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벤처기업의 직장행복도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Title
벤처기업의 직장행복도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Other Titles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 Happiness and Performance of Startups
Authors
이경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근
Abstract
행복은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며, 기업의 경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직장인 행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직장 영역에서 행복을 의미하는 직장인 행복은, 직장인이 직장의 환경과 여건에 만족하며, 직장과 관련된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의 직장 및 직무에 대해 가치있게 인식하여 만족하는 상태이다(최혜지, 2016).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직장인 행복의 구성요인인 직장환경, 직장관계, 직장의미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 행복이 기업의 경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대두되고 있는 점을 바탕으로 벤처기업의 직장행복도 및 직장행복도의 구성요인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벤처기업 종사자들의 직장행복도를 조사하였고, 직장행복도가 해당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108개의 국내 벤처기업의 직장행복도와 매출액성장률 지표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벤처기업 종사자들의 전반적인 직장행복도는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직장행복도의 세 구성요인 중에서는 직장관계도와 직장의미도가 벤처기업의 성과에 설명력을 갖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의미도가 기업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직장환경도는 벤처기업의 성과와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오늘날 벤처기업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 직무성취, 직장비전 등의 요인을 극대화하는 것이 기업성과에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즉, 벤처기업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 성과에 대해 인정해주고, 직무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끔 하는 직무를 부여했을 때 조직 구성원의 직장행복도가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업성과에 대한 직장관계도의 영향력에 따르면 조직 내 상사, 동료, 부하와의 관계에서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업무적, 정서적 기대감에 대한 인지의 정도가 좋은 것이 높은 기업성과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직장환경도의 영향력은 전체 직장행복도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상이하게 나타났다. 직장환경도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급여, 근무 시간 및 전반적인 통근에 대한 만족도 등 조직에서 조직원에게 제공하는 근무 환경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생산성이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직장인 행복의 후행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를 진행한 선도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직장인 행복이 벤처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힘으로써 직장인 행복의 연구의 측면의 대상 기업의 영역에의 확장을 이루었으며,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벤처기업의 성장에 일조하는데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직장인 행복이 기업성과에 기여하는 측면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To create the happiest, most productive workplace in the world." - Larry Page, Co-founder of Google With the emergence of happiness as the new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and recent findings on its influence on organization performance, research on worker happines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 concept of happiness within the workspace sphere, worker happiness is defined as a state of being satisfied with workplace environment and condition, 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eople associated to work, and satisfied with workplace and work by perceiving them with high value (Choi, 2016). This study extends the research on worker happiness based on its three components - work environment, work relationship, and work meaning. In light of the new findings on the effect of worker happiness on organization performance, this study explores the components of worker happiness in startup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worker happiness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In regar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worker happiness of startup employe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worker happiness on the firm's performance. A total of 108 South Korean startups' worker happiness and sales growth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overall worker happiness of startups positively influenced the firm's performance. Of the three components of worker happiness, work meaning stood out to be the variable with explanatory properties in regards to th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 performance of startups. On the other hand, work environm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of startup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critical to maximize the components of work meaning (e.g. job engagement, job achievement, workplace vision) to enhance organization performance for startups. When firms acknowledge employee's job achievement, ensure job autonomy, and entitle employees with empowering work, the overall worker happiness will increase, resulting in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 performance.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influential power of work relationship, higher overall satisfaction on workplac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colleagues, and subordinates, and the higher degree of positive perception on work expectations led to improved organization performance. On the contrary, the influential power of work environment differed from that of the overall worker happiness, which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 performance. The finding of low correlation of work environment with organization performance suggests that worker produ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workplace environment (e.g. pay satisfaction, working hour satisfaction, and commute satisfaction) offered by the fir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leads further empirical research on the consequences of worker happiness. By revealing the effect of worker happiness on startup performanc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area of worker happiness research and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startup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come the foundation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on worker happiness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