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불성실공시법인의 공시위반제재금 대체부과에 대한 상대적 반응

Title
불성실공시법인의 공시위반제재금 대체부과에 대한 상대적 반응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ve Response by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toward Substitute Levies for Disclosure Violation Fines
Authors
박채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수
Abstract
Corporations transmit their internal information to external users. If management provides nontransparent information with impure intentions, the distorted information may mislead the financial decision-making of capital market participants. The unfaithful disclosure system was introduced as a method for restraining such opportunistic behavior by management. Corporations designated as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receive sanctions including penalty points through the deliberation of the stock exchange and may receive additional disclosure violation fines depending on the gravity of the violation. If the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satisfies all requirements as defined by each market, it can pay a portion or all of the penalty points imposed by the committee’s deliberation by substituting them with a fin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whether markets react discriminately between corporations that substitute all of their penalty points with disclosure violation fines and corporations imposed only with penalty points, and also whether the effect of the sanctions on designated corporations occur in discriminatory fashion. The study examines stock price responses through short-term cumulative abnormal returns to achieve this. The study also examines whether th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between corporations that substitute all of their penalty points with fines through corporate discretionary accruals and corporations imposed with solely penalty points improve in discriminatory fashion. The results of analyzing corporations listed in the securities market and the KOSDAQ market between 2011 and 2014 are as follows. First, the market reacted relatively less negatively toward corporations that substituted all of their penalty points with disclosure violations fines than corporations imposed with only penalty points. Simply put, the market determined that corporations substituting penalty points with fines were relatively less of a risk. Second, the corporate discretionary accruals of corporations that substitute all of their penalty points with fines decrease the next time they are designated as a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This shows that corporations substituting all of their penalty points with disclosure violation fines are improving their financial reporting quality in order not to be re-designated as an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se analysis results all indicat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KOSDAQ market. This shows results similar to preceding studies that indicated discriminatory results depending on the market. The present study has points of differentiation from preceding studies in that it deals with positive research on disclosure violation fines for the very first tim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unfaithful disclosure system by comparatively analyzing market reaction and financial reporting quality between corporations that substitute all of their penalty points with disclosure violation fines and corporations imposed with only penalty points. Furthermore, by analyzing changes in discriminatory market reaction and financial reporting quality between corporations that substitute all of their penalty points with disclosure violation fines and those imposed with only penalty points, the study makes a contribution in the form of verifying discriminatory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choice of management to substitute penalty points with disclosure violation fines.;법인은 공시를 통해 법인의 내부정보를 외부이용자에게 전달한다. 만약 경영자가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투명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한다면 왜곡된 정보로 인해 자본시장참여자들의 경제적 의사결정은 오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불성실공시제도가 도입되었다.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법인은 거래소의 심의를 통해 벌점등의 제재조치를 부과받으며 위반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공시위반제재금이 추가로 부과될 수 있다. 이 때 불성실공시법인은 각 시장에 규정된 요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부과받은 벌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재금으로 대체하여 납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과벌점을 공시위반제재금으로 전부 대체하는 법인과 벌점만을 부과받은 법인에 대하여 시장이 차별적으로 반응하는지 그리고 지정된 법인에게 차별적으로 제재효과가 발생하는지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단기간의 누적초과수익률을 통해 시장의 주가반응을 검증한다. 또한 법인의 재량적발생액을 통해 부과벌점을 공시위반제재금으로 전부 대체한 법인과 벌점만을 부과받은 법인의 재무보고품질이 차별적으로 개선되는지 살펴본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법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은 벌점을 공시위반제재금으로 전부 대체받은 법인에 대해 벌점만을 부과받은 법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덜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즉 시장은 벌점을 공시위반제재금으로 전부 대체한 법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험이 더 낮은 법인이라 판단한다. 둘째, 벌점을 공시위반제재금으로 전부 대체한 법인의 재량적발생액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차기에 감소한다. 이는 벌점을 공시위반제재금으로 전부 대체한 법인이 추후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재지정당하지 않기 위하여 재무보고품질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분석결과들은 모두 코스닥시장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시장에 따라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난 선행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공시위반제재금에 대한 실증연구를 처음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점을 갖는다. 특히 벌점을 공시위반제재금으로 전부 대체한 법인과 벌점만을 부과받는 법인에 대하여 시장반응과 재무보고품질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벌점만을 부과받는 법인과 벌점을 공시위반제재금으로 전부 대체하는 법인에게 차별적인 시장반응과 재무보고품질변화가 발생함을 분석하여 벌점을 공시위반제재금으로 대체하는 경영자의 선택에 따라 차별적인 효용이 존재함을 검증한 것에 공헌점이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