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만성신장질환자의 자기효능감, 짠맛민감도, 짠맛기호도와 저염식이행 간의 관계

Title
만성신장질환자의 자기효능감, 짠맛민감도, 짠맛기호도와 저염식이행 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salty taste threshold, salty preference and compliance of low-salt diet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s
Authors
배나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self-efficacy, salty taste threshold, salty preference and compliance of low-salt diet. Participants (N=427) were recruited from one hospital in Seoul between April 25th to August 25th in 2014. The general self-efficacy, salty taste threshold, salty preference and compliance of low-salt diet were measured using general self-efficacy scale, salty taste recognition threshold, salty preference, VAS, spot urine sodium. Each variabl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diseas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between general self-efficacy, salty taste threshold, salty preference and compliance of low-salt diet was analyz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1.0).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and t-test, ANOVA, Tukey’s HSD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Below is a summary of results. 1. The mean self-efficacy of the participants was 61.89±9.84, the salty taste threshold was 0.10±0.12%, the salty preference was 0.33±0.10%, the subjective compliance of low-salt diet was 5.46±1.93 and the objective compliance of low-salt diet was 141.98±34.08mEq/day. 2. Self-efficacy differed significantly for gender(t=-2.409, p=.016), age(r=-.155, p=.001), level of education(F=4.693, p<.001), person who makes food(F=3.199, p=.023), stage of chronic kidney disease(F=2.595, p=.025). 3. Salty taste threshold differed significantly for gender(t=-4.073, p<.001), age(r=-.191, p<.001), body mass index(F=2.982, p=0.031), person who makes food(F=5.498, p=.001), during disease(F=5.249, p<.001), diastolic blood pressure(F=2.961, p<.020). 4. Salty preference differed significantly for age(r=.154, p=.001), experience with low salt diet education(t=-2.518, p=.012), stage of chronic kidney disease(F=2.922, p=.045). 5. Subjective compliance of low-salt diet differed significantly for age(r=-.191, p<.001), person who makes food(F=5.498, p=.001), experience with low salt diet education(t=4.034, p<.001), stage of chronic kidney disease(F=2.399, p=.037). Objective compliance of low-salt diet differed significantly for Body mass index(r=.208, p<=.001), during disease(r=-.143, p=.003), systolic blood pressure(r=.180, p<.001), diastolic blood pressure(r=.190, p<.001). 6. Subjective compliance of low-salt diet and objective compliance of low-salt diet were positively correlated(r=-.158, p=.001), salty preference(r=-.198, p<.001) & Self-efficacy(r=.127, p=.009) were negatively correlated. Salty taste threshold were positively correlated(r=.135, p=.005). The finding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ubjective and objective compliance of low-salt diet was reported to ha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salty taste threshold and salty prefer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salt taste threshold and to decrease salty taste preference in order to improve compliance of low-salt diet for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in pre-dialysis stage.;본 연구는 만성신장질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짠맛민감도, 짠맛기호도, 저염식이행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만성신장질환자의 저염식이행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신장내과 외래를 방문한 성인 만성신장질환자 427명을 편의추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4년 4월 24일부터 8월 24일까지 수행하였다. 연구도구 중 자기효능감은 Sherer 등(1982)이 개발한 자기효능척도를 오현수(1993)가 번역한 일반적 자기효능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짠맛민감도와 짠맛기호도는 관능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각각 전구강 미각측정법에 의한 상승계열 다지선다법의 짠맛미각인지역치 측정방법과 최적염미도 측정방법(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1985)을 이용하였다. 저염식이행 중, 주관적 저염식이행은 시각적 상사척도를 이용하였고 객관적 저염식이행은 일회성 소변 내 나트륨 농도를 Tanaka's equation(Tanaka et al., 2002)에 의해 환산한 24시간 나트륨 배설량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를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Tukey's HSD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평균 61.89±9.84점, 짠맛민감도는 평균 0.10±0.12%, 짠맛기호도는 평균 0.33±0.10%, 주관적 저염식이행은 평균 5.46±1.93점, 객관적 저염식이행은 141.98±34.08mEq/day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성별(t=-2.409, p=.016), 연령(r=-.155, p=.001), 학력(F=4.693, p<.001), 음식을 만드는 사람(F=3.199, p=.023), 만성신장질환의 단계(F=2.595, p=.02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여자보다 남자에서 높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연구대상자의 짠맛민감도는 성별(t=-4.073, p<.001), 연령(r=.191, p<.001), 음식을 만드는 사람(F=5.498,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짠맛민감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나이가 젊을수록 더 높고, 음식을 배우자가 만드는 경우보다, 본인이 만드는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연구대상자의 짠맛기호도는 연령(r=.154, p=.001), 저염식 교육경험 (t=-2.518, p=.012), 만성신장질환의 단계(F=2.292, p=.045)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짠맛기호도가 높고, 저염식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더 낮았다. 5. 연구대상자의 저염식이행 중, 주관적 저염식이행은 연령(r=.163, p=.001), 음식을 만드는 사람(F=3.822, p=.010), 저염식 교육경험(t=4.034, p<.001), 만성신장질환의 단계(F=2.399, p=.03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저염식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배우자가 음식을 만드는 경우에 주관적 저염식이행이 높았다. 대상자의 객관적 저염식이행은 체질량지수(r=.208, p<.001), 유병기간(r=-.143, p=.003), 수축기혈압 (r=.180, p<.001), 이완기혈압(r=.190,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유병기간이 길수록,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낮을수록 객관적이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6.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저염식이행(r=.127, p=.009)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객관적 저염식이행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짠맛민감도는 주관적 저염식이행, 객관적 저염식이행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짠맛기호도(r=.135, p=.005)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짠맛기호도는 주관적 저염식이행(r=-.198,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객관적 저염식이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자기효능감(r=-.160,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관적 저염식이행은 객관적 저염식이행(r=-.158,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신장질환자의 자기효능감이 높고, 짠맛기호도가 낮을수록 주관적 저염식이행이 높았고, 주관적 저염식이행이 높을수록 객관적 저염식이행도 높았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짠맛민감도가 높을수록 짠맛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신장질환자의 저염식이행 증진을 위해 자기효능감과 짠맛기호도를 활용한 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기 만성신장질환자를 포함한 전 단계의 대상자에게 이를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