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은-
dc.contributor.author남영란-
dc.creator남영란-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20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2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4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40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6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실제 연령은 40~50대이지만 20~3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여성복 브랜드를 착용하는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의 20~30대 대상 브랜드 의복의 착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의복의 맞음새에 관한 문제를 고찰하고, 이들의 맞음새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의복의 아이템은 테일러드 재킷이며, 연구의 최종 목표는 다운에이징(down-aging) 중년 여성에게 적합한 재킷 패턴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본 연구의 타깃 연령인 40~50대 중년 여성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패션소비에 있어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과 그렇지 않은 집단(이하 논다운에이징 집단이라 함)을 구분하여 재킷 착용실태 및 맞음새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제 7차 Size Korea 데이터를 활용하여 20~30대와 40~50대 여성의 인체치수를 비교 분석하여 40~50대 여성이 20~30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복을 착용하였을 경우, 어떤 맞음새 불편사항이 나타날지에 대해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타깃 집단인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의 인체치수를 살펴보기 위해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을 선별하여 직접측정을 통해 재킷 패턴 설계에 필요한 인체치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 여성복 브랜드를 20~30대 여성이 타깃인 브랜드와 40~50대 여성이 타깃인 브랜드로 구분하여 소비자 선호도가 높았던 브랜드를 선별하여 재킷에 대한 시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타깃 연령으로 구분한 브랜드군에 따라 테일러드 재킷의 디자인, 실루엣, 디테일, 제품치수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개발하기 위한 재킷 패턴의 디자인 선정 시 참고하였다. 설문조사 및 시장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을 위한 재킷 디자인을 선정하고, 선정된 재킷을 판매하고 있는 20~30대 여성이 타깃인 여성 캐주얼 브랜드 5업체의 구호칭 55(S), 66(M)사이즈의 패턴을 수집하여 패턴치수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패턴으로 머슬린 재킷을 제작한 후 다운에이징 집단의 평균 인체치수에 해당하는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착의평가를 수행하여 가장 만족도가 높은 패턴을 선별하였으며, 선정된 패턴을 기준으로 착의평가 결과를 종합하고 수정사항으로 지적된 항목은 최종 수정하여 연구패턴을 설계하였다. 1차 연구패턴을 기준으로 머슬린과 실물원단을 적용하여 재킷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재킷은 앞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의평가를 실시하였다. 1차 연구패턴 착의평가 이후, 수정항목을 적용하여 최종 연구패턴을 설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착의평가를 진행하여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에게 적합한 재킷 패턴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여성을 다운에이징 집단과 논다운에이징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 재킷 구매 및 맞음새 선호도에 대해서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재킷 선택 시 중요한 점에 대한 문항에서는 다운에이징 집단은 디자인을 1순위로 응답한 반면 논다운에이징 집단에서는 사이즈 및 맞음새를 1순위로 응답하여, 두 집단 사이에 재킷의 구매 및 선호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재킷 착용사이즈는 다운에이징 집단에서는 S(55)사이즈를 가장 많이 착용하는 반면, 논다운에이징 집단에서는 M(66)사이즈를 가장 많이 착용하였다. 다운에이징 집단 중년 여성들이 선호하는 재킷 스타일은 심플, 모던한 스타일을 선호하고, 슬림핏의 재킷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중년 여성들은 다운에이징 여부에 상관없이 재킷 착용 시 위팔과 진동부분이 가장 불편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다운에이징 집단의 중년 여성들의 인체치수를 직접측정한 결과, 다운에이징 집단 구분에 따라서 같은 연령대 여성이지만 인체치수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 가슴둘레, 젖가슴둘레, 앞품과 뒤품 등으로 상의 패턴 제도 시 주요 치수이며, 차이가 난 항목들 모두 유의한 차이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 집단의 값이 유의하게 작게 나타났다. 