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거문고 2중주곡에 나타난 선율연구

Title
거문고 2중주곡에 나타난 선율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lody in the 2 Geomungo : Focusing on , ,
Authors
전지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거문고 창작음악 중 거문고 2중주곡에 나타나는 선율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대부터 2010년대에 작곡된 거문고 2중주 작품 중에서 각각 다른 시기에 작곡되었고, 저마다의 다양한 음악적 소재와 특색을 지닌 세 작품을 선택하였다. 이 세 작품은 이재화 작곡 <도다가>, 정대석 작곡 <편지>, 정동희 작곡 <개미의 춤>이다. 세 작품의 선율 연구를 위하여 악곡구조, 조현법, 선율의 진행 형태, 거문고 2중주의 진행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거문고 2중주곡에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작품의 음악적 배경을 살펴본 결과 이재화 작곡 <도다가>는 1999년 국립국악원의 위촉으로 작곡 되었으며 화현 거문고와 거문고를 위한 2중주 작품으로 작곡되었다. 정대석 작곡 <편지>는 2003년에‘도드리’위촉으로 작곡된 곡으로 거문고 2중주를 위한 작품으로 작곡되었다. 정동희 작곡 <개미의 춤>은 2006년에 임전거문고회 위촉 작품으로 작곡되었으며, 원래 화현거문고 이중주로 작곡된 작품을 6현거문고 이중주 로 편작한 작품이다 둘째, 세 작품의 악곡구조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세 곡 모두 주로 박자, 선율, 리듬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악곡구조가 나누어지며 다양한 빠르기와 박자의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작품별 조현법을 분석해 본 결과 세 곡 모두 기존의 전통적인 정악이나 산조와는 다른 조현법을 사용하였다. 개방현인 괘상청. 괘하청. 무현의 자유로운 조현법을 사용함으로써 두 대의 거문고가 한 대의 거문고로 연주 할 때보다 폭 넓은 화음과 풍부한 음색의 효과를 얻고 있다. 넷째, 세 작품에서 나타난 선율의 진행 형태를 살펴본 결과, 상행진행의 형태, 하행진행의 형태, 주제선율의 확대와 축소, 선율의 강세(Accent) 변화로 나눌 수 있었다. ‘도다가’의 상.하행진행은 순차, 도약, 혼합진행의 형태로 나타나며, 거문고Ⅰ과 거문고Ⅱ가 서로 다르게 진행되는 부분과 동시에 진행되는 부분으로 나타난다. 주제선율의 확대는 리듬 확대와 축소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강세의 변화는 당김음 진행과 박자의 변화로 곡의 강세를 다르게 표현하였다. ‘편지’의 상.하행진행은 순차, 도약, 혼합진행의 형태로 나타나며, 거문고Ⅰ과 거문고Ⅱ가 서로 다르게 진행되는 부분과, 동시에 진행되는 부분으로 나타난다. 전통음악 주법인 추성과 퇴성, 자출, 꺾는 음을 사용하여 선율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며, 주제선율의 확대는 리듬 확대와 음의 생략으로 리듬 축소가 나타난다. 강세의 변화는 박자와 리듬의 변화로 곡의 강세를 다르게 표현하였으며 단위박의 변화가 나타났다. ‘개미의 춤’의 상.하행진행은 순차, 도약, 혼합진행의 형태로 나타나며, 거문고Ⅰ과 거문고Ⅱ가 서로 다르게 진행되는 부분과, 동시에 진행되는 부분으로 나타난다. 중점과 대점을 사용하여 엇박과 강세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개방현을 대현과 번갈아가며 나타나며 여음진행 등이 나타났다. 강세의 변화는 박자와 리듬의 변화로 곡의 강세를 다르게 표현하였으며 단위박의 변화가 나타났다. 다섯째, 세 작품에 나타난 거문고 2중주의 진행적 특징을 동음 관계, 주고받는 진행, 음역사용, 선율배치, 타악기적 진행으로 로 나눌 수 있었다. ‘도다가’의 동음 관계는 엇박 형태의 동음관계로 나타났으며 음역 사용은 거문고가 화현거문고보다 높게 진행된 형태와 화현거문고가 거문고의 음역을 포함하는 진행가 나타났다. 선율 배치에서 주선율과 주선율의 진행, 주선율과 부선율 진행, 부선율과 부선율 진행으로 나타났으며, 타악기적 진행은 술대 2개를 사용하는 새로운 기법으로 타악기적인 역할을 하며 나타난다. ‘편지’의 동음 관계는 두 악기가 같은 음고 혹은 다른 높이에서 진행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음역 사용은 거문고Ⅱ가 거문고Ⅰ보다 높게 진행된 형태가 나타났으며, 이는 보통의 거문고Ⅰ이 높은음색, 거문고Ⅱ가 낮은 음색을 나타내는 다른 2중주곡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선율 배치에서 주선율과 주선율의 진행, 주선율과 부선율 진행, 부선율과 부선율 진행으로 나타났으며, 타악기적 진행은 거문고Ⅰ과 거문고Ⅱ에서 f''음의 연타 진행으로 타악기 적인 음색이 나타난다. ‘개미의 춤’의 동음 관계는 두 악기가 다른 높이에서 진행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주고받는 진행은 두 악기가 서로의 선율을 모방하여 주고 받는 형태로 나타났다. 음역 사용은 거문고Ⅱ가 거문고Ⅰ보다 높게 진행된 형태와 거문고Ⅰ이 거문고Ⅱ의 음역을 포함하는 진행이 나타났으며, 선율 배치에서 주선율과 주선율의 진행, 주선율과 부선율 진행, 부선율과 부선율 진행으로 나타났으며, 타악기적 진행은 거문고Ⅰ과 거문고Ⅱ에서 f''의 연타 진행으로 타악기적인 음색이 나타난다. 이 작품들은 거문고 2중주곡의 음악적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하여 거문고 2중주곡의 선율 진행을 제시함으로써 연주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거문고 창작음악의 발전에 보탬이 되길 기대해본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lody appearing in the harpoon quartet in the genre. For this purpose, he composed three different works of different musical material and characteristics from each of two different genres of poetry from the 1990s to the 2010s. These three works are Lee Dae-hwa's composition , composition of Chung Dae-suk and composition of Jeong Dong-hee . In order to study the melody of three works, we analyz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 stringed concertos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music, prosody method, progression of melody, and prog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2 Geomung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usical background of the three works, Lee Jae - hwa composition was composed in 1999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composed as a duo for Hwa - hyeon and Hae - Chung Dae-suk's composition was composed in 2003 with the request of "Dodley," and it was composed as a work for the repertoire of Geomungo. The composition of Chung Dong-hee's was composed in 2006 as a work commissioned by the Imjin Geomungo Associ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usical structure of three works, the structure of musical composition is divided based on the change of beat, melody and rhythm, Third,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method of each piece, all three pieces we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traditional music or Sanjo. Opening Hyeongeonjeongjeong. Subcontracting. By using the free prosody method of Mingyuan, the effect of broad chords and rich tone is obtained as compared to the performance of two harps in one harp.