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5 Download: 0

사회불안이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회불안이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attentional bias : focused on the role of emotional valence and flanker
Authors
이윤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It has been well supported that existence of attentional bias toward threat stimuli in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However, most previous researches did not consider the role of positive emotional stimuli and flank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ttentional bias toward positive and negative stimuli in social anxiety, focused not only on the role of target stimuli, but also on the role of flanker. Three hypothesis were tested; (1) To tes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arget stimuli valence and groups(social anxiety group and control group) on the reaction time; (2) To tes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flanker types and groups on the reaction time; (3) To tes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congruency conditions and groups on interference effect.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44 college students who were high and low social anxiety without depressive symptoms were recruited by using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conducting the repeated measures ANOVA analysis on participants reaction time. Unexpectedly, the reaction time was only influenced by the valence of the target stimuli, and social anxiety group responded faster to positive than negative target stimuli. However, social anxiety group showed slower reaction time when the flanker had positive and neutral emotional valence compared to negative emotional valance and control group did not show such differences. Moreover, the interference effect was decreased when the flanker was positive face stimuli, relative to negative one in control group and social anxiety group did not respond differently between incongruency condit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social anxiety group had difficulties in not only social threat stimuli as earlier studies postulated, but also socially positive stimuli. In addition to this, current study proposed that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would have deficits in inhibitory control of flankers which meant social context.;사회불안의 인지이론에 따르면,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은 사회적 위협자극을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주의편향 양상을 보인다고 한다(Bar-Haim, Lamy, Pergamin, Bakermans-Kranenburg, & Van Ijzendoorn, 2007; Mathews & MacLeod, 2005). 그러나 사회불안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는 사회적 위협자극 뿐만 아니라 긍정 정서자극에서도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긍정 및 부정 정서자극을 모두 포함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주의과정에서 표적 정서자극은 주변의 환경자극과 함께 처리되며, 주변 환경자극의 맥락에 따라 표적 정서자극의 처리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주변 환경자극의 역할을 함께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불안의 주의편향 연구에 있어서 부정 정서자극과 긍정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편향 양상을 함께 살펴보고, 표적자극과 더불어 주변자극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집단과 통제집단 간 표적자극의 정서가에 따른 주의편향 (e.g., 반응시간)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둘째, 집단 간 방해자극의 정서가에 따른 주의편향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셋째, 집단 간 표적자극와 방해자극의 정서가가 불일치하는 조건에 따른 간섭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척도와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를 포함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우울증상이 없는 대학생들 중에서 사회불안이 높은 23명을 사회불안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우울증상이 없고 사회불안이 낮은 21명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4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적자극을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표적자극의 정서가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두 집단 모두 부정 및 중립 정서자극에 비해 긍정 정서자극이 주어진 경우에 반응시간이 짧아지는 양상이 나타나, 긍정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을 보였다. 방해자극과 집단 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사회불안집단에서는 방해자극이 부정적일 때보다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일 때에 반응시간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방해자극의 정서가에 따른 반응시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주변 정서자극의 맥락에 있어서 통제집단은 특정 정서가에 대한 편향이 나타나지 않은 것에 비해 사회불안집단은 긍정 및 중립 자극에 대한 편향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섭효과(불일치 조건의 반응시간-일치 조건의 반응시간)에 대해 분석하였을 때 또한 집단과 불일치 조건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회불안집단은 불일치 조건에 따른 간섭효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통제집단은 방해자극이 부정적일 때보다 긍정적일 때 간섭효과가 유의미하게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제집단은 긍정 정서자극이 방해자극으로 주어진 경우 부정 정서자극이 주어진 경우에 비해 표적자극 처리를 더 잘 할 수 있는 반면, 사회불안집단은 이러한 긍정 정서자극의 이득을 보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집단에서 나타나는 주의편향 양상은 표적자극에 대한 처리문제가 아닌 주변 정서자극에 대한 통제문제에서 기인한다고 제시한다. 특히 주변 정서자극이 긍정적인 정서가를 가질 때, 통제집단은 표적자극 처리에 있어서 더 나은 수행을 보이는 반면, 사회불안집단은 긍정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득을 보지 못했다. 본 연구는 사회불안집단이 긍정 정서자극에 대한 불편감을 가지고 있으며, 주의편향문제는 표적자극이 아닌 주변자극에 대한 통제문제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