또한, 2030세대의 여성들과도 가슴둘레,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등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 모두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 집단의 인체치수 값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의 주요 항목 평균 인체치수는 키 159.91cm, 몸무게 53kg, 젖가슴둘레 88.47cm, 허리둘레 73cm, 엉덩이둘레 91.26cm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여성복 브랜드에서 시판되는 재킷의 핏, 실루엣, 재킷의 길이, 소매 겹트임 및 가슴 웰트 포켓의 유무, 재킷의 칼라 및 포켓, 벤트, 프린세스라인 종류에서 20~30대를 타깃으로 하는 여성 캐주얼 브랜드와 40~50대를 타깃으로 하는 중년 여성복 브랜드의 재킷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브랜드 타깃 연령으로 구분한 브랜드군에 따라 재킷 디자인 및 디테일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킷의 제품치수 조사 결과 S(55)사이즈에서는 가슴둘레, M(66)사이즈에서는 어깨너비, 소매길이, 가슴둘레의 항목에서 여성 캐주얼 브랜드와 중년 여성복 브랜드와의 제품치수에서 유의차가 나타나 디자인 및 디테일뿐만 아니라 패턴 세부 치수와 관련이 밀접한 제품치수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20~30대를 타깃으로 하는 여성 캐주얼 5개 브랜드의 패턴으로 제작한 머슬린 재킷을 S(55), M(66) 사이즈별 3명씩 총 6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착의평가하여 우수한 브랜드의 패턴을 선별한 결과, 연구대상자 외관평가와 전문가 외관평가 결과에서 1순위였던 D업체의 패턴이 가장 맞음새가 우수한 패턴으로 선별되었다. 다섯째, 5개 브랜드의 재킷 패턴 중 S(55), M(66) 사이즈의 재킷을 착용하는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 연구대상자 집단 착의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D업체 패턴을 기준으로 착의평가 결과 중 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정리하여 1차 연구패턴을 설계하였다. S(55), M(66) 사이즈 모두 전면, 측면, 후면 모두 허리가 들어가 보이고 날씬해 보이도록 허리다트 분량을 수정하였으며, 소매의 핏도 날씬해 보이도록 소매밑단둘레의 항목 등을 수정하였다. 동일한 1차 연구패턴으로 시장조사에서 선별된 실물원단으로도 제작하였다. 제작된 재킷은 기존복 착의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가 진행되었으며, D업체 패턴과 1차 연구패턴의 맞음새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머슬린으로 제작한 재킷의 경우, 소매와 재킷길이에 대한 수정 사항만 나타난 반면, 실물원단으로 제작한 재킷은 소매와 재킷길이에 대한 수정뿐만 아니라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꿈치둘레, 소매밑단둘레와 같은 둘레 치수에 대해 수정이 필요하였으며, 같은 패턴을 적용하여 제작하여도 원단의 물성에 따라 맞음새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실물원단의 물성은 폴리우레탄이 함유된 원단으로 원단의 신축성으로 인해 제작된 재킷의 최종 제품치수가 달라졌을 것으로 파악되어, 머슬린 재킷과 실물원단 재킷의 제품치수 차이를 확인하고 치수 차이값에 대하여 최종 수정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수정된 패턴으로 제작한 실물원단 재킷의 만족도는 1차 연구패턴으로 제작한 실물원단 재킷에 비해 수정된 항목에서 치수만족도와 치수적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머슬린에 적합한 패턴을 비스트레치(우븐, 직물) 원단에 적합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에게 적합한 맞음새의 패턴으로 판단되어, 여성복 브랜드에서 패턴 제작 시 기준이 되는 S(55) 사이즈의 패턴의 제도법을 제안하였으며 S(55)의 기존패턴에서 M(66)사이즈로 그레이딩 시 편차값을 제안하였다. 또한, 비스트레치 원단에 적합한 패턴을 기준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스트레치 원단에 적합한 패턴 수정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 여성들이 선호하는 20~30대를 타깃으로 하는 국내 여성복 브랜드에서 점차 넓어지는 소비자의 연령대 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사이즈 체계 및 그레이딩 방법, 패턴 및 소재 설계 시 기초 자료가 되길 바라며, 중년 여성들을 타깃으로 하는 여성복 브랜드에서는 변화하는 중년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의 디자인 및 맞음새 선호도를 분석하여 그들이 원하는 패턴 및 제품 디자인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arel fit problems arising when down-aging middle-aged women wear the clothing from the brands targeting women in the 20s and 30s. Also, this study determines the preferred fit by the down-aging middle-aged women. The research item was the tailored jacket, and the aim was to develop jacket pattern appropriate for down-aging middle-aged women. A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down-aging middle-aged group and non down-aging middle-aged group, with respect to their fashion consumption. Then, the jacket wearing conditions and fit preferenc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the body measurements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women in their 40s and 50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data from 7th Size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fit discomfort that would appear when women in their 40s and 50s wear clothing targeted at those in their 20s and 30s. To examine the body measurements of down-aging middle-aged women specifically, the main target group of this study, a selected number of down-aging middle-aged women measured. The resulting measurements provided necessary data for the jacket pattern development for the study. The highly preferred jacket brands were selected by classifying Korean women's