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수준별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문법 학습 활동이 중학생의 영어 문법 규칙 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

Title
수준별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문법 학습 활동이 중학생의 영어 문법 규칙 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Utilizing the English Proficiency Level-Differentiated Corpu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Grammar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uthors
오정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Corpus is the collection of massive language data which are actually used among native speakers. English learners can obtain actual language usage in its context and can be exposed to authentic English. Also learners can infer grammar rules through induction by observing language usages. This inductive learning can be proceed with corpus hence proper level-differentiated corpus learning material is needed for English grammar learners. Therefore, using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y enhance ability of grammar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lso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domai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as inductive grammar learning material and observe attitudes changes of learners toward the use of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will propos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grammar through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and suggestions to apply this methods to English learning classroo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at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or 6 weeks in the following methods. First of all,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ne was a control group that was taught grammar in a traditional method. Others ar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randomly alloted into two homogeneous groups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corpus learning material: level-differentiated corpus and ordinary corpus. Experimental group A used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to learn grammar and the experimental group B used ordinary corpus materials.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s, grammar lessons were conducted by observing the given corpus materials corresponding to target grammar that was edited by a teacher in advanc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learned grammar in a traditional method with ordinary grammar work sheets. All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took the identical pre- and post-treatment grammar tests before and after the lesson to investigate the learner’s grammatical competence. In addition to the grammar tests, the experimental groups completed pre- and post-treatment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affective domain toward the use of level-differentiated corpus in grammar lesson. The findings acquir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grammar comprehension area from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group. Use of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in grammar learning presented a positive result in the degree of the learner’s comprehension of grammar rules.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high and low level learners in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group. Especially it is more effective to high level learners, which can be inferred that using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might help Korean middle students to improve English grammar comprehension ability and it is more effective to high level learners than low level learners. Secondly, the result of the grammar test in grammar production states that the most progressive group was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group, only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group’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high level learners. From this result, it is concluded that it is effective to use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for improving grammar production ability and it is more effective to high level learners. Finally, learning grammar through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had no effect on attitudes toward English grammar learning and learning material. All changes from the surv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pedagogical suggestions to teaching grammar through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First of all learning grammar through the corpus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grammar learning. Therefore, to enhance ability of grammar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corpus is recommended. Second, using of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can help learners to learn, comprehend, and produce English grammar rules. Teacher should consider time efficiency and adequacy of using corpus data to expect positive effectiveness in teaching English grammar. Generally corpus is effective to most of learners’grammar comprehension ability but on the contrary only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is effective to only high level learners’grammar production ability. Corpus can create a psychological burden on the low-level learner and it can affect their ability of grammar production. In other words, low level learners may find the burdensome in corpus materials and high level learner will not. So, the pedagogical issue is that for the low-level learners, it's better to search interesting corpus materials and easy sentences. Also, corpus material with interesting issue may help low level students to learn grammar more easily than before. Consequently, more studies and experiments about teaching grammar through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should be conducted to help learners understand and produce English more effectively. This study has proposed the effects of using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on the grammar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with regular school course so there were limits to use time and more authentic corpus materials. If more systematic educational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and study activities are developed and applied to classrooms in future studies, they will become more meaningful in language learning.;코퍼스는 언어 자료의 모둠으로 흔히 말뭉치라고도 불린다. 즉, 코퍼스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말과 글을 텍스트의 형태로 모아놓은 언어자료의 집합체이다. 영어를 제 2언어로 학습하는 영어 학습자들은 코퍼스를 통해 실제적이고 진정성 있는 영어 자료들을 접할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 진정성 있는 자료를 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학습자들은 실제 영어의 표현 및 다양한 용례를 관찰하며 귀납적인 방법으로 문법 규칙을 찾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귀납적인 방법의 문법 교수는 코퍼스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코퍼스가 문법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게 제작되어 제공된다면 학습자들의 문법 규칙 이해도와 표현 능력 향상 그리고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중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준별 코퍼스를 활용한 귀납적 문법지도의 효과를 검증하고, 학습자의 문법학습과 문법 자료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 볼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준별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추후 교육 현장에서 활용시 필요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두 개의 실험집단에게 수준별 코퍼스와 공통 코퍼스를 활용한 6주간의 수업을 진행하고, 한 개의 통제집단에게는 연역적 문법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중학생 학습자의 문법 규칙 이해도 및 표현능력 그리고 정의적 태도에서 각 집단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두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에게 문법규칙 이해도와 표현능력을 평가하는 사전․사후 평가 및 사전․사후 설문지 그리고 심화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 문법규칙 이해도에 미친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수준별 코퍼스를 사용한 집단이 가장 유의미한 이해도 향상을 보였다. 즉, 수준별 코퍼스 활용이 문법 규칙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준별 코퍼스의 활용은 상․하위 학습자 모두의 문법 규칙 이해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상위 학습자에게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공통 코퍼스 보다 수준별 코퍼스가 문법 규칙 이해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며, 또한 하위 집단보다 상위 집단의 경우에 보다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수준별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 문법규칙 표현 능력에 미친 영향을 확인한 결과, 역시 수준별 코퍼스가 가장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공통 코퍼스 집단에 비해 수준별 코퍼스 집단의 표현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수준별 코퍼스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수준별 코퍼스가 문법규칙 표현능력 향상에 있어 상위 집단에게 더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수준별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 조사한 결과, 세 집단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통제집단의 전통적 문법 학습에 대한 습관적 반응과 두 코퍼스 실험집단의 코퍼스에 대한 낯섦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문법 규칙 이해도에 있어서는 코퍼스를 활용한 방법이 연역적 방법보다 효과적이다. 코퍼스 중에서도 수준별 방식이 효과적이기에 문법규칙 이해도 향상을 목적으로는 수준별 코퍼스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할 수 있다. 둘째, 문법 규칙 표현능력 향상에 있어서는 수준별 코퍼스가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하위 집단보다 상위 집단에서 더 효과적이기에 하위 집단의 표현능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적 능력을 보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교사의 도움과 연역적 방법의 병행을 통해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코퍼스에 대한 낮은 정의적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수준별 코퍼스 자료의 제작이 필요하다. 코퍼스 자료가 학습자의 수준에 맞더라도 자료들이 흥미롭지 않으면 학습 욕구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학습자들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코퍼스 자료 제작이 선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준별 코퍼스가 문법 규칙 이해도와 표현능력 향상에 있어서 다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나왔다는 점에서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수업 진행시 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한 자료 여부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