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제국 속의 제국"

Title
"제국 속의 제국"
Other Titles
"Empire in Empire" : Higher Music Education and American Mission in Colonial Korea
Authors
허지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채현경
Abstract
이 논문은 식민지기 한국의 고등음악교육에 대한 연구로,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音樂科)’를 설립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근대한국의 고등음악교육을 주도한 미감리회 여성선교사들의 음악교육을 일제의 식민통치와 미국의 해외선교라는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조망한다. 우리나라의 고등음악교육은 식민통치 하에서 정부 주도의 교육기관이 부재한 가운데 문화외부자인 여성선교사들에 의해 출발하였다. 구한말에 이루어진 선교사의 입국과 동시에 여성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한 미감리회 소속 여성선교회는 1886년 이화학당을 설립하고, 1910년에는 학당 안에 대학과정을 개설하여 여성고등교육의 기치를 내걸었으며, 마침내 1925년에는 조선총독부로부터 ‘이화여자전문학교’(이하 이화여전)로 인가를 취득함으로써 한국 최초의 여성고등교육기관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전문학교 출범과 동시에 최초의 음악학교이자 식민지기 한국의 유일한 고등음악교육기관인 ‘이화여전 음악과’가 문을 열어, 한국의 서양음악교육이 진일보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화여전 음악과는 미국 선교회가 운영하는 학교였기 때문에, 교육기관이자 선교기관이라는 이중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일본제국의 식민지에 세워져 근대일본의 교육제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조선총독부가 구축한 식민지 교육체계의 일부로 존재하였을 뿐 아니라 미감리여선교회(WFMS)가 전 세계에 걸쳐 조직한 선교교육 네트워크의 일원이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중첩된 맥락에 놓인 이화여전 음악과의 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떤 목표 하에, 어떤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식민지 한국사회에서 어떤 위치에 차지하였는가를 탐구한다. 이를 통해 일본의 식민지배와 미국의 해외선교라는 거시적인 맥락이 이화의 선교 음악교육이라는 미시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구체화되었는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이화여전 음악과의 설립 및 운영과 관련된 광범위한 자료와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한 여성선교사들의 전기적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미국 뉴저지의 드류대학교(Drew University, Madison, NJ) 내에 위치한 연합감리교회 아카이브 센터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그곳에서 확보한 일차자료를 중심으로, 선교회 보고서, 교육관련 법규, 학교편람, 교과과정 등의 ‘공적인 기록’과 선교사의 편지, 기고문, 선교사 지원서와 이력서 등의 ‘사적인 기록’을 면밀히 검토하여 이화여전 음악과의 설립을 준비하는 과정과 교육현장을 재구성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여성선교사들이 주도한 한국 고등음악교육의 출발이 제도적인 측면이나 교육의 실제 및 성과에 있어서 ‘한국사회’라는 공동체의 이익을 대변하기보다는 선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교육이었음을 규명하였다. ‘이화여전 음악과’라는 기관은 표면적으로는 일본제국의 식민지로 전락한 한국사회 안에서 운영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미국의 개신교가 구축한 선교제국의 일원으로 고립되고 차별화된 위치에 놓여 있었다. 재일(在日) 선교사인 풀턴(George Fulton)이 한일합방 직후 선교사에게 의존적인 평양의 기독교공동체를 ‘제국 속의 제국’이라 불렀듯이, 일제강점기에 선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의 고등음악교육을 담당했던 이화여전 음악과 역시 ‘제국 속의 제국’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higher music education accomplished by American women missionaries in Korea in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American foreign mission. The women missionaries led the music education in modern/colonial Korea by establishing ‘Music Department of Ewha Specialized Training College (梨花女子專門學校 音樂科).’    In modern Korea, there was no government-established music school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higher music education was started by women missionaries as cultural outsiders. As soon as the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WFMS) sent its first woman missionary to Korea in 1886, it actively practiced education for women. The WFMS established Ewha Hakdang in 1886, started higher education for Korean women by opening ‘College Course (大學科)’ in 1910, and finally inaugurated the firs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for women in Korea when the ‘College Course’ of Ewha Hakdang was sanctioned as ‘Ewha Specialized Training College’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1925. With the opening of Specialized Training College, ‘Music Department’ was launched, and the standard of Korean music education was enhanced to a professional level which had not previously existed in colonial Korea. Since ‘Music Department of Ewha Specialized Training College’ was run by the American Missionary Society, it had a dual identity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 mission agency. It was also belonged to the colonial educational system regul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on the other hand, was a member of the global educational network organized by the WFMS missionaries.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goal and contents of ‘Music Department of Ewha Specialized Training College’ which was run in such an overlapped context and which role it played in colonial Korean society. Through this, I aim to explore how the macro-context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American foreign missions was embodied in the micro-context of Ewha’s missionary music education. For this paper, I did my field work at the United Methodist Archive Center in the United States (located in Drew University, Madison, NJ) to search a wide range of material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Music Department, as well as biographical information of women missionaries working in Ewha who had far-reaching effect on Korean modern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primary materials obtained there, I carefully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public record’ such as the missionary reports, the educational laws, the school catalogues, and the curriculum, together with the ‘private record’ such as missionary letters, and essays. On the basis of them, I reconstructed the practice of the Music Department and inferred the social location of it. This paper argues that the beginning of higher music education accomplished by women missionaries in colonial Korea was to serve the interests of the Korean Christian community led by missionaries, rather than speaking for the interests of ‘Korean society’ in general. Although ‘Music Department of Ewha Specialized Training College’ was superficially operated in the Korean socie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 practically existed as a part of the mission empire established by American protestantism. Shortly after the Korea-Japan annexation, George Fulton, an American missionary to Japan, called the Christian community in Pyongyang as “empire in empire,” while pointing out they were heavily dependent on missionaries. In the same vein, the higher music education by women missionaries in ‘Music Department of Ewha Specialized Training College’ was construed as “empire in empi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