clothing brands into those target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women in their 40s and 50sin order to conduct market research on jackets. Differences in design, silhouette, detail, and product measurements of tailored jackets by brand groups classified based on target age were examined. Based on the market research and the survey, the design of the jacket pattern to b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elected. The size 55(S) and 66(M) patterns from five women's casual brands target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collected and the pattern size was analyzed. Using the collected pattern, muslin jackets were made. The muslin jackets were evaluated through wearing test by the down-aging women who had the average body measurements of the down-aging group. The most satisfying jacket pattern was selected. The results of the muslin jacket wearing test was aggregated based on the selected pattern. The study pattern was then created by making the final fit modifications to the jacket areas pointed out in the analysis. Using the first study pattern, jackets were made using muslin and fashion fabric. The jackets were evaluated through wearing test by the same down-aging women again. The final study pattern was created by applying fit modification to the jacket areas based on the respondents' evaluation. A well fitting final jacket pattern for down-aging middle-aged women was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down-aging and non-down-aging groups.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jacket purchase and fit preference between the groups showed that the down-aging group considers desig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a jacket, whereas the non-down-aging group considers size and fi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Especially, the down-aging group mostly wears a size S(55), and the non-down-aging group, a size M(66). The women in the down-aging group preferred a simple and modern jacket style and a slim-fit jacket. Both groups highlighted that the upper arm and the arm hole part are the most uncomfortable parts when wearing a jacket; when wearing a commercial brand jacket, the upper arm circumference was evaluated as uncomfortable area. However, the down-aging group indicated a smaller average value for the ease preference compared with the non-down-aging group, indicating that the down-aging group prefers tightly fitting clothing. Second, the results of the body measurement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everal categories. The item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hest circumference, bust circumference, front breadth, and back width, which are important measurement locations during pattern drafting. All item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that the down-ag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smaller value than the non down-aging group.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hest circumference, bu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natural indentation), waist circumference (omphalion), neck point to breast point, bishoulder length, armscye circumference, upper arm circumference, elbow circumference, and wrist circumference between the down-aging group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all categori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the body size of down-aging middle-aged women generally had larger values. The average measurements of down-aging middle-aged women measured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height of 159.91 cm, weight of 53 kg, bust circumference of 88.47 cm, waist circumference of 73 cm, and hip circumference of 91.26 cm. Third, the jacket design and