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0 Download: 0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

Title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
Other Titles
Self Leadership and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Authors
이동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경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 leadership and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ies among nursing students, and provide as a basic fram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including global health including self leadership. The sample of this study were 224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28, 2016 to Nov 24, 2016. A research instrument developed by Song (2011) and modified by Yang, Shin, & Song (2015) has been used to identify self-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The other of instrument developed by GHEC/AFMC (Global Health Education Consortium & Association of Faculties of Medicine of Canada) and modified by Wilson et al. (2012) to identify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mposed of 55 items: 17 about self leadership, 30 about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and 8 about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Self leadership of participants On a scale of 5, self leadership of participants showed a total score of 63.21±8.67 and a mean score of 3.72±0.51 for all items. For each category,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a task' area showed a mean score of 3.74±0.52, 'self and perception of relationship' area 3.71±0.63, and 'self management' area 3.70±0.59. 2. Difference of self leadership according to participa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Self leadership according to participa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F=6.833, p=<.0010), major(F=3.232, p=.002), academic record(F=5.302, p=.002), English Speaking Level(F=5.546, p=.004), participation in oversea program(F=-2.016, p=.045), and attendance of global health class(F=-2.756, p=.006). 3. Difference of self leadership' subcategories according to participa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Subcategories of 'performance and achievement' a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F=6.092, p=.001), major(F=4.052, p<.001), academic record(F=3.924, p=.009), English Speaking Level(F=7.123, p=.001), participation in oversea program(F=-2.429, p=.016), and attendance of global health class(F=-2.938, p=.004). Subcategories of 'self and perception of relationship' a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F=7.440, p<.000), major(F=3.283, p<.001), academic record(F=3.226, p=.023), participation in oversea program(F=-2.274, p=.024), and attendance of global health class(F=-2.624, p=.009). Subcategories of 'self management' a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F=5.677, p=.001), and English Speaking Level(F=4.210, p=.016). 4.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of participants On a scale of 4,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of participants showed a total score of 75.17±14.73 and a mean score of 2.51±0.49 for all items. Subcategories of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in the order of highest to lowest, showed a mean score of 2.83±0.58 for 'social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health', 'health implications of migration, travel and displacement' 2.70±0.53, 'health as human right and development resource' 2.47±0.66, 'health care in low-resource settings' 2.45±0.58, 'globalization of health and health care' 2.38±0.62, 'global burden of disease' 2.12±0.65. 5. Difference of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according to participa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according to participa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F=2.003, p=.047), and participation in oversea program(F=-2.732, p=.007). 6. Difference of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subcategories according to participa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Subcategories of 'global burden of disease'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F=3.141, p=.002), participation in oversea program(F=-2.333, p=.021), and attendance of global health class(F=-3.277, p=.001). 'health implications of migration, travel and displacement'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F=1.984, p=.049), and participation in oversea program(F=-2.746, p=.007). 'social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health'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F=2.737, p=.001), participation in oversea program(F=-3.051, p=.003), and number of experience of abroad(F=3.694, p=.006). 'globalization of health and health care'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oversea program(F=-2.345, p=.020). 'health care in low-resource settings'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oversea program(F=-2.794, p=.006). 'health as human right and development resource'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length of stay in abroad(F=4.812, p=.003). 