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8 Download: 0

성서 '탕자의 비유'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침묵 속에 가려진 것들」에 나타난 관계적 의미 연구

Title
성서 '탕자의 비유'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침묵 속에 가려진 것들」에 나타난 관계적 의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elational Meanings i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ings Hidden in Silence」 : based on the Bible's 'parable of the Prodigal Son'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현대 기계문명의 발달은 인간에게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 준 동시에 그와 비례하는 정신적 불안과 인간성 상실, 인간소외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심리적, 사회적 문제로 이어져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 단위이자 행복과 안정의 근원이 되어야 하는 가족이 '가족의 위기', '가족의 해체'라는 부정적 국면에 놓이게 되었다. 따라서 가족 공동체를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가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고민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가족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가족관계 내에서 부모와의 애착 문제와 부모의 관심, 사랑의 결핍에서 비롯된 콤플렉스와 깨어진 가족 관계 등에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성의 관점에서 가족을 이해하고 가족 간의 갈등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가족문제 해결과 콤플렉스 극복을 위한 방법으로써 하나의 가족 모델이 되는 성서의 '탕자의 비유'와 비유에 등장하는 두 아들의 콤플렉스를 알아본 후, 콤플렉스와 인간관계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겨 대상관계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 「침묵 속에 가려진 것들」을 안무하여 작품에 나타난 인간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위한 관계적 의미를 찾아내는 것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탕자의 비유'에서는 아가페적 사랑으로 포용하는 아버지를 통해 가족이 회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텍스트에 나타나는 두 아들의 갈등 상황과 아버지의 역할 및 신학적 의의를 살펴보고 아울러 두 아들의 콤플렉스와 융의 관점에서 본 콤플렉스의 특성 및 주체의 상징성에 대해 살펴보아 탕자에게는 열등 콤플렉스가 장자에게는 착한아이 콤플렉스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열등 콤플렉스의 특성은 자아와 상관없이 작용하는 자율적 특성과 독자적인 실체로서 나타나는 자동적 특성이며, 착한아이 콤플렉스의 특성은 자율적 특성과 본능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정동적 특성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마음의 동력으로 나타나는 양가적 특성은 긍정적 성향을 띄고 있어 주체가 자아를 확립할 때에 나타나는 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성향은 융의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그림자, 페르소나, 개성화로 나타나고 결국 이것을 통해 본 주체의 상징성을 자기애(自己愛), 자기의(自己義), 자기실현(自己實現)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콤플렉스는 인간의 관계 안에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콤플렉스를 해소하고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대상관계이론을 살펴보았으며 그 중 자아의 성숙 과정을 잘 드러낸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1882~1960)의 이론의 특징을 죽음 충동, 우울적 자리, 삶의 충동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 본 결과 죽음 충동의 발현인 시기심은 모든 부정적 감정을 포괄하는 매우 근원적인 충동으로 우울적 자리를 거쳐 삶의 충동인 감사로 나아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기중심적이고 경쟁적인 자기애는 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죽음 충동에서 나타나고, 자기 기준에 따르고 비교 의식이 가득한 자기의는 내면의 갈등이 드러나는 우울적 자리에서 나타나며, 인격의 통합을 이루는 자기실현은 주체화를 이루는 삶의 충동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창작된 작품「침묵 속에 가려진 것들」을 각 장면에 따라 무용수의 이동 경로, 움직임을 무대 형식적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음악, 오브제, 조명 및 의상을 무대표현매체 측면에서 분석하여 총 3장으로 구성하였다. 1장인 '내안의 욕동들'은 주체의 내면 깊은 곳으로부터 올라오는 열등과 시기로 인한 열등 콤플렉스로 그림자를 표현한 장으로 빨간색 조명, 빠르게 분절되는 음악을 통해 순간적으로 올라오는 욕동들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무용수의 움직임은 무게 중심을 잃은 듯 끌려가는 움직임 동작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내면의 강함 이면의 약함을 나타내었다. 2장인 '자기의 문제'는 주체의 합리화와 문제 인식으로 인한 착한아이 콤플렉스로 페르소나를 표현한 장이다. 상수와 무대 뒤쪽의 길 조명을 활용하여 자신의 틀 안에 갇혀있는 주체를 표현하였고, 무용수들 간의 대조되는 형태적 구성과 높낮이로 주체 내면의 갈등으로 인한 긴장을 표현하였으며, 낙하와 회복의 움직임을 통해 주체가 자기의 문제에 직면한 후 갈등이 한계에 부딪혀 분노하고 돌변하여 해체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3장인 '자기의 회복'은 주체의 용기와 의지를 통한 아버지 곧 하나님의 사랑에의 수용으로 개성화를 표현한 장이다. 오브제가 발하는 빛의 조도 변화를 통해 주체가 느끼는 아버지의 아가페적 사랑을 시각화 하였고, 오브제를 향하는 사선 길 조명을 활용하여 주체 또한 아버지의 사랑에 수용되기를 바라는 강한 의지를 표현하였다. 이와 동시에 팔로 곡선을 그리는 움직임을 반복하여 아버지를 신뢰하고 이해함으로써 달라진 주체를 나타내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다리를 높게 들어 올린 채 정지하는 움직임들을 통해 사랑과 은혜를 통한 안정감 속에서 자기실현을 이루고 새로운 삶의 자리로 향하는 주체를 표현하였다. 이상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본 작품에 나타난 관계적 의미를 이기적 관계, 이성적 관계, 이타적 관계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내안에 욕동들에서 두드러져 보이는 '이기적 관계'의 이면에 존재하는 콤플렉스는 자율적, 자동적이고, 내면에 드러내고 싶지 않은 열등감은 내적 콤플렉스의 그림자로 드러난다. 자기의 욕망과 욕심을 우선시 하는 자기애 뒤에는 열등감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는 관계의 사회성이 결여 되는 죽음 충동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주체는 자신이 하찮다고 여겨질 때 현실과 분리된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여 그 곳에 심리적 현실을 투영시키고, 이를 통해 자신의 욕망을 충족한다. 또한 주체는 내면의 불안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자기애를 더욱 드러내게 되므로 대상과의 관계는 주체의 욕망과 자기감정에 충실한 이기적인 형태로 드러난다. 둘째, 자기의 문제에서 두드러져 보이는 '이성적 관계'의 이면에 존재하는 콤플렉스는 자율적, 정동적이고, 내면의 시기는 외적 콤플렉스의 페르소나로 드러난다. 자기 기준과 규칙을 우선시 하는 자기의 뒤에는 낮은 자존감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는 관계의 불안한 심리가 드러나는 우울적 자리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주체는 본연의 증오와 사디즘을 외적 대상에 투사하여 우울감을 초래하고, 한계에 부딪히면 돌변하여 분노가 야기되는 악순환을 발생시키며, 자기의 선입견과 독선을 기준으로 삼아 대상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성적인 형태로 드러난다. 