other detail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brand and target age group. Jackets from domestic women's brands targeti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and in their 40s and 50s, respectivel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fit, silhouette, length, double slit of the sleeve, existence of welt pocket on the chest, collar and pocket of the jacket, vent, and princess line. Jacket measure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women's casual brands and middle-aged women's clothing brands in the chest size for S(55)-sized jackets, and the shoulder width, arm length, and chest circumference for M(66)-sized jacke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acket measureme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pattern measurement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brand types. Fourth, muslin jacket were constructed using the patterns from the five women's casual brands for sizes S(55) and M(66) each. A total of six down-aging women, three for each size, participated in the wear test of the muslin jackets. Professionals also evaluated the fit of the jackets photos of the six women wearing the jacke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ttern of Company D was ranked as the most well fitting jacket pattern by the down-aging women and professionals. A front dart on the armhole princess line and fish dart on the front panel are characteristic of the pattern of Company D. Further, the jacket length is longer compared with the jacket length of the other companies; the hemline is the longest as well and with a narrow lapel. Fifth, based on the fit comments from the down-aging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wear tests and professional evaluators, modifications were made to the pattern of Company Din order to create the first study pattern. For both the S(55) and M(66) sizes, the waist dart was adjusted on the front, side, and back panels to make the waist narrower and slimmer, and the sleeve hem was adjusted to make for a slimmer fit. Additionally the upper arm circumference was made larger for extra ease, and a polyurethane-based fabric was selected to improve movement flexibility. The first study pattern was made with muslin to compare with the fit of Company D's pattern, and was also made with real fabric (14% polyurethane, 86% polyester) selected from the market research. The manufactured jacket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the previous wear test by the down-aging women and the professionals in order to compare the fit of Company D's pattern and the first study pattern. The muslin jacket made from the study pattern needed modifications on sleeve and jacket length. The jacket made with real fabric needed modifications not only on the sleeve and jacket length but also on the chest, waist, elbow, and sleeve hem widths. The results showed that jacket fit differs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fabric even when made with the same pattern. The properties of the real fabric selected for this study contained polyurethane, and the elasticity of the fabric caused changes to the final product measurements of the jacket. Therefore, final modifications were made on the deviant values in size by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product measurement of the muslin jacket and real fabric jacket. The real fabric jacket made using the finally modified pattern had higher measurement satisfaction and measurement appropriateness compared with the real fabric jacket made using the first study pattern. This study also proposed a pattern drafting method of size S(55) jackets, which is the basis for pattern drafting of women's clothing brands.