7. Correlation between self leadership and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Self 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r=.289, p<.001), and each subcategories of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Each subcategories of self leadersh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and each subcategories of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The data indicated that as self leadership increases,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also increase. As subcategories of self leadership increases,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also increase. As subcategories of self leadership increases, subcategories of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should be included in global health and self leadership in order to cultivate future nurses with self leadership and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A 종합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대상으로 224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양수진, 신다혜, 송영수 (2015)가 대학생 대상으로 제시한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도구와 Wilson 등(2012)이 간호사 대상으로 제시한 국제보건간호역량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ies)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국제보건간호역량 30문항, 셀프리더십 17문항, 일반적 특성 8문항의 총 5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28일부터 2016년 11월 24일까지 27일간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총점,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Tukey HSD 사후검증, 그리고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는 총 224명으로 3학년 74명(33.0%), 2학년 64명(28.6%), 4학년 63명(28.1%), 1학년 23명(10.3%) 순으로 나타났다. 2·3학년의 전공을 보면 간호학 91명(65.9%), 글로벌 건강 간호학 47명(34.1%)이었다. 성적은 3.0이상-3.5미만 94명(42.3%), 3.5이상-4.0미만 74명(33.3%), 2.5이상-3.0미만 40명(18.0%), 4.0이상 14명(6.3%)순으로 나타났다. 영어 의사소통 능력 수준은 중(보통) 111명(49.8%), 상(높은편∼거의 원어민 수준) 67명(30.0%), 하(매우 낮은편∼낮은편) 순이었다. 해외방문 경험 횟수는 3-4회 74명(33.25%), 1-2회 59명(26.5%), 7회 이상 43명(19.3%), 5-6회 25명(11.2%), 전혀 없음 22명(9.9%) 순이었다. 해외방문 기간은 6개월 미만 138명(63.9%), 2년 이상 40명(18.5%), 6개월 이상-1년 미만 20명(9.3%), 1년 이상-2년 미만 18명(8.3%)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실시하는 해외 프로그램에 참여해 본 적이 있는 대상자는 72명(32.1%)이었으며, 국제보건과 관련된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25명(55.8%)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셀프리더십 대상자의 셀프리더십의 총점 표준편차는 63.21±8.67점(가능한 점수의 범위: 17~85점), 평점 표준편차 3.72±0.51점이었다. 셀프리더십의 3개 하부영역은 '과업 수행 및 성과 창출' 영역(평점 표준편차 3.74±0.52점), '자기 및 관계인식' 영역(평점 표준편차 3.71±0.63점), '자기관리' 영역(평점 표준편차 3.70±0.59점)순이었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의 차이 셀프리더십 총점은 학년(F=6.833, p=<.001), 전공(F=3.232, p=.002),성적(F=5.302, p=.002), 영어 의사소통 능력 수준(F=5.546, p=.004), 해외 프로그램 참여여부(F=-2.016, p=.045), 국제보건관련 수업 수강여부(F=-2.756, p=.00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의 하부영역의 차이 셀프리더십 하부영역인 '과업 수행 및 성과 창출'영역은 학년(F=6.092, p=.001), 전공(F=4.052, p<.001), 성적(F=3.924, p=.009), 영어 의사소통 능력수준(F=7.123, p=.001), 해외 프로그램 참여여부(F=-2.429, p=.016), 국제보건관련 수업 수강여부(F=-2.938, 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 및 관계인식'영역은 학년(F=7.440, p<.000), 전공(F=3.283, p<.001), 성적(F=3.226, p=.023), 해외 프로그램 참여여부(F=-2.274, p=.024), 국제보건관련 수업 수강여부(F=-2.624, p=.00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관리'영역은 성적(F=5.677, p=.001), 영어 의사소통 능력수준(F=4.210, p=.01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연구대상자의 국제보건간호역량 대상자의 국제보건간호역량의 총점 표준편차는 75.17±14.73점(가능한 점수의 범위: 30~120점), 평점 표준편차 2.51±0.49점이었다. 국제보건간호역량의 6개 하부영역인 '건강의 사회적·환경적 결정요인' 역량(평점 표준편차 2.83±0.58점), '이주, 강제이주 및 여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역량(평점 표준편차 2.70±0.53점), '인권과 개발자원으로서의 건강' 역량(평점 표준편차 2.47±0.66점), '자원의 부족한 환경에서의 보건의료' 역량(평점 표준편차 2.45±0.58점), '보건의료의 세계화' 역량(평점 표준편차 2.38±0.62점), '세계질병부담' 역량(평점 표준편차 2.12±0.65점)순이었다. 6.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국제보건간호역량의 차이 국제보건간호역량 총점은 전공(F=2.003, p=.047)과 해외 프로그램 참여 여부(F=-2.732, p=.00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국제보건간호역량 하부영역의 차이 국제보건간호역량 하부영역인 '세계질병부담'역량은 전공(F=3.141, p=.002), 해외 프로그램 참여여부(F=-2.333, p=.021), 국제보건 관련 수업 수강여부(F=-3.277,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주, 강제이주 및 여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역량은 전공(F=1.984, p=.049), 해외 프로그램 참여여부(F=-2.746, p=.00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의 사회적·환경적 결정요인'역량은 전공(F=2.737, p=.001), 해외 프로그램 참여여부(F=-3.051, p=.003), 해외방문 경험 횟수(F=3.694, p=.00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건의료의 세계화'역량은 해외 프로그램 참여여부(F=-2.345, p=.02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원의 부족한 환경에서의 보건의료'역량은 해외 프로그램 참여여부(F=-2.794, p=.00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권과 개발 자원으로서의 건강'역량은 해외방문기간(F=4.812,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8. 연구대상자의 셀프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 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셀프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은 정적 상관관계(r=.28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은 국제보건간호역량의 하부영역인 '세계질병부담'역량(r=.227, p=.001), '이주, 강제이주 및 여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역량(r=.234, p<.001), '건강의 사회적·환경적 결정요인'역량(r=.304, p<.001), '보건의료의 세계화'역량(r=.235, p<.001),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의 보건의료'역량(r=.217, p=.001), '인권과 개발 자원으로서의 건강'역량(r=.25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셀프리더십 하부영역인 '과업수행 및 성과 창출'영역(r=.288, p<.001), '자기 및 관계인식'영역(r=.244, p<.001), '자기관리'영역(r=.225, p=.001)은 국제보건간호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부영역과 국제보건간호역량의 모든 하부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셀프리더십의 하부영역 중 '과업수행 및 성과 창출'과 국제보건간호역량의 하부영역 중 '건강의 사회적·환경적 결정요인'은 r=.310, p<.001로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반면에 셀프리더십의 하부영역 중 '자기관리'와 국제보건간호역량의 하부영역 중 '보건의료의 세계화'는 r=.140, p=.038로 상관계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셀프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 간의 정적 상관관계 있음을 확인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국제보건간호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 하부영역과 국제보건간호역량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셀프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 하부영역 간의 정적 상관관계도 있었다. 또한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부영역과 국제보건간호역량의 모든 하부영역 간의 정적 상관관계도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셀프리더십을 포함한 국제보건간호역량의 6개 하부 영역인 '세계질병부담' 역량, '이주, 강제이주 및 여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역량, '건강의 사회적·환경적 결정요인' 역량, '보건의료의 세계화' 역량,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의 보건의료' 역량, '인권과 개발 자원으로서의 건강' 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국제보건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