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gress of melody in three works, it was classified into the type of ascending progress, the type of descent progress,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the main melody, and the change of accent of melody. The proceedings of ‘Dodaga’ appear in the form of sequential, leaping, and mixed progression, and it appears that the Geomungo Ⅰ and the Geomungo Ⅱ are proceeding differently and simultaneously. The expansion of the main melody appeared in the shape of rhythm enlargement and reduction. The change of the accent was expressed differently by the progress of the pounding and the change of the beat. The progress of 'The letter' appears in the form of sequential, leaping, and mixed progression, and it appears as a progressive part and a progressive part in the progress of the lyric Ⅰ and lyric II. It appears as a natural connection between the notes by using chuseong, sedimentation, and spontaneity, and is expressed by the use of the breaking sound in Sanjo law. The expansion of the theme melody is shown by rhythm enlargement and rhythm reduction by omission of notes. The changes of the intensity were differently expressed by the change of beat and rhythm and the change of the unit puck. The process of ascending, descending, and mixed progress of 'Dance of Ants' appears in the form of sequential, leaping, mixed progress. Using emphasis and big points, it expresses the stress and strength clearly, and it shows alternating with the open hyeon and the big hyeon, and the progress of the softness. The changes of the intensity were differently expressed by the change of beat and rhythm and the change of the unit puck. Fifth, the prog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harpoon quartet in the three works can be divided into homophonic progress, reciprocal progress, transliteration, melodic arrangement, and percussion. The homologous progression of 'Dodaga' was represented by a progression of a homogeneous homogeneity. The use of the transliteration showed that the gongmoe was higher than the. In the arrangement of the melody, the progression of the pitching rate and the pitching rate, the pitching rate and the pitching process, the pitching and the pitching process are shown. The percussion process is a new technique using two pitching processes. The homologous progression of 'The letter' appeared in the form of two instruments at the same pitch or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use of transliter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Ulm Ⅱ, Ⅱ is different from other duets with low tone. The percussion progression was perceived as percussion tone due to the progression of f '' in fingers' 'I' and 'II' in the lyric arrangement. The anthem of 'Dance of Ants' appeared in a form in which the two instruments progressed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process of exchange was that the two instruments imitated each other 's melody. The use of the transliteration was progressed in the form that the geomungo Ⅱ was higher than the geomungo Ⅰ and the progress of the geomungo Ⅰ including the range of the geomungo Ⅱ. The progression of the pitching rate and the pitching rate, the pitching rate and the sublimation progression, And the percussion progression is perceived as a percussive tone due to the progression of the f '' sound in the lyric I and the lyric II. These works clearly reveal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rpsichord duet. Through the study of this paper, I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enre music by helping the performers by presenting the melody progression of the 2 Geomung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