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88 Download: 0

교대근무 간호사의 근무 중 식사 현황 및 간호정책 이슈

Title
교대근무 간호사의 근무 중 식사 현황 및 간호정책 이슈
Other Titles
Mealtime experiences and nursing policy issues during the working hours of nurses working shifts
Authors
김현원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경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근무 중 식사 실태를 파악하고 근무 중 식사 경험을 분석하여 간호정책 이슈를 제안하고 간호정책방향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으로, 교대근무 간호사의 올바른 식사문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및 병원 문화 재정립의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으로 근무 중 식사 실태를 파악하고 양적결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근무 중 식사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대상자들의 사실적인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보완적으로 사용하는 설명적 순차 설계(explanatory sequential design)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 양적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교대근무 간호사 219명이며, 자료 수집은 2017년 4월 25일부터 2017년 5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양적자료수집에 사용된 근무 중 식사 실태 조사 설문지는 연구자가 개발하고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2단계 질적연구의 연구대상은 1단계 참여자 가운데 22명을 목적적 표본 추출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0일부터 2017년 5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였고, 본 연구의 핵심질문은 “근무 중 식사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이었다. 수집된 양적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χ2검정, t-test로 분석하였고, 질적자료 분석은 연구의 질문을 기본 축으로 하여 분석하는 질적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방법으로 분석하였다. 1단계 양적연구와 2단계 질적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및 논의를 진행하였다. 양적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근무 중 식사횟수를 확인한 결과, 주 5일 5회 기준으로 Day와 Evening 근무 시 간호사들의 평균 식사 횟수는 3교대, 2교대 각각 2.35회, 4.52회로 나타났고, 근무형태에 따른 식사 횟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주 5일 5회 기준으로 Day 근무 시 식사 횟수는 2교대가 평균 4.43회로 3교대의 평균 2.41회보다 많았고, Evening 근무 시에도 2교대가 평균 4.61회로 3교대의 평균 2.28회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2교대가 3교대 보다 식사 횟수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연구대상자 병원의 특성상, 2교대와 3교대의 근무강도나 근무조건 특성 등의 차이로 인한 결과일 수도 있으므로 2교대 부서라서 3교대 부서보다 식사를 더 많이 한다고 단편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식사소요시간을 확인한 결과, 근무 중 식사소요시간은 평균 10.47분, 평소 식사소요시간은 평균 32.16분으로 근무 중 식사소요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근무 중 식사시간의 편안함 여부를 확인한 결과, 근무형태에 따른 근무 중 식사시간의 편안함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식사 시 편안함 유무에 대한 응답에서 ‘아니오(91.6%)’가 ‘예(8.5%)’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많은 간호사들이 근무 중 식사를 편하게 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무 중 식사를 하지 못하는 이유는 업무과다⋅업무지연으로 인한 부담감(17.9%), 예상되는 추가업무로 인한 불안감(16.6%), 병원식사가 맛이 없어서(11.8%), 동료에게 부담 주는 것 같아서(11.6%) 등이었고, 근무 중 결식으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으로는 속쓰림(26.3%), 폭식(24.5%), 소화불량(22.2%), 변비(7.6%) 등이 확인되었다. 2단계 질적 연구결과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근무 중 식사 경험은 우선순위에서 늘 밀려나는 식사시간, 반복되는 결식으로 인한 심신의 소진, 간호직에 대한 회의감, 식사시간 보장에 대한 바램의 4개 주제로 도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근무 중 식사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올바른 식사문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및 병원 문화 재정립의 실천적⋅정책적 대안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이와 함께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식사시간 중 업무위임 제도화, 인식개선 캠페인을 통한 식사문화 조성, 근무 중 식사의 질 향상을 제안한다.;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mealtime status of nurses working shifts in order to analyze their eating experiences during work and to propose nursing policy issues, provide basic data on nursing policy direction, and provid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institutional culture and reestablish hospital culture. This study used an explanatory sequential design. In this study,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the eating situation during working hours a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offe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working meals with a focus group interview as a complement to the subjects’real-life experiences.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consisted of 219 nurses working in shifts at general hospitals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25 to May 2, 2017. The survey questionnaires used in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were verified and supplemented after the contents were verified by experts. In the second phase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purposive sample of 22 participants in the first stage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0 to May 20, 2017,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open-ended questions. A key question in this study was "What is your experience with meals during work?"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ith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1.0.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second stage qualitative analysi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verage numbers of meals eaten by nurses working day and evening shifts on a five-day week were 2.35 and 4.52 (3 and 2 shifts). Analysis of differences the meal times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M = 2.41) and two (M = 4.43) day shif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between three (M = 2.28) and two (M = 4.61) evening shifts (p < .001). The results showed that nurses working two shifts nurses had more opportunities to have meals than did nurses working three shifts. However, owing to the nature of the study subject hospitals, this finding may be a result of characteristic differences in workload and work environment between two and three shifts. Therefor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that nurses working in the three-shift departments eat more often than do those working two shifts. The time to eat meals during working hours (M = 10.47)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usual meal times (M = 32.16) (p < .00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fort during mealtime between the types of work (p > .05). Regardless of the types of work, most nurses were not comfortable during meal time (the number of “no” [91.6%] respon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umber of “yes” [8.5%] when responding to comfort in eating). The main factors for why nurses skipped their meals were the following: work burden due to overtime and delays (17.9%), anxiety due to anticipated additional work (16.6%), poor-tasting hospital meal (11.8%), and burden to colleagues (11.6). Heartburn (26.3%), binge eating (24.5%), dyspepsia (22.2%), and constipation (7.6%) were experienced by those unable to eat meals during their work time. Second, the qualitative research revealed that the nurses’meal experiences when working shifts was divided into four themes. These included the lack of meal time priority, the exhaustion of the mind and body due to repeated withdrawal, a sense of skepticism about nursing care, and a desire for meal time guarant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meal culture and practical and policy alternatives for reestablishing hospital culture by understanding the meal experience during working hours. A robust improvement plan propose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 delegation during mealtime, establishment of meal culture through an awareness campaign, and improved meal quality during the working hou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