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적 접근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적 접근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rt and Science class on the creative expression : Focusing on the 5th graders of the Elementary School
Authors
변아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최근 현대 사회는 문제를 해결하는 통합적인 사고를 갖춘 인재를 요구하며 빠르게 생성되는 정보와 기술을 융합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 교육현장에서도 단편적인 지식 전달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통합적·융합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통합수업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교육계에서는 교육과정을 통해 교과의 각 성격을 중시하여 영역을 구분하는 분절된 형식의 교과수업에서 벗어나 교과 내용, 학습 경험을 중시하는 통합적 운영을 시도하였다.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의 통합적 운영의 성격이 반영되었는데, 학년군제와 교과군제의 도입으로 학년 및 교과의 영역에서 벗어나 학습의 연결성과 체계성을 실현시키고자 하였다. 다음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두었으며, 다량의 지식을 소유하는 것 대신 여러 분야의 지식을 적용 및 활용하는 능력을 갖출 것을 중요시하였다. 이러한 통합수업은 학습자의 경험 및 주제를 중점으로 수업을 재구성하여 실제 생활양식의 상호연관성을 고려한 지식을 학습하고, 삶 속에서 학습한 지식을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한다. 또한 지식이 병렬적으로 단순하게 제시되는 학습에서 벗어나 각 요소들이 응집력과 통일성이 있는 형태로 제시되어 학습에 내제된 핵심적인 개념과 일반적인 원리를 이해하도록 한다. 여러 교과 중 미술 교과는 인성과 문화적 소양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핵심 교과로 새로운 시각을 통해 작품을 창조하고 타 분야와 융합한 창의적인 사고를 위한 과목이다. 이렇듯 창의적 사고를 위한 과정으로 미술 교과가 중요시 되었음에도 실제 현장에서는 단순한 대상 표현 재현 능력, 반복적인 연습 등 사실적 재현 위주의 수업이 대다수였다. 그 중 초등학교에서는 창의적인 창작 활동을 위해 교사의 재량에 따라 국어·사회·음악 등 다양한 교과와 통합이 이루어졌으나, 소수 교과에 편중되어 교과 선정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중 과학 교과는 과학적 원리와 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 표현과 연결하여 학습 내용을 적용 및 응용하는 경험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사들의 요구가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타 교과에 비해 연구가 미비하였다. 또한 사람들은 과학과 미술을 별개의 영역으로 간주하여 미술가는 창조적, 자유로운 것이고 과학자는 계산적, 방법적인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최근의 과학과 미술의 영역이 함께 접목된 미디어 아트, 인터렉티브 아트 등과 같은 분야의 관심이 증가하였고 이는 미술과와 과학과가 분리된 영역에서 벗어나 서로 연관성을 지녔으며 융합적 접근이 요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수업 주제는 ‘나의 미래 모습 캐릭터 디자인’이며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교과 통합수업을 설계 및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교과 통합과 창의적 표현력에 대한 선행 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통합의 필요성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이어 미술과와 과학과의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두 교과의 교과 통합이 갖는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교과 통합 수업 설계를 위해 Fogarty의 거미줄형(webbed)을 선정하고 학습 주제인‘나의 미래 모습 캐릭터 디자인’을 교수·학습 흐름도 및 학습 지도안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양천구에 소재한 두 개의 초등학교로 M초등학교는 19명의 실험집단, K초등학교는 18명의 통제집단으로 설정한 뒤 총 37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강다원(2015)과 김가영(2015), 윤경선(2015)의 연구를 참고하여 총 16문항의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검사지의 내용은 미술과와 과학과의 흥미도와 지식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며 문항은 Likert 척도와 단답형 형식으로 두 집단의 동실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실험집단은 총 8차시의 통합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총 6차시의 분절식 수업을 진행하여 두 집단의 활동지와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검사 도구는 용재현(2008)과 윤성연(2013)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Lowenfeld(1987)가 제시한 창의적 구성요소 9가지를 평가 기준으로 설정하고 세부 평가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교육전문가 1인과 교사 1인으로부터 검증을 받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결과물을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를 활용해 3인 평가를 평가하였으며 통합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결과 검사지는 SPSS WIN 21.0v 프로그램을 사용해 통계 처리를 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통합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세부적으로 알아보고자 결과물을 질적 분석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 및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과 과학과의 통합수업은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표현방법 영역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유의하였다. 둘째, 통합수업은 학습자가 학습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표현 활동에 응용 및 적용에 효과가 있어 분절식 수업에 비해 학습에 적극적인 참여를 갖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통합수업은 학습의 체계성과 종합적인 관점을 형성하게 하여 학습자의 대상 표현 방법 및 주제 해결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습 만족도에 긍정적인 수업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실험집단의 창의적 표현력의 향상 정도와 통합수업의 의의 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가 실제 미술과 수업에서 도움이 되고 통합수업과 관련한 후속연구를 통해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 수업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Recent modern society requires the talented person who is equipped with integrated thinking to solve problems and needs the ability to fuse the information created faster and skills.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and social needs,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ed class that enables the integrated and fusion thinking which is away from transferring learning-oriented knowledge increases in the education field. Thus, the education world have attempted integrated operations with an emphasis on curriculum content and learning experiences by getting out of the academic classes with segment format which separates the area to focus on the nature of each subject through curriculum. First, the 2009 revised curriculum reflected the nature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curriculum and tried to achieve the connectivity and learning which was got out of the curriculum and the grade due to introduced the system of grouping school grades and the system of grouping curriculum. The next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cultivating