셋째, 자기의 회복에서 두드러져 보이는 '이타적 관계'에 나타나는 콤플렉스는 정동적, 양가적이고, 주체에게서는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하나의 과정인 개성화가 일어난다.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하는 것이자 자신의 욕구나 의지에 반하는 것인 자기실현은 관계를 통해 자신의 성숙을 이루는 삶의 충동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주체는 아버지의 사랑을 통해 자아의 통합을 촉진시키고, 자신의 존재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대함의 역량을 만들어 내는 겸손, 회복, 감사 등의 감정을 느끼고 대상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타적 관계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현대 사회 가족의 문제 해결을 위한 한 방편으로 성서에 등장하는 가족의 모습을 통해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나타내었다. 안정된 가족생활로의 회복은 아버지 즉, 하나님의 사랑만이 치유하고 회복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타적 관계가 강하게 나타날 때 가능한 것이다. 그리하여 이타적 관계를 회복한 주체는 또 다시 그 사랑을 후대에 실천함으로써 역사적 선상에서 개인의 치유, 가정의 치유, 사회적 치유를 일으켜 긍정적 강점을 지닌 환경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achines has brought materialistic wealth to humankind, but also has led to psychological instability, the loss of humanity, and isolation. These phenomena have led to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where families, the most basic unit of society and a source of happiness and stability, now regularly encounter negative issues such as family crises and family breakup.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from multiple perspectives how families should be protected from such issues, along with a need to decide upon methods of effecting this protection. The founding causes of family troubles arise from psychological complexes stemming from excessive affection from parents or, conversely, from a lack of interest, recognition, and love from one's parents. To resolve these issues, it must be understood that families are diverse, and conflicts between families should be prevented. Consequently, this study has examined the Bible's Parable of the Prodigal Son, as it serves as a model for families in regard to overcoming and resolving the problems and complexes that occur in modern family relationships; problems that stem from inferiority complexes, such as those of the two sons involved in the parable; and problems that are related to the object-relations theory.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family from the Parable of the Prodigal Son were able to recover as a result of the father's agape (his altruistic love). Moreover,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es involved in the parable were examined and it was concluded that such complexes create a duality in our personalities that is comprised of a shadow and a persona. These possess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achieve the personality-like wholeness through peculiarization. These characteristic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autonomous, automatic, affective, and ambiguous; in the parable, the prodigal son has an inferiority complex, and the firstborn son has a good-child complex. Based on these observations, using Jung's perspective the symbolism of the principal character can be considered to concern self-love, self-loyalty, and self-realization. In the case of self-love, shadows are depicted as self-centered; in self-loyalty, the persona is depicted as the standards set for oneself; lastly, self-realization i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principal character overcomes his complex, an act that represents that he achieves wholeness in regard to his personality. Moreover, in regard to the object-relations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Melanie Klein's theory can be categorized into death drive, depressive positions, and life drives; it can also be noted that jealousy, the manifestation of the death drive and an innate impulse, is a very basic instinct that progresses through depressive positions, through the maturation of the self, and on towards the life driv of giving thanks. Through these observations, it can be noted that self-centered and competitive self-love occurs within the death drive when problems with relationships are encountered; self-loyalty stems from depressive positions and reveals an internal conflict, it is characterized by following one's own standards and drawing comparisons; self-realization, achieved by the merging of personality and the will of the desire, has been observed to stem from life drives, which constitutes subjectification.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undertook the choreographing of a creative dance piece, 「Things Hidden in Silence」, which depicts the familial relationships shown in the Parable of the Prodigal Son. The piece and its relational meanings propose that self-sacrificing agape, or altruistic love, is required to resolve the problems that arise in modern families. 