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45 Download: 0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influences of art criticism education applied on G. Geahigan's critical inquiry theory on learners' critical thinking : For 1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박민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급변하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수많은 이미지와 정보를 마주하게 된다. 이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역량 강화를 강조한다. 역량이란 학습자 스스로 의사결정과 선택을 통해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재구성하고 나아가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이다. 특히 미술과에서는 5가지의 교과 역량인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술 문화 이해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기를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역량을 육성하고 강화하는 것은 포스트모던 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이미지와 정보가 범람하는 시각 문화 속을 살아가는 오늘날의 학습자들에게 필수적이다. 특히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와 의미를 고려하여 중요하고 올바른 것을 분별하고 선택하는 안목, 즉 비판적인 성향과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2009 개정 미술 교육과정 내용에서도 비평 교육을 통한 비평적 사고력을 이미 강조해온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는 학습자의 비판적인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비평관점과 방법을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각 출판사별 8종의 고등학교 미술문화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 속 비평 모형은 펠드먼(Feldman, 1973)이 제시한 비평의 4단계 모형을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펠드먼이 제시한 미술 비평 모형은 학문중심 미술교육(DBAE: Discipline-Based-Art- Education)에서 도입된 미술 비평의 방법이며 교육현장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비평 방법이다. 그러나 펠드먼의 비평 방법은 4단계의 선상 구조에 따라 학습이 진행되어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주도적이고 주체적인 비평활동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언어에 의존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게히건(Geahigan, 1999)은 ‘단계’로서의 미술 비평 교육 이론의 모순을 지적하며 펠드먼의 비평 모형을 ‘비평적 담화’라고 하였다. 게히건은 ‘비평적 담화’를 대신해 ‘비평적 탐구’ 모형을 비평 교육에 제안하였는데 이것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배경을 두며 듀이(Dewey, 1910)의 탐구 과정에 영향을 받은 비평 모형이다. 게히건은 자신이 제시한 비평적 탐구 모형이 절차적인 비평적 담화와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즉, 미술 작품이 학생들에게 의미와 가치에 관한 문제를 제시하고 가정하며, 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개인적 반응을 토대로 다양한 탐구 활동을 진행하며 훨씬 복잡한 진술로써 작품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비평식 담화’와 달리 순환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과 학생의 개인적 반응 강조와 탐구 활동을 통하여 작가보다 작품을 바라보는 감상자의 입장에 초점을 맞추어 더 심화된 비평 활동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S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66명의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33명, 통제집단 33명으로 구분한 후 각 집단에 대해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과 비평적 담화식의 비평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을 각각 총 6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먼저, 각 집단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대한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김명숙(2002)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를 통해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또 정혜수(2015)가 제시한 측정 도구를 통하여 미술 감상과 미술 비평에 관한 인식과 이해 정도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비평문에 대한 평가도구로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문화 ‘미술과 감상’영역의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참고,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판적 사고 성향의 측정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했으며, 수업의 결과물인 비평문 및 수업만족도 평가를 통하여 질적 서술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비판적 담화식의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과 비교하였을 때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비판적 담화식의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과 비교하였을 때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의 각 하위영역에 대해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을 받은 학습자의 ‘상'에 해당하는 비평문을 분석한 결과, 스스로 작품에 대해 추론해보고 사실을 검증해보는 과정을 통하여 작품을 맥락에서 바라보는 안목형성과 이를 바탕으로 감상한 학생의 개인적인 가치판단을 통하여 비평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수업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작품의 내용과 가치에 대해 가설을 세우고 추론하며 결과를 검증하는 일련의 ‘탐구’활동을 통한 비평이 학생들로 하여금 비평 활동에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였고 자기 주도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였다는 판단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모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미술 비평 수업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등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비평 교육을 위해 다양한 비평 모형이 분석되고 활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사뿐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many people face numerous images and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ir own will. For this reas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strengthening of the capability. The capability means that the learners themselves reconstruc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selves through decision-making and selection, and then solve the problem. In particular, the arts department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five aptitudes such as 'aesthetic sensibility',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creative and convergence ability', 'art culture understanding ability', and 'self - 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Fostering and strengthening these competencies is essential for today's learners who live in a visual culture that is based on postmodern society with overwhelming images and information.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have the ability to discern and select important and correct things considering the values ​​and meanings they pursu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current 2009 revised art curriculum already emphasize cri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critical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re is a need for the art criticism class to utilize various aspects of criticism and methods to encourage critical thinking. However, analyzing eight high school art culture textbooks by different publishers, most textbooks deal with the four step model of criticism suggested by Feldman(1973). Feldman's art criticism model is a method of art criticism introduced in the Discipline-Based-Art-Education(DBAE) which is commonly used in educational settings. However, Feldman's method of criticism points out that learning progresses according to the four-level structure of the ship,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learner to carry out self-directed and subjective criticism activities and to depend on the language. For this problem, Geahigan(1999) noted that the contradiction of art critic education theory is the 'stage'. He also called Feldman's criticism model 'critical discourse'. Geahigan proposed a 'critical inquiry' model for criticism education in place of 'critical discourse', a critique model influenced by Dewey's(1910) inquiry process, setting the background for postmodernism. Geahigan argues that his critical inquiry model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procedural critical discourse. In other words, the art work is the process of judging the value of the work as a much more complicated statement by presenting the problem to the students considering the meaning and value, and assuming various inquiry activities based on students' personal responses to the work. Therefore, it is a cyclical process as opposed to 'non-critical discourse', and further deepened criticism activities can be achieved by focusing more on different perspectives than the student's personal reaction and inquiry activ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the first grade high schoolers after applying the Geahigan’s critical inquiry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66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first grade of S high school in Seou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3 experimental group and 33 control group. the art criticism class applying the critical inquiry model and the art criticism class applying the critical discourse model was carried out separately for 6 times in total.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homogeneous group through 'critical thinking tendency test' developed by Kim, Myoung-Sook(2002). And Jeong Hye-soo(2015) showed the similarity between the perception of art appreciation and art criticism. As an evaluation tool for criticism, the achievement level of 'art and appreciation' area of ​​high school art culture according to 2009 revision curriculum was referenced and reconstructed.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SPSS (Statistical-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narrative analysi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criticism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criticism with the critical inquiry model of Geahigan showed a higher level of critical thinking tendency compared with art criticism clas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model. Second, when the art criticism class with the critical inquiry model of Geahigan was compared with the art criticism clas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model, it showed higher results for each sub - domain of the learner 's critical thinking tendency.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riticism corresponding to the 'Top' of the learner who received the art criticism class with critical inquiry model of Geahigan, Through the process of deducing the works and verifying the facts, I was able to find critical contents through the students who formed their own perspectives and values from the context of the work.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criticism through a series of 'inquiry' activities that hypothesize, infer, and establish the content and value of the works, students found interest in criticism activities and made self-directed participation. In conclusion, art criticism class applying the Geahigan's critical inquiry mod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critical thinking tendency as it attrac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art criticism lecture. Therefore, various criticism models should be analyzed and utilized for art classes in high school. School and community should cooperate for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art criticism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