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6 Download: 0

서울시립미술관 SeMA벙커 이미지 제고를 위한 아이덴티티 개발 연구

Title
서울시립미술관 SeMA벙커 이미지 제고를 위한 아이덴티티 개발 연구
Other Titles
Astudy on an identity development for enhancing image of SeMA BUNKER of Seoul Museum of Art.
Authors
김혜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현대 도시의 성장은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다. 문화, 예술, 소통은 현대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되었고 유휴공간의 예술적 활용은 지역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경제성장과 더불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부정적으로 인식되던 유휴공간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발생한 것이다. 문화예술이 지역 쇠퇴를 극복하는 지역 활력 회복의 거점으로 재조명 받게 되면서 최근 국내에서도 유휴공간을 예술창작·전시공간으로 재활용하는 사례를 자주 접할 수 있다. 예술가에게 창작 공간을 마련하고 지역민에게는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여 문화격차를 해소하기 위함인데, 전시공간은 그 나라의 문화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인 만큼 명확한 비전과 아이덴티티의 수립이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유휴공간의 활용이 논의된 지 채 10년이 되지 않았고, 국외 우수 사례를 모방해 문화예술을 통한 도시재생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아이덴티티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편이다. 그러나 예술적 활용으로 재생된 도시 유휴공간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아이덴티티 구축은 물론, 지역민의 예술적 욕구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확장된 시각적 표현 연구가 필요함은 분명하다. SeMA벙커는 여의도 지하벙커의 새로운 명칭으로 2017년 5월부터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운영할 계획이다. 여의도 지하벙커는 2005년 여의대로 버스환승센터 건립 중 발견되었으며 1970년대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요인들의 경호를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될 뿐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거의 원형 보전되어 있어 냉전시대 산물로서 활용가치가 높으며, 2015년 개방 당시 1,200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해 비밀벙커의 재생 가능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여의도에는 전시공간이 63스카이아트 단 한 곳으로 관광자원에 비해 문화시설이 빈곤한 편이다. 이미 활용 가치와 재생 가능성이 검증된 SeMA벙커를 다양한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전시공간으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영문명칭 ‘Seoul Museum of Art’의 준말인 SeMA(세마)를 뉴욕현대미술관(MoMA)을 벤치마킹해 국제적인 미술관으로 도약을 꾀하고자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서울시립미술관은 SeMA라는 명칭을 사용하되 이에 해당하는 아이덴티티는 따로 개발하지 않으며 기존 MI만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컬화를 지향하며 약칭 SeMA를 사용한지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대중적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오래도록 대중에게 각인되지 못한 데에는 아이덴티티의 부재와 혼재가 큰 요인으로 보여진다. SeMA의 경우 매번 전시 컨셉에 따라 아이덴티티가 변형되기 때문에 관람객에게 더욱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아이덴티티를 분리·강조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의도 지하벙커의 역사성을 기반으로 SeMA벙커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SeMA벙커의 특수성이 반영된 시각적 요소 추출을 통해 타 전시공간과 차별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비전을 상징화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하벙커가 가진 독특한 이미지를 현대적이고 유연하게 표현하여 관람객, 특히 지역주민과 가까이 소통할 수 있는 장소로 탈바꿈 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개념과 전시공간의 변모를 문헌을 통해 정리하고 전시공간의 시각적 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유휴공간을 기능 정지, 방치 성격을 갖는 공간으로 한정하고 도시 유휴공간의 개념과 재생 필요성을 기존 연구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셋째, 유휴공간 재생에 있어 문화예술의 필요성을 국내외 우수사례를 통해 검증하고 이를 참고하여 국내 유휴공간 활용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서울시립미술관의 특징적·통일적 요소를 포함한 새로운 형태의 SeMA벙커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디자인하였다. 이곳이 가진 상징성과 역사성, 낯선 이미지를 친근하고 역동적인 이미지로 치환하여 시민을 위한 휴식공간이자 도시문화의 대안적 공간임을 표현하였으며, 아이덴티티의 다양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한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은 도시 유휴공간의 재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다. 향후 도시 유휴공간 활용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아이덴티티 및 시각적 표현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growth of a modern city is by a medium of culture and art. Culture, art, communication is became the most important keyword in modern city and artistic utilization of an underused space is emerging as a method for the area activation. According to increasing interests about culture and art with an economic growth, a try to utilize an underused space recognized negatively occurs. As culture and art is became back into the spotlight in the role of a base for revitalization that solves the problem of area decline, it is easy to keep in touch with the examples of reusing an undersused space as a space for displaying artistic creation in domestic. This is to reduce cultural gaps by enlarging the opportunity of enjoying culture for the local residents and offer a creation space for artists. As a space for displaying is an indicator to show the cultural level of the country,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specific vision and identity. It hasn't been 10 years yet to discuss utilization of an underused space in domestic. Also, an awareness of importance of identity is not enough yet even though urban regeneration is accelerated through culture and art with emulating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But to maintain an underused space in the city regenerated by artistic utilization consistently, it needs not only the study for expanded visual representation to satisfy artistic desire and demand of the local, but also building a specific identity. SeMA bunker is new name of Yeouido underground bunker, and Seoul museum of art will manage it from may, 2017. Yeouido underground bunker was found under construction of bus transfer centers on Yeoui main street, and it is only estimated to be used for guard of high government officials, but there is no record left. However, it has the high value as the fruit of cold war era because it has been preserved to retain its original form, and was verified the regeneration potential by having over 1,200 visitors when it was opened in 2015. Also, there is not enough cultural facilities compared with tourist attractions to have only 63skyart for displaying place. It is suitable place to be utilized SeMA bunker verified usefulness and regeneration potential as a displaying place for various cultural exchanges. Seoul museum of art has been starting to use pushfully SeMA which is short for 'Seoul Museum of Art' to make a new leap forward international museum by benchmarking the success of MoMA. Seoul museum of art use the name of SeMA, but they takes only the existing MI not to develop the identity. It has been over 10 years since they used short title 'SeMA' to aim glocalization, but the level of awareness is still low. The mix and lack of identities is the problem not to be recognized to the public for a long time. SeMA can bring more confusion to visitors because they changes identity everytime with the concept of displaying, so it needs to be separated and emphasized ident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identity design for SeMA bunker based on the historicity of Yeouido underground bunker. The discrimination from other displaying places can be maximized through extract of visual elements reflected the specialty of SeMA bunker, and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brends image by symbolizing the vision. Use this to express the unique image of underground bunker modernly and flexibly for transformation as the communication place with local residents especially. For the study method, it firstly arranges the idea of brands identity and the change of displaying place through reference books and extracts the visual elements of displaying. Secondly, this study restricts an underused space to the place has characteristics of suspension of function and examines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recycling about an underused space in the city through existing researches and examples. Thirdly, this study verifies th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 for recycling of an underused space through the great cases in domestic and foreign and understands about the state if utilization of an underused space in domestic. Based on this research, it designed the identity system of new formed SeMA bunker including characteristic and unifying elements of Seoul museum of art. It replaces the symbolism, historicity, and unfamiliar image of an underused space with familiar and dynamic image to express it as an alternative space of city culture and the rest area for local residences. It also suggests a design of application reflecting various identities effectively. Culture and art is the means to perform the recycling of an underused space effectively. This study expects to continue the research of visual expression and identity consistently with the discussion about an utilization of an underused space in the c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