the creative and integrated type of the talented person who was equipped with the humanistic imagination and scientific technological capacity. It emphasized on the ability to apply and utilize knowledge in various fields instead of owning a large amount of knowledge. These integrated classes are to reconfigure the class focusing on the learning experience of the learner and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consider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 actual lifestyle and helps to take advantage of useful knowledge learned in life. In addition, it enabled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key concepts and generic principles which is inherent to the study because knowledge is simply out of the study presented in parallel, and each of the elements is presented in a form of the cohesion and unity. The Art among many subjects which is a core subject for creative human resources with knowledge who are equipped with the knowledge of human nature and cultural convergence. Although the Art class was emphasized as a course of creative thinking, the majority classes were focused on the realistic reproduction such as a simple representation reproduction capability and repetitive exercises. Nevertheles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integration with a variety of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Society and Music for the discretion of the creative work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teacher. However, due to concentrating on a few subjects, the balance of selecting the subject was not made. On the other hand, the Science had high demand for teachers because the experience of connecting to art expression applied the learning contents was possible based on the scientific principle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 but the study on this subject was not sufficient compared to other subjec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rt and Science class on the creative expression was focused based on these lessons. The integrated class wa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class with a subject,“Designing the character of my future looks” focusing on the 5th graders of the elementary school. Thus, key researches were investigated a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as analys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act of curriculum integration and creative expression. Then, Fogarty's 'Webbed' was adapted to the integrated class and the lesson plan was designed accordingl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students in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S cit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9 students who went through a 8-period integrated clas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8 students with a 6-period segmented class. Then, a total of 37 people were selected after setting 18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identity of the two selected groups, the strip of 16 questions were produced with reference to the study of Dawon Kang (2015), Ga-young Kim (2015) and Gyeongseon Yoon (2015). The contents of strip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interest and knowledge of the arts and sciences. The Homogeneity of two groups was verified with the questions of the Likert scale and short-answer format. After that, a total of the 8-period integrated classes were conducted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total of the 6-period segment classes were conducted by the control group. Then, activity notes and result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As a testing tool, 9 kinds of creative elements that Lowenfeld (1987) suggested were set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ies of Jaehyeon Yong (2008) and Seongyeon Yoon (2013), and the detailed assessment was made. Also, it was verified by an education expert and a teacher. The results of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evaluated by 3 assessors. The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organised and analysed by SPSS Win 21.0v programm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class,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conducted. Thus, the results were drawn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class of Art and Scienc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creative expression, and in particular, the effects on the area of expression method were the most significant. Second, the integration class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due to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class content and the effects on the application of the expression compared to the segment type clas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gration class had a high satisfaction on the class by forming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the study and having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ers’expression and solving the problem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rt and Science class on the 5th graders’ creative expression and has the meaning in improving extent of creative ex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suggesting the significance of the integrated class.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helps the school of Art and through follow-up studies related to integrated classes, the integrated classes of Art and Science are to be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