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여창가곡 이수대엽의 거문고 시김새 비교 연구

Title
여창가곡 이수대엽의 거문고 시김새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n Geomungo Sigimsae of Isudaeyeop Yeochang Gakok : Focusing on Melodies of Kim Seonhan and Lee O-gyu
Authors
이다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performances of Kim Seonhan and Lee O-gyu by analyzing differences in Geomungo's melody, Sigimsae around the Isudaeyeop, a kind of Yeochang. The Sigimsae, a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differently exhibited by each performer not only in recitals but also concerts, and impressions of the pieces are also varied depending on differences in the Sigimsae and structures of melodies. Therefore, although the Sigimsa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ere have been relatively rare studies on it. By razing such a question, this paper examines roles of the Sigimsae of Geomungo in the accompaniment of a song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it by each performer by drawing types of the Sigimsae after comparatively analyzing sound sources of Kim Seonhan and Lee O-gyu. From the findings, following changes and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First, the Isudaeyeop, a kind of Yeochang shows many changes by performers at Woojo rather than Gyemyeonjo. The Sigimsae of Isudaeyeop at Woojo exhibits little differences in playing techniques of two performers. It is entirely consistent at session 2, Jungyeoeum and session 4, but somewhat various types of it appear at session 3 and session 5. Meanwhile, it can be found that in the Sigimsae is often changed across all sessions as tunes are varied, the Isudaeyeop at Gyemyeonjo. Second, the changes in the Sigimsae of Geomungo by each performer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except for composition: addition, transformation and extension. For the type of addition, emphasizes arsis by repeating the Tteul technique at the last beat, and uses Toesung and Nonghyun. Both and use Toesung, Chuseong and Nonghyun, which serve to softly connect the next note. For the type of transformation, attractively expresses the structure of note by applying Toeichu to the flows of melodies, while softly connects notes, in order to express the next note by using Toesung. In addition, 's use of Daejeom when uses Chuseong is shown once at Jungyeoeum. Hence, it can be found that expresses thesis in the beginning of a phrase. For the type of extension, it is repeatedly shown that often adds Chuseong to Nonghyeon, while adds Nonghyeon to Chuseong. Each performer extends the Yeoeum, and naturally expresses connections of music by adding Sigimsae of Nonghyeon and Chuseong, respectively. Third, the Sigimsae of Geomungo, for the Isudaeyeop at Gyemyeonjo shows four types: addition, transformation, extension and composite. For the type of addition, similarly emphases arsis by using the Tteul technique at the last beat of a phrase, and repeatedly adds the Chuseong. He also partly uses Jeonsung when more than two beats are continued, which is interpreted to induce musical tension. uses the Nonghyeun across many sessions and the Toesung is sometimes shown, probably because Nonghyeon comes to fill blanks by maintaining the Yeoeum lengthily and preventing discontinuations in songs and melodies of Geomungo. For the type of transformation, plays with Toeichu, while expresses Toesung and Chuseong, as in the transformation of Isudaeyeop at Woojo. Therefore, it can be found that the Toeichu is a sign combining Sigimsae of Toesung and Chuseong and its effects are further extended. For the type of extension, similarly adds Chuseong, while adds Nonghyen, as shown in the extension type of Isudaeyeop at Woojo, and thus, each of them exhibits the same effects and roles. For the type of composite, often uses Toeichu and expresses music more richly by adding dramatic effects to a short form of rhythm. In essenc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assic and folkloric music, though both are the same traditional one, and class music tends to exhibit less kinds of Sigimsae and frequency of uses than folkloric one. This paper verifies that ornaments or extra tunes may be added to melodies of Geomungo of Isudaeyeop, among the Yeochangs, according