「Things Hidden in Silence」 was created in three acts, and presents the paths of danc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ovements from the stage-style perspective; for effective expression, it presents the music, objet, lighting, and clothing from the stage-object perspective. The stage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where the upper portion, which contained the objet, represented stability, peace, and happiness, while the lower portion represented instability, and was a place where jealousy, anger, and insecurity existed. The first act, Desires Within the Self, depicted the shadows of internal complexes that arise from the inferiorities deep within the self; these impulsive desires were expressed through shaking movements, red-colored lighting, and quickly segmented music. Moreover, the movements of the dancers comprised of sections where they were moving as if they had lost control of their balance, which depicted the weakness of their resolve. The second act, Problems of the Self, depicted the personal aspect of the external complex, which arises from hidden jealousies. The upper portion of the stage and the lighting behind the stage were utilized to represent the complex-afflicted person, imprisoned within their own frames, and the tension created by various desires was depicted through morphological formations and the varying elevations of the dancers. Through movements that mimicked falling and recovery, this act also depicted how the person comes to face their own problems and the internal conflict at its peak, which results in anger and the eventual dissolution of the complex. The third act, Recovery of the Self, is an act that depicts the love of the father or God; through changes in the intensity of the lighting of the objet, this act visualizes the agape of the father that is felt by the subject, and it also visualizes understanding, forgiveness, and acceptance of others. Simultaneously, movements involving curved arms; the placing of both hands on the chest; depictions of the cross by extending two arms to the side; and energized, high jumps on the stage were utilized to depict recovery and gratitude through love and grace, as well as the ultimate attainment of self-realization and the endeavor to reach new places in lif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relations from this piece can be organized into selfish relations, rational relations, and altruistic relations. First, in regard to the selfish relations depicted in Desires Within the Self, the inner complex is autonomous and automatic; moreover, the hidden inferiority is displayed as a shadow of the inner complex. Behind self-love, where the desires and wishes of the self are prioritized, inferiority exists; this is also shown strongly in the death drive, which is void of sociality in regard to relationships. Therefore, when the subject belittles itself, the subject creates its own world that is divided from reality, imposing a psychological reality to fulfill its own desires; it exaggerates to overcome insecure situations, and this relation becomes a selfish one where the subject is loyal to inner desires and their own emotions. Second, in the rational relations depicted in Problems of the Self, the inner complex is autonomous and affective, and inner jealousy is displayed as the persona of the outer complex. Low self-esteem is hidden by the subject as they prioritize their own standards and rules, and this is emphasized by depressive positions, which reveal insecurity in relationships. Therefore, the subject imposes its innate hate and sadism on an external target, causing depressive states; when this process reaches a limit, the subject changes radically, resorting to anger as part of a vicious cycle. Thus, this relation is a rational one that regards its own prejudices and self-righteousness as the standard. Third, in the altruistic relations depicted in the Recovery of the Self, the inner complex is affective and ambiguous; the subject experiences secularization, which constitutes part of the process of overcoming its complex. Self-realization, which merges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and contravenes its own wishes and will, is emphasized during the life drive, and attains its own maturity through engagement in relationships. Thus, the subject expedites the merging of the self through the father's love, realizing its own existence in an appropriate manner and experiencing emotions such as modesty, recovery, and gratitude that provide grounds for generosity; this also provides grounds for the relationship to become altruistic. Lastly, today's families are being exposed to a diverse range of problems and are facing many crises. In these situations, art can be one method of finding solutions to problems. Not only does art have a strong social influence on individuals who enjoy it by considering the experience and spiritual growth of the composer, it also helps the individual to experience new sensations and become emotionally satisfied, leading to the discovery of new values and of a new method of healing. As such, it is hoped that this piece can contribute a model to society that can be applied in our own l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