환요법을 활용하고 있고, 학습한 내용을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배회, 망상, 반복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에 주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대상자들은 보다 더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치매 행동심리증상별 대처방법과 의사소통방법을 알고자하였으며, 치매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인 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치매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치매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요양보호사의 교육이후 경험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치매노인의 치매 행동심리증상이 돌봄의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시설내의 간호사 주도의 치매교육프로그램이 미흡한 실정을 감안할 때 시설의 요양보호사대상의 치매교육프로그램은 요양보호사의 역량을 증진시키고 효과적으로 치매노인을 돌봄으로써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 치매교육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반복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한 정기적 치매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is study is a one group pre and post test for study on evaluating an effect of a dementia car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teaching certified nursing care workers about effective care for the elderly with BPSD(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nurse-led certified nursing care workers education program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third, 2017 to April thirtieth, 2017, and the subject group for this research is 30 nursing home certified nursing care workers in an elderly care facility that participated in the BPSD care education program. The developed dementia care education program was practiced 4 times during 4 weeks, and the effect of the education was evaluated by dementia knowledge measurement right after the education, and by using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participants' experience 1 month after the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using the SPSS/WIN 23.0 version statistics program, and analysis of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have been used. Results is as follows: 1. The knowledge evaluation of pre and post dementia education showed that the average rate of preliminary BPSD knowledge was 18.1±0.37 (range 0-30) and the average rate of posterior knowledge evaluation was 22.0±0.7, thus the average knowledge change rate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t=3.53, p=.001), rating 3.9±6.0. 2. After carrying out the dementia care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ted certified care workers had their awareness of BPSD changed to a positive stance. This enhanced their sympathy degree by looking in the posi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helped them realize the main degenerative reason for BPSD, and made the participants accept demands from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y were mainly using communication and convert methods in order to improve BPSD and applied their education knowledge mainly in the dementia elderly's everyday life, such as wandering, delusion, and their repetitive and aggressive behavior. Additionally, they wanted to know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 more specific and efficient coping method for each BPSD, realizing the need and importance of dementia education, and eventually have come to want a continuous education. This study has its meaning on evaluating certified care workers’ knowledge, awareness change and their practical field application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dementia care education program for them. Following these results, a nurse working at a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y must carry out a on-site practical education considering certified nursing care workers' abilities and tasks, and a need for developing a formal education program is raised in order to continu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