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가 고등학생들의 영어 쓰기 및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itle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가 고등학생들의 영어 쓰기 및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Authors
강지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Eighteen tenth-grade students and twenty eleventh-grade students who volunteered to join the after-school English clas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teacher–student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and a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Prior to the experiment, all participants took a pre-writing and pre-speaking test and filled out a pre-questionnaire. The class received mini-reading lessons before the participants practiced teacher–student or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according to their assigned groups. The participants wrote 10 journal entries over a period of 12 weeks. After the experiment, a post-writing and post-speaking test and a post-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teacher–student an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nglish writing ability in terms of task completion,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and their English writing ability impro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teacher–student an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Moreover, the students who practice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improved more significantly on the post-writing test,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content and organization. Second, both the teacher–student an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nglish speaking ability in terms of task completion, fluency, and language use, and their English speaking ability impro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teacher–student an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English speaking ability. Moreover, the students who practice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improved more significantly on the post-speaking test, especially in the aspect of fluency. Although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led to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on the post-speaking test in terms of task completion and fluency, no difference was found in language use between the teacher–student an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Thirdly, both the teacher–student an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also improved significantly in affective factors (interest and confidence regarding learning, writing, and speaking in English), and the impro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he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dialogue journal writing. The differences in recognizing the effectiveness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English writing ability between the teacher–student an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alogue journal writ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aspects of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and that dialogue journal writing is effective. Lastly, an examination of the participants’ pre- and post-tests and dialogue journals revealed that students from both the teacher–student an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ability. Although minor errors still existed in the aspect of language use, students from the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exhibited more drastic improvement. Notably, the participants revealed the tendency to use vocabulary and expressions learned from the mini-reading lessons. In addition, although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he freedom to select the topic for every journal entry, the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displayed the tendency to write about mini-reading lessons, studying, or school-related content, whereas the teacher–student dialogue journal writing group showed the tendency to write about personal and private concerns.