to note consisting of musical pieces, and that each Sigimsae expressed by fingering and Gwaebeob(fret technique) of Geomungo has a different role and effect, respectively, through performances of Kim Seonhan and Lee O-gyu. Moreover, the modes of Sigimsae can be found to be changed by characteristics of two performers. Kim Seonhan enhances unity and stability of musical pieces by using the Sigimsae, while considering right and left hand performing and Munhyeon technique, according to constructs of melodies. Lee O-gyu exhibits organic developments of Sigimsae by considering songs' melodies and Sigimsae, while performing based on the same techniques. It is expected that many studies on the Sigimsae of classic music w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since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d only musical pieces of the Isudaeyeop among Yeochangs.;본 논문은 여창가곡 이수대엽을 중심으로 거문고 선율 시김새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김선한 연주와 이오규 연주의 특징을 비교해 보았다. 전통음악의 특성 중 하나인 시김새는 독주뿐 아니라 합주음악에서도 각 연주자마다 특성을 가지며, 선율구성과 시김새 차이 등에 의해 곡의 느낌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시김새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가곡의 시김새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상황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김선한의 음악과 이오규의 음악을 비교 분석한 후 시김새의 유형을 도출하였고, 가곡 반주에서 거문고 시김새의 역할과 연주자별 시김새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창가곡 이수대엽의 거문고 시김새는 우조보다 계면조에서 연주자에 따른 변화가 더 많이 나타났다. 우조 이수대엽의 시김새는 두 연주자의 주법이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이 적었다. 2장, 중여음, 4장에서 비교적 유사하게 진행하였으며 3장과 5장에서 시김새가 다른 유형이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계면조 이수대엽에서는 조가 달라짐에 따라 시김새도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이 모든 장에 걸쳐 다수 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주자에 따른 거문고 시김새 변화는 추가, 변형, 확대, 복합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우조 이수대엽의 거문고 시김새는 복합을 제외한 추가, 변형, 확대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추가 유형에서 <김>은 악구의 마지막 박에서 뜰 주법을 반복하여 약박을 강조하였고 퇴성과 추성을 추가하였으며, <이>는 퇴성과 농현을 추가하였다. <김>과 <이> 모두 퇴성, 추성, 농현을 사용하여 부드럽게 다음 음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다. 변형 유형에서 <김>은 선율의 흐름에 퇴이추를 사용하여 음의 구성을 풍성하게 표현하였으며 <이>는 퇴성을 사용하여 본음에서 다음 음으로 부드럽게 연결하였다. 또한, <김>이 추성할 때 <이>는 대점을 사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이>가 악구의 시작을 강박으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확대 유형에서 <김>은 농현에 추성을 추가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추성에 농현을 추가하는 경우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김>과 <이>는 각각 농현과 추성의 시김새를 더하여 여음을 길게 지속시키며 자연스럽게 선율을 연결하여 표현하였다. 셋째, 계면조 이수대엽의 거문고 시김새는 추가, 변형, 확대 그리고 복합의 네 가지 유형이 모두 나타났다. 추가 유형에서는 우조의 추가 유형과 동일하게 <김>은 악구 마지막 박에서 뜰 주법을 사용하여 약박을 강조하였고, 추성을 반복적으로 추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부분적으로 전성을 쓰기도 하였다. 이는 두 박자 이상으로 박이 지속될 때 나타났으며 음악적 긴장감을 유도한 것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여러 장에 걸쳐 농현을 사용하였으며 일부에서 퇴성이 나타났다. 농현이 자주 쓰인 것은 여음을 길게 지속시키고 노래와 거문고 선율의 흐름이 끊기지 않게 여백을 메워주는 효과를 주었다. 변형 유형에서는 우조 이수대엽의 변형 유형과 동일하게 <김>은 퇴이추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퇴성이나 추성을 사용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즉, 퇴이추는 퇴성과 추성이 결합되면서 음악적 효과가 더욱 확대된 시김새로 해석할 수 있다. 확대 유형에서는 우조 이수대엽의 확대 유형과 동일하게 <김>은 추성을 추가하고 <이>는 농현을 추가하는 양상이 그대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역할과 효과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복합 유형에서 <김>은 짧은 리듬형태의 퇴이추를 빈번하게 사용하여 극적인 효과로 음악을 더욱 풍부하게 표현하였고, <이>는 퇴성을 사용하여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동일한 전통음악이더라도 정악과 민속악의 연주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며, 정악계열의 음악은 민속악계열의 음악보다 시김새의 종류 및 사용 빈도가 적게 나타난다. 본 논문을 통하여 여창 이수대엽 거문고 반주의 시김새가 운지법과 괘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출현하였으며 음악적으로 각기 다른 역할과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주자의 특성에 따라 선율 표현이 다르게 나타나는 시김새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선한 연주는 선율구성에 따라 오른손 주법, 왼손 주법, 문현 주법을 활용하여 시김새를 사용함으로써 악곡에 통일성과 안정감이 나타났다. 이오규 연주는 동일한 주법을 토대로 연주하되 일부는 노래 선율을 고려하여 거문고 반주도 상호 유기적으로 동일한 시김새의 진행을 보였다. 시김새는 전통음악의 멋과 맛을 느끼게 해주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다. 이 논문은 여창가곡 중 이수대엽의 악곡만을 비교 분석한 결론이므로 앞으로 정악의 시김새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확대되어 진행되기를 고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