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대석-
dc.contributor.author고현아-
dc.creator고현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24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2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4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41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65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im Jong Un's "successor Image" in documentary films. Kim Jong Un, who had a highly short and compressive succession system compared to Kim Jong Il, needed to acquire the consent and support of the public by using various political means to justify the third succession. The study assumes that documentary films would have served as important political means in the process, sinc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used documentary films as an important propaganda tool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regime. The analysis subject of this study is 44 documentary films which recorded the history of succession of Kim Jong Un among the documentary films produced from 2010 to 2012.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films, the study identifies the trends of the successor Kim Jong Un's public activities and explores how he has promoted the succession system and his statu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the study compares the contents of 'successor theory' which recorded Kim Jong Il's succession system experiences. In this study, Kim Jong Un's "successor Image" is analyzed into the basic structure of the successor theory, "the character of successor", "role of successor" and "power of successor". This study ultimately attempts to reveal how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recorded and propagated the history of his succession in order to prove that Kim Jong Un is a suitable candidate for the next leader. According to the analysis, Kim Jong Un's succession applied the successor theory in a flexible way through the omission and transformation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ramework. Since the successor theory is a generalization of Kim Jong Il's experiences of the succession system, there were various constraints for its application in reality due to the changes of historical background. As a result, the most justifiable factor in Kim Jong Un's succession was the legitimacy of the 'Baekduhyeoltong' from Kim Il Sung to Kim Jong Il and Kim Jong Un. The process of 'top-bottom justification' on the hereditary system enabled the establishment of a hereditary system based on the tacit agreement of the North Korean people. Kim Jong Un's successor image represented in the documentary films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qualities of the successor, Kim Jong Un did not obey the principle of successor election as specified by successor theory. Kim Jong Un was chosen as successor by Kim Jong Il's personal decision without public consent and support.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succession of blood relativeness, the documentary films promoted Kim Jong Un as a person who fulfilled the successor requirements and focused on proving that he was the only heir to succeed to the achievements of Kim Jong Il. In terms of the role of successor, Kim Jong Un faithfully fulfilled the successor role prescribed by successor theory. Kim Jong Un assisted Kim Jong Il's overall tasks and sometimes independently led the followers. However, since Kim Jong Un's succession period was highly short, and the documentary films featured a selective history, it is unclear whether Kim Jong Un had sufficiently demonstrated his capabilities as a successor. In terms of the power generation of his successor, Kim Jong Un smoothly proceeded to establish power in the survival of Kim Jong Il. However, Kim Jong Il suddenly died and could not keep the idea of ​​successor theory that the power establishment of the successor should be completed in the survival of the leader. Although Kim Jong Un eventually completed the institutional power succession, it did not imply the legitimacy of his regime. Thus, Kim Jong Un focused on establishing public authority to secure the legitimacy of his regime. In this process, the documentary films represented Kim Jong Un as 'the second Kim Il Sung' with intensive dramatic interpret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ocusing on Kim Jong Un's successor image in the documentary films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trends on the public activities of Kim Jong Un's successor period, which was rarely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s all of documentary films on the succession system of Kim Jong Un from 2010 to 2012 to sort trends by succession period, thereby improving the analytic ability.