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Cultural Discomfort During Korean-Thai Communication Encounters in the Workplace

Title
Cultural Discomfort During Korean-Thai Communication Encounters in the Workplace
Authors
CHOENGRU, PAWARISA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태국과 한국 조직간 대인 및 전문적 문화 소통 동향이 증가함에 따라 직장 내 성공적인 문화 교류 소통을 고무할 수 있도록 한국, 태국 근로자에 더불어 소통 조력자 사이의 문화적 불편함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중요사건기반 방법에 기반을 둔 정성적 자료 수집은 이 연구를 위해 선택 되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태국 근로자 와 태국과 한국 내 태국 관련 한국 조직 향상을 위한 확장된 조력자들이 받은 비효율적인 소통을 모으기 함이다. 37명의 응답자들이 나눈 111개의 일화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문화적 불편함으로 분석되었다. (1)언어 소통 (부적절한 주제,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차이, 농담 사용) (2)비언어 소통 (목소리 크기의 차이, 개인적인 공감 침해, 부적절한 신체적 접촉) (3)문화적 성향 (집산주의, 경쟁주의, 서열, 민족주의, 성 불평등) (4)언어 장벽 (미숙한 영어, 미숙한 태국어, 미숙한 한국어, 미숙한 혼합 언어) (5)직업의식 (일 처리속도의 차이, 생소한 회식 및 술자리, 근무 자세 차이, 명확한 지시 미제공, 일에 대한 헌신도의 차이) (6)적응 및 태도 (생소함에 대한 부적응, 분노 조절) 마지막으로 다음은 조력자들이 언급한 부분이다. (1) 태국과 한국의 특성 이해 (2)태국과 한국의 근로 문화 이해 (3)문화간 능력 발전: 행실, 태도, 기술 회사 내에서 태국인과 태국인 그리고 한국인과 한국인 근로자들이 겪는 의사소통의 자세한 사실은 태국인 응답자들이 말한 언어 소통, 비언어 소통, 문화적 성향, 직업의식, 적응 및 태도 분석은 동료 태국 근로자들에 대한 주요 인식이었던 반면 한국인 응답자들은 문화적 성향, 직업의식 그리고 적은 및 태도를 한국인 동료 근로자들에 대한 주요 인식으로 언급했다. 또한, 이 결과들은 태국인들의 한국인 동료 근로자들에 대한 불편함과 한국인들의 태국인 동료 근로자에 대한 불편함을 확립시켰다. Mijiddorj (2010) 와 Valerievna (2009)의 이전 연구에 따르면, 언어 소통, 비언어 소통, 언어 장벽과 사고방식이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 문화적 불편을 일으킨 다라 제시했다. 또한, 각자의 문화 이해와 이 문화간 행실, 태도 그리고 기술 능력을 발전은 두 당사자들에 대한 문화적 불편으로 조력자들이 언급했다. 이 연구의 한계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는 한국 조직 내 한국인과 태국인 근로자들에 중점을 둔다. 그러므로 태국 조직이나 양측에 대한 향후 연구는 유용할 것이다. 둘째, 이 설문의 대부분 한국 응답자들은 상사들인 반면 대부분의 태국 응답자들은 부하 직원이다. 가능하다면 회사 내 직책의 높낮이가 같은 상황을 경험하는지 같은 관점을 가졌는지 보기 위해 각 그룹의 숫자를 균등하게 나누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모든 조직은 영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만약 향후 연구들이 한국어와 태국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다른 조직을 포함한다면 결과는 더욱 흥미로울 것이다. 본 연구는 이 연구에 한계에 있기에 의사소통 불편의 다른 요인들과 문화간 의사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조력자들은 상황, 응답자 그룹, 방법 그리고 한 직장 내 사용되는 공식 언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향후 가능한 연구는 다른 문화적 배경의 부하 직원이 상사에 대한 인식과 상사가 부하직원에게 갖는 인식으로 생겨나는 문화적 적응과 문화적 불편함을 다루는 것이다.;The trend of interpersonal and professiona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f Korean and Thai in organizations is increasing so, it is important to concern about cultural discomfort between Korean and Thai workers along with the communication facilitators in order to encourage the successful cross-cultural communication in a workplace. The collection of qualitative data based on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methodology (a modified Critical Communication Experience Survey) was selected to conduct this research. Therefore,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ineffective communication perceived by Korean and Thai workers and extended facilitators for the improvement for Thai-related Korean organization in Thailand and Korea. The analysis of data collection from 37 respondents who shared 111 stories produced the following cultural discomfort: (1) Verbal communication (Inappropriate topics, Difference in direct communication, The use of jokes); (2) Non-verbal communication (Difference in volume of voice, Violating individual space, Inappropriate touching behavior); (3) Cultural orientation (Collectivism, Competitivism, Hierarchy, Ethnocentrism, Gender inequality); (4) Linguistic challenges (Inadequate English, Inadequate Thai, Inadequate Korean, Inadequate mixing of languages); (5) Work ethics (Difference in work speed, Unfamiliar Hwe-sik/ drinking, Difference in work attitudes, Not providing clear requests, Difference in work commitments); (6) Adaptation and manner (Not adapting to unfamiliarity , Not controlling temper). Finally, the following perceived facilitators were also mentioned (1) Understanding Thai/Korean characteristics; (2) Understanding Thai/Korean work culture; (3)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ies: behavior, attitudes and skills. For the further discovery on communication during Thai-Thai and Korean-Korean encounters in the workplace, according to the analysis Verbal communication, Non-verbal communication, Cultural orientation, Work ethics, and Adaptation and manner given by Thai respondents are major perceptions towards Thai co-workers, while Korean respondents mentioned about Cultural orientation, Work ethics, and Adaptation and manner as major perceptions towards Korean co-workers. The results also ensured Thai’s point of view of discomfort towards Korean co-workers and Korean’s point of view of discomfort towards Thai co-work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Mijiddorj (2010) and Valerievna (2009), it showed that verbal communication, non-verbal communication, linguistic challenges, and way of thinking caused factors of cultural discomfort between Korean and foreigners. Also, understanding the respective culture and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ies: behaviors, attitudes, and skills were mentioned as facilitators for cultural discomfort for both parties. Limitations on my stud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and Thai workers only in Korean organizations. Thus, it would be benefit for further studies to study on Thai organization or both organizations. Second, most of Korean respondents in this survey are supervisors while most of Thai respondents are subordinates. If possible, I would like to balance the numbers equally for each group to see whether higher and lower positions in workplace experience the same or different situations and proceed the same or different perspectives. Last, all organizations in this study use English as a formal language. The results might be more interesting if future studies can involve other organizations where Korean and Thai are the main languages. The present study is limit under the study, so other factors of communication discomfort and perceived effective facilitators for cross-cultural communication could be different and various depending on circumstances, group of respondents, methodology, and main language spoken in a certain workplace. It is also possible for further studies to focus on cultural adaptation or cultural discomforts from the perception of subordinates towards supervisors and supervisors to subordinates who belong to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