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the non-stretching (woven, textile) fabric of muslin is appropriate for the fit requirements of down-aging middle-aged women. The method also provides grading rules when grading the S(55)-size pattern into an M(66)-size pattern.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modification rules that can be applied to pattern for a non-stretching fabric to make the pattern for a stretching fabric. This study serves the preliminary data for the sizing system, grading method, pattern design, and material selection with respect to jacket production, for domestic women's clothing brands target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but also preferred by middle-aged women to widen their consumer age ranges. Moreover, this study contributes to research on the pattern and product design desired by middle-aged women conducted by women's clothing brands targeting middle-aged women.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shed light on the lifestyle, clothing design, and fit preference of middle-aged wom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2 C. 연구의 범위 3 Ⅱ. 이론적 배경 5 A. 다운에이징의 개념 5 1. 다운에이징의 정의 5 2. 다운에이징 소비 문화 6 3. 다운에이징 관련 선행연구 분석 11 B. 중년 여성에 관한 고찰 13 1. 중년기의 정의 및 연령 기준 13 2. 중년 여성의 신체, 체형적 특성 14 3. 중년 여성의 인지적 특성 16 4. 중년 여성의 정서, 사회적 특성 17 C. 중년 여성복 관련 선행연구 분석 19 1. 중년 여성의 의복 착용실태 관련 선행연구 분석 19 2. 중년 여성의 체형 관련 선행연구 분석 22 3. 중년 여성의 재킷 관련 선행연구 분석 25 Ⅲ. 연구방법 28 A. 국내 여성복 브랜드 타깃 연령대 분석 31 B. 중년 여성의 재킷 착용실태 및 맞음새 조사 32 1. 설문지 구성 32 2. 조사 기간, 방법 및 조사 대상 35 3.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35 C. 2030세대 여성과 4050세대 여성의 상반신 인체치수 비교 36 D.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의 상반신 인체치수 분석 39 1. 연구대상자 선정 39 2. 연구대상자 인체측정 42 3.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의 상반신 인체치수 분석 45 E. 기성복 재킷 시장조사 및 제품치수 분석 45 1. 기성복 재킷 시장조사 및 스타일 분석 45 2. 브랜드군에 따른 재킷 제품치수 및 기준 인체치수 비교 50 F. 여성 캐주얼 브랜드 재킷의 패턴 분석 및 착의적합성 평가 56 1. 여성 캐주얼 브랜드의 기성복 재킷 선정 및 실험재킷 제작 56 2. 여성 캐주얼 브랜드의 기성복 재킷 패턴치수 측정 및 분석 57 3. 여성 캐주얼 브랜드의 기성복 재킷 착의적합성 평가 62 4. 실험재킷 패턴 분석 결과 및 기존패턴 선정 71 G.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을 위한 연구패턴 개발 및 평가 72 1. 연구패턴 개발 방향 및 실물원단 선정 72 2. 연구재킷 착의적합성 평가 73 H.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을 위한 최종 연구패턴 개발 및 평가 73 Ⅳ. 연구결과 74 A. 국내 여성복 브랜드 타깃 연령대 분석 결과 74 B. 중년 여성의 재킷 착용실태 및 맞음새 조사 결과 79 1. 다운에이징 집단 구분에 따른 재킷 착용실태 및 선호도 80 2. 다운에이징 집단 구분에 따른 재킷 맞음새 및 불편사항 96 3. 다운에이징 집단 구분에 따른 체형 인지 및 만족도 101 4. 의복추구 이미지 및 의복을 통해 기대하는 나이 감소 효과 105 5. 다운에이징 집단 구분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비교 106 C. 4050세대 중년 여성의 상반신 인체치수 특성 분석 결과 108 1. 직접측정 항목 비교 결과 109 2. 지수치, 드롭치, 편평률 계산 항목 비교 결과 113 D. 4050세대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의 상반신 인체치수 분석 결과 124 E. 기성복 재킷 시장조사 및 제품치수 분석 결과 133 1. 기성복 재킷 시장조사 및 스타일 분석 결과 133 2. 브랜드군에 따른 재킷 제품치수 및 기준 인체치수 비교 결과 150 F. 여성 캐주얼 브랜드 재킷의 착의적합성 평가 및 패턴 분석 결과 156 1. 여성 캐주얼 브랜드의 실험재킷 패턴치수 측정 및 분석 결과 156 2. 여성 캐주얼 브랜드의 실험재킷 착의적합성 평가 결과 164 3. 실험재킷 패턴 분석 결과 및 기존패턴 선정 189 G.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을 위한 연구패턴 개발 및 평가 결과 193 1. 연구패턴 개발 193 2. 연구재킷 제작을 위한 실물원단 선정 207 3. 연구재킷 착의적합성 평가 결과 210 4. 연구재킷 평가 결과 종합 및 최종 연구패턴 수정 방향 224 H.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을 위한 최종 연구패턴 개발 및 평가 결과 227 1. 최종 연구패턴 수정 내용 227 2. 최종 연구재킷 착의적합성 평가 결과 234 3. 실물원단에 적합한 최종 연구 패턴 제안 247 Ⅴ. 결론 및 제언 255 참고문헌 263 부록 269 ABSTRACT 2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899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을 위한 테일러드 재킷 패턴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Tailored Jacket Pattern for the Down-Aging, Middle-Aged Woman-
dc.format.pagexiii, 299 p.-
dc.contributor.examiner최혜선-
dc.contributor.examiner이경화-
dc.contributor.examiner김은경-
dc.contributor.examiner유은주-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