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the North Korean documentary films and the successor theory are actively utilized to justify the succession of Kim Jong Un's blood relativeness. The principles stated in the successor theory were used as a post-theoretical tool to prove that Kim Jong Un is an appropriate leader as a successor. The documentary films have played a role in reconstructing the succession history of Kim Jong Un and idolizing his succession system.;본 연구는 북한 기록영화에 나타난 김정은의 '후계자 형상' 특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김정은의 '후계자 형상'을 북한 후계자론의 기본 골격인 '후계자의 요건', '후계자의 지위 및 역할', '후계자의 권력구축' 측면으로 나눠 살펴봤다. 본 연구는 김정은이 차기 수령으로서 유일한 적임자임을 입증하기 위해 북한 당국이 김정은의 후계체제를 어떻게 우상화했는지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선대에 비해 매우 짧고 압축적인 후계체제를 경험한 김정은은 김일성과 김정일에 의해 '주어진 권력'을 토대로 신속히 수령의 영도체계를 구축해나갔다. 그러나 제도적 권력의 승계 완료는 곧 김정은의 집권 정당성을 의미하지 않았다. 김정은은 대중의 자발적인 동의와 지지를 기반으로 한 '대중적 권위' 확보를 필요로 했다. 본 연구는 김정은 후계체제의 구축과정에서 후계자론의 논리가 동원됐을 것으로 봤다. 이 과정에 기록영화가 위로부터 주입되는 선전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수단이었을 것으로 판단했다. 본 연구는 김정은의 후계체제 기간을 2009년 1월 8일부터 2012년 4월 13일까지로 한정했다. 김정은이 후계자로 내정된 이후부터 수령으로의 권력승계를 완료한 시점을 '후계자 유일지도체계'와 '후계자 유일영도체계'로 구분했다. 후계자 유일지도체계 기간은 2010년 9월 제3차 당대표자회를 기점으로 '후계자 내정기간'과 '후계자로 공인기간'으로 세분화했다. 본 연구는 김정은의 후계체제 기간을 다룬 기록영화 44편의 내용분석을 통해 김정은의 공개활동 동향 특징과 후계자 김정은의 우상화 내용을 정리하였다. 기록영화에 그려진 김정은의 '후계자 형상'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영화 분석내용과 후계자론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기록영화 속 김정은의 '후계자 형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후계자의 요건 측면에서 보면, 기록영화는 김정은의 '수령에 대한 높은 충실성'을 부각했다. 이는 후계자가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서 김정은을 효의 모범이 되도록 형상했다. 또한 김정은을 후계자로서 능력과 자질을 갖춘, 즉 '인물본위의 원칙'에 부합한 인물로 형상했다. 특히 김정은은 어려서부터 선군사상과 선군영도를 가까이에서 체득해왔기 때문에 선군혁명위업의 계승자로서 필연성을 갖는다고 선전했다. 후계자의 지위 및 역할 측면에서 보면, 기록영화에서 김정은은 김정일을 보좌하여 국가사업을 관장하고 군부대나 경제시설을 단독지도 하였으며, 사상교양 사업을 주도하는 등 후계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한 것으로 보인다. 기록영화는 김정은을 첨단과학기술에 정통한 '젊은 후계자'로 형상하여 향후 북한 경제를 회생시킬 것이라는 기대감을 형성했다. 기록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취사선택한다는 점에서 생략, 보충, 과장 등의 방식으로 김정은의 치적을 선전했다. 후계자의 권력구축 측면에서 보면, 기록영화에서 김정은은 후계자의 유일관리제를 통해 권력구축을 원만히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김정일의 사망 이후 김정은은 김정일의 유훈관철과 자신의 유일영도체계 수립을 결부시키는 선전 작업에 박차를 가하였다. 그러나 김정은의 경우 후계수업과 후계자의 유일영도체계 구축, 대중적 권위 확보가 동시적, 압축적으로 진행됐다. 사전에 충분한 통치경험을 익힌 선임자와 비교할 때, 김정은의 권력 장악력은 미흡할 수밖에 없었다. 김정은은 단기간에 체제를 안착시키기 위해 '제2의 김정일'을 형상하면서도 자신의 카리스마적 권력을 창출하기 위해 '김일성 따라 하기'에 몰두했다. '제2의 김일성' 전략은 제도적 권력 승계를 완료한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김정은의 권력승계가 '백두혈통'을 기반으로 한 '위로부터의 정당화' 과정이었다는 점을 재확인하였다. 북한 당국은 후계의 당위성과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 김정은을 '능력과 자질을 인정받은 젊은 후계자', '김정일의 혁명위업을 계승할 유일한 적임자'로 형상했다. 이 과정에 후계자론과 기록영화를 적극 활용했다. 김정일 사망 이후 제작된 기록영화는 후계자 김정은의 우상화를 본격화했으며, 후계자론의 원칙을 생략과 변형 등을 통해 유연하게 적용했다. 그러나 속도전식 후계체제를 경험한 김정은은 미흡한 통치경험, 능력과 자질의 검증 부족, 취약한 지지 기반 등의 한계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북한 당국이 선전한 김정은의 '후계자 형상'이 당시 실제 후계자 김정은과 얼마나 부합했는지는 미지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7 1. 연구대상 7 2. 연구방법 14 Ⅱ. 이론적 배경 17 A. 북한의 후계자론 17 1. 후계자의 요건 17 2. 후계자의 지위 및 역할 20 3. 후계자의 지도체계 22 B. 북한의 기록영화 24 1. 건설 이론 24 2. 창작 이론 29 3. 정리 및 보존 이론 31 Ⅲ. 기록영화 제작 추이 및 내용 분석 33 A. 기록영화 제작 추이 33 B. 후계체제 기간 동향 분석 36 1. 후계자 유일지도체계 기간 36 2. 후계자 유일영도체계 기간 53 3. 후계체제 기간 동향 특징 60 C. 서사 구조 분석 63 1. 통합체 분석 63 2. 계열체 분석 85 Ⅳ. 기록영화에 나타난 김정은의 후계자 형상 89 A. 후계자 형상의 특징 89 1. 후계자의 요건 89 2. 후계자의 지위 및 역할 93 3. 후계자의 권력구축 97 B. 후계자 형상의 함의 101 Ⅴ. 결론 103 참고문헌 107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80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북한 기록영화에 나타난 김정은의 후계자 형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ormation of Kim Jong Un's Successor Image in the North Korean Documentary Films-
dc.format.pagevi, 115 p.-
dc.contributor.examiner김석향-
dc.contributor.examiner조동호-
dc.contributor.examiner최대석-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