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positive effects of teacher–student and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on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The findings suggest that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is an effective approach to enhance the writing and speaking ability and cultivate positive affective factors regarding writing and speaking in English for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group dialogue journal writing be widely implemented in Korean high school classrooms.;영어 교육은 학생들이 글로벌 시민으로 성장해 갈 수 있도록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네 가지 기능의 균형 잡힌 수업이 필요하지만, 고등학교 학생들 대부분은 초등학교부터 오랫동안 영어 듣기와 읽기 중심으로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쓰기와 말하기가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학습 동기나 흥미도 낮은 편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쓰기와 말하기 수업에 흥미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 주는 수업 모형과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쓰기와 말하기 능력은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두 기능을 함께 가르쳐야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런 통합 교육론 관점에서 본 연구는 말하기와 쓰기를 함께 가르칠 수 있는 교수 학습 기법으로 대화식 일지 쓰기를 제안한다. 대화식 일지 쓰기의 주요 요인들이 말하기 수업과 유사하므로 통합 학습이 가능하다고 한다. 즉 대화식 일지 쓰기는 교사와 학생 간 또는 학생과 학생 동료 간 의사소통을 위해 계속 주고받기와 같은 상호작용을 해야 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구체적인 누군가를 위해 쓰기 때문에 말하기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대화식 일지 쓰기는 함께 쓰는 대상의 차이에 따라 교사 학생 간 대화식 일지 쓰기와 동료 또는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로 구분할 수 있다. 기존의 교사 학생 간 대화식 일지 쓰기는 학생이 일지를 쓰면 교사가 일대일로 답글을 써주는 형식을 취하지만,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는 또래로 구성된 소집단 내에서 일지를 읽을 독자와 구두 언어로 의사소통하면서 함께 문자 언어로 일지를 쓰기 때문에 진지하고 실감 나며 재미있게 일지를 쓸 수 있고, 기존의 방식보다는 더 많은 의사소통의 기회를 경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는 학교 현장에서 쓰기와 말하기 학습을 효율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으리라 가정하였다. 그동안 선행 연구들은 교사 학생 간 대화식 일지 쓰기와 쓰기 능력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고, 말하기 능력에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또 대부분의 연구들이 교사의 업무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동료 간 또는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화식 일지를 소집단 내 구성원 간에 쓰기 활동으로 활용하여 기존의 교사 학생 간 대화식 일지 쓰기 활동과 그 효과를 영어 쓰기 및 말하기 능력 향상과 정의적 영역에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방과 후 영어 수업을 신청한 1,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를 하는 집단과 교사 학생 간 대화식 일지 쓰기 집단으로 나누어 12주간 10회 진행하였다. 1회당 수업 시간은 총 70분이었고 수업 시간 중 전반부 30분은 문학 작품을 활용한 읽기 수업을 하였고 나머지 40분 동안 읽기 수업과 연계하여 4명으로 구성된 소집단 내에서 대화식 일지 쓰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후 사전·사후 쓰기 및 말하기 능력 평가와 설문 조사를 통해 집단 내 및 집단 간 대화식 일지 쓰기 활동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사전 및 사후 평가지와 대화식 일지를 분석하여 실제 학생들의 쓰기와 말하기 능력의 향상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집단 구성원 간 및 교사 학생 간 대화식 일지 쓰기 활동은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였다. 특히 내용과 구성 영역에서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또한 집단 구성원 간에 피드백을 받으며 대화식 일지를 쓰는 것이 교사의 피드백을 받으며 대화식 일지를 쓰는 것보다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더 유용한 활동이라고 나타났다. 둘째, 집단 구성원 간 및 교사 학생 간 대화식 일지 쓰기 활동 모두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유용한 활동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가 말하기의 과제 완성도와 유창성 영역에서 더 크게 도움이 되었는데, 그 이유는 소집단 활동을 통한 대화식 일지 쓰기는 구성원들 간 영어로 의사소통을 통해 말하기 연습의 기회를 증가시켰고 또한 대화식 일지 쓰기에는 구두 언어 표현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말하기와 유사하여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언어 사용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향상을 나타낸 것은 어휘 능력 향상은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집단 구성원 간 의사소통은 비슷한 또래 집단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언어 사용 능력의 한계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집단 구성원 간 및 교사 학생 간 대화식 일지 쓰기 활동은 집단 모두 정의적 영역에서 영어 학습 전반 및 영어 쓰기와 말하기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 집단이 좀 더 긍정적이였으며, 특히 대화식 일지 쓰기가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통계적으로 더 유의미하게 긍정적이었다. 넷째, 사전·사후 쓰기 및 말하기 평가지와 전사된 녹음 기록 그리고 대화식 일지를 분석해 보니 실험 이후 두 집단의 학생 모두 쓰기 및 말하기 능력이 크게 향상하였으며, 문법적 오류는 조금 있었으나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 집단의 학생이 보다 더 현저한 향상을 나타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학생이 대화식 일지를 쓰기 전 읽기 수업 시간에 배운 어휘와 표현을 사후 쓰기 및 말하기 평가 그리고 대화식 일지 쓰기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했다는 점이다. 또한 대화식 일지 쓰기의 주제를 학생이 자유롭게 선정하였는데 교사 학생 간 대화식 일지를 쓴 학생은 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고민이나 상담을 일지의 주제로 선정하는 경향이 있었고,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를 쓴 학생의 경우에는 쓰기 전에 경험한 사전 읽기 수업 내용이나 학업에 관련된 내용으로 일지를 쓰는 경향이 많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우선, 집단 구성원 간 대화식 일지 쓰기가 학생들의 영어 쓰기와 말하기 능력 향상에도 유용하고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위학교 현장에서 영어 수업 시간에 활용하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영어 읽기 수업과 연계해서 대화식 일지 쓰기를 활용한다면 본 연구 결과처럼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배운 어휘와 구문을 자연스럽게 일지 쓰기에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언어 사용 능력의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