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영순-
dc.contributor.author김우경-
dc.creator김우경-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34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3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2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27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711-
dc.description.abstract책이 담겨있는 병풍을 소유함으로써 책이 상징하는 문사철(文史哲)에 대한 동경과 소원을 담아낸 것이 바로 책거리 병풍이다. 지금의 한국 사회도 공부, 사회적 지위에 대한 열망에 대한 표현으로 책이라는 상징은 여전히 유효하다. 섬유를 매개체로 표현하는 자수 작품에서도 책은 그 표현 방법이 독특하게 나타나고 있다. 책거리 병풍에서 책에 자주 사용되는 칠보수법은, 우리나라 전통 자수의 기법 중 하나로 면을 메꾸는 것으로 사용되거나 칠보문을 수놓는 기법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칠보수(七寶繡)라는 기법과 용어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고, 전통자수기법의 칠보수를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응용하여 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칠보수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칠보문(七寶紋)을 표현한 것이다. 칠보는 원래 불교에서 나타난 일곱 가지 보석이었다. 시대를 따라 보석이 상징하는 의미에 도상과 의미가 추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팔보문(八寶紋), 잡보문(雜寶紋)과 같이 혼용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실제로 칠보수에서는 칠보문 중에서 윤보, 여보, 장보문의 모양을 띤 것이 주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칠보문은 책표지로 사용된 천의 문양으로 표현되는 것을 책거리병풍에서 볼 수 있다. 직물문양의 변화를 통해 칠보문의 변화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점 사실적인 모양에서 문양화되어 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수로 책거리를 표현하고자 했던 이행과정에서 구체적인 칠보문의 모습은 사라지고 상징만 남은 형태로 수놓아진 것이 칠보수로 명명된 것이라 하겠다. 현존하는 책거리자수병풍 중에서 칠보수는 한국자수박물관 소장의 책거리병풍에서 가장 많이, 그리고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 자수병풍에서 나타나는 칠보수를 4가지 종류의 총 14가지 기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책거리병풍에 나타난 책거리의 형태와 구도를 응용하여 작품제작을 하였다. 유물에서 불 수 있는 전통자수는 주로 불투명한 단이나 명주 등의 천에 수를 놓았다. 칠보수의 작품에서기법을 잘 표현하기 위해 단이나 명주보다는 투명한 생명주라는 소재를 선택하였다. 색채 또한 보색이나 뚜렷한 색의 대비를 통해 표현했던 전통 칠보수와는 다르게 동일 색상의 배색으로 다섯 가지 색의 그라이데션의 배색을 통해 칠보수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전체적인 형태는 한국 보자기의 구성과 가리개나 커튼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발의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수기법으로서 문양화, 도안화된 칠보수가 그 자체로도 훌륭한 디자인 요소를 갖고 있으며 현대 생활 중에 여러 면에서 응용 및 활용가치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칠보수의 재현 및 변형을 통한 조형적인 심미성, 그리고 전통과 현대를 잇는 역할에 대한 방법적인 측면을 제시하고자 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Chaek-geo-ri folding screen represents the admiration and hope for Humanities study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by owning the folding screen portraying the books. Using a book to symbolize the desire for the intellect and the social status is still valid in current Korean society.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a book is uniquely shown even on the embroidery that uses textile as a medium. Chil-bo stitch technique is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embroidery technique frequently used to sew the books on Chaek-geo-ri folding screen and it is used to fill in the side or known to embroider Chil-bo patter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l-bo stitch technique and the meaning of its term. And it is to produce the works by adopting and applying Chil-bo stitch in contemporary perspective. Chil-bo stitch expresses Chil-bo pattern as it is shown in its term. Originally, the definition of Chil-bo came from the seven treasures in Buddhism. As the generation went by, not only the icon and the meaning are added to its original meanings that the treasures represent but also Pal-bo pattern and Jap-bo pattern and shown in combin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shape of Yun-bo, Yeo-bo, and Jang-bo are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among Chil-bo patterns in actual Chil-bo stitch. Chil-bo pattern represented as a pattern of the fabric used for the book cover can be seen on Chaek-geo-ri folding screen. It is visible to see that Chil-bo pattern changes over the time through the changes of textile patterns and evolving from its realistic shapes into simplified pattern. Therefore, the term Chil-bo stitch is named as the shape of Chil-bo pattern in detail disappears through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embroidery in order to portray Chaek-geo-ri and it is embroidered with the shape that is only left with the symbol. Among the currently existing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s, Chaek-geo-ri folding screen housed in The Museum of Korean Embroidery shows Chil-bo stitch the most and in various ways. In this embroidered folding screen, Chil-bo stitch is categorized into total of 14 techniques from the 4 types of stitches. And the works are produced by applying the forms and compositions of Chaek-geo-ri shown on Chaek-geo-ri folding screen. The traditional embroidery can be found on the artifacts and it is mostly sewn on the fabrics such as, non-transparent fabric or on the silk. The raw-silk is selected as it is more transparent than the silk in order to express the technique of Chil-bo stitch better. Unlike the traditional Chil-bo stitch, which displayed in complementary colors or in vivid color contrast,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e variety and the beauty of Chil-bo stitch through the combination of 5 shades of Monochromatic gradation for one color. The overall form is produced in the shape of Bojagi screen that can be used as a blind or a curtain. In this study, it is to show that the patternized and designed Chil-bo stitch itself has excellent elements for design and applicable values in various perspective of modern life. Also, it is to put a meaning on suggesting the role to bridge the tradition and modern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 및 내용 2 Ⅱ. 칠보수의 유래와 전개 3 A. 칠보수의 유래 3 1. 칠보문과 칠보수 3 2. 책표지 직물의 칠보문과 칠보수 8 B. 칠보수의 전개 14 Ⅲ. 작품제작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 17 A. 책거리 병풍에 나타난 구도연구 17 B. 책거리자수병풍에 나타난 칠보수 기법연구 21 Ⅳ. 작품제작 및 분석 31 A. 제작의도 31 B. 제작방법 34 C. 작품분석 38 Ⅳ. 결론 62 참고문헌 64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4219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책거리 칠보수의 현대적 계승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dern transmission of Chil-bo stitch shown on Chaek-geo-ri-
dc.creator.othernameKIM, Wukyoung-
dc.format.pagev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크래프트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크래프트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