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PBL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PBL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3rd Year Junior School Students' Art Class Based on PBL Model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Focused on the Making of the brochure of Koryo Celadon
Authors
김혜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미술은 한 시대의 정신과 모습을 반영하고 있기에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대나 사회를 기록하고 전달하기에 다음 세대의 학습 자료로서도 가치가 높다. 특히 민족의 조형의식과 미의식, 가치관과 삶의 지혜가 녹아있는 전통미술은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므로 학교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가르쳐야 할 당위성이 있다(이성도 외, 2005). 그러나 실제 교육현장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전통미술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에 비해 체계성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현재 교육현장에서 사용 중인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살펴보면 전통미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나 다양한 학습방법이 제시되어있지 않고 '표현'영역과 '감상'영역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전통미술은 시대상을 담고 있는 만큼 역사적인 흐름과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해는 인지심리학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직접 가르칠 수 없고 학습자 스스로 학업을 수행할 때에 진정한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자기 주도적 학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방법으로는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있으며 깊이 있는 이해와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기르는 데에 효과가 있어 유용하다. PBL은 학습자 주도의 교수법으로 지식의 탐구에 의한 인지적 능력의 향상과 함께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능력 또한 기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미술 수업에 PBL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고려청자를 알리기 위한 홍보지 제작'이라는 주제를 선정하였고 이에 PBL모형을 적용하여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통미술을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여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신장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PBL과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 중학교 미술과에서의 전통미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전통미술수업에 PBL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미술과 교육과정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PBL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중학교 3학년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시 울주군에 소재한 S중학교 3학년 2개 학급,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 31명에게는 PBL을 적용한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을, 통제집단 29명에게는 전통적 교수법인 교사중심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실험처치에 앞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후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학습동기 검사지는 조은진(2014)의 학습동기 검사지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 보완하여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지필평가를 활용하였다. 문항은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고려청자와 관련된 내용을 교과서와 조은진(2014)의 학업성취도 검사지, 류재만(2003)의 청자의 이해 지도에 관한 연구 논문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작성하였으며 현직교사의 검토와 수정을 거쳐 제작되었다. 실험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각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자기평가, 모둠평가, 수업 만족도 평가와 실기결과물, 활동지등을 바탕으로 수업의 효과에 대해 질적 분석하여 본 연구의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모형을 적용한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이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기의 향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수업 실시 후에 학습동기가 높아졌다. 그러나 사전 검사에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가 도출되었음에도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높게 도출되며 증가정도에 있어 실험집단의 결과가 더욱 컸기에 PBL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학생들에게 보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업성취도 증진을 확인하기 위한 지필평가에서 PBL모형을 적용한 교수 ‧ 학습 프로그램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교수자 중심의 일반적인 표현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높은 정답률을 얻었다. 학업성취도 측정에서는 사전 및 사후 지필평가의 난이도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표준화 점수((원점수-평균)/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결과 PBL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은 학업성취도가 증가하였으며, 일반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은 학업성취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이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 등의 보고서를 질적 평가한 결과 실험집단의 문제해결력과 교과 이해도, 홍보지 구성능력 등이 통제집단에 비해 우수한 평가를 얻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기 결과물 평가도구의 평가요소를 성취수준에 따라 나누어 보았을 때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성취수준정도가 더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평가의 다양화가 중요시되는 PBL모형의 적용으로 자기평가, 모둠평가, 수업 만족도 평가 등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본 연구의 교수 ‧ 학습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하는 의견을 나타내었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 수업에 대한 이해도, 자발적인 참여도, 수업에 대한 흥미도 등에 있어 긍정적인 의견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업과정을 관찰한 결과, 일반적인 표현수업보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수업에서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함께 협동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자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PBL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과 함께 수업 전반적인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참여도 향상과 작품 결과물 수준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PBL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이 전통미술수업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 전통미술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다양하고 질 높은 교수 ‧ 학습 프로그램 개발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Art is a very valuable cultural asset that presents the image and zeitgeist of the time. It has been highly appreciated as a material that records and passes down information to the next generation. Traditional art should be a crucial part of formal education as it reflects our perception of formative arts, aesthetic sense, values, and wisdom(quoted from the 2005 paper by Seong-do Lee and others). However, there is a gap between this ideal and what is being implemented at school. Textbooks based on the 2009 educational reform lack specific content regarding traditional art and ways to study. Also, textbooks fail to teach students how to "present" their opinions and how to "appreciate" art. Traditional art reflects the culture and society of the specific time period. Thus we need to understand history and the context. From the cognitive psychological aspect, understanding can be achieved only when the learner studies spontaneously. Autodidacticism or self-education (also self-learning and self-teaching) is key to perfect understanding. To practice Autodidacticism, a PBL(PBL: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learner's capability by gaining deep understanding and conducting spontaneous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PBL model is a self-directed teaching model and is helpful for enhancing cognitive ability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in real life. Thu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selected as "making of the promotion material about Koryo celedon" and the PBL model was applied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i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learners could build better motivation and show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n studying traditional art. This study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BL model in the middle school in the theoretical approach based on the PBL model, motivation, achievement, and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r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oretical reviews suggested the necessity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PBL model affects 3rd year junior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The study involved 60 students of two classes from S middle school located in Ulju-gun, Ulsan-city. 31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the PBL model class while the other 29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ttended the traditional class which is a educator-centered teaching program. For verification of two groups' similarities, a test was conducted to check motivation and achievement levels in advance, and the same test was conducted again after the experiment. The questionnaire to check motivation referred to Eun-jin Choi(2014)'s form and went through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A written test was used to measur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e questions were about Koryo celadon, based on textbooks, Academic Motivation Scale (AMS)test of Cho(2014), A Study on Guidance of Understanding about Koryo Celadon by Jae-man Ryu(2003) on Celadon understanding and teaching, reviewed and modified by teacher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al study, the results of each group's pre/post-test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regarding effects of the learner's self-evaluation, group evaluation, class satisfaction, practice results, and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PBL model pedagogic was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motivation for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to find out the amount of increase in academic motivation, two groups showed an increase in motivation. However, despite the higher motivation of the control group shown in the pretest,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the post-test. This proves that the PBL model is efficient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ttended PBL model-appli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acquired more correct answers than the other group. In the measur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standardized score ((raw score - average) / standard deviation) was used to adjust differences in the difficulty of the pre- and post-paper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control group, which attended ordinary class showed a decrease in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e lear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3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problem-solving capabilitie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nd the ability to complete the promotion material by qualitatively evaluating the practice results and activities reports.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achievement levels by looking at the evaluation items of practice results by achievement levels.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was satisfactory about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gram of this study, applying the PBL model that values diverse evaluation methods and conducts self-evaluation, group evaluation, and class satisfaction evaluation etc. Also, the experimental group was positive in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understanding, spontaneous participation, and interest about the class etc. Also, by observing the class, students were more engaged in the class conducted by this study compared to the ordinary classes and they were more willing to cooperate and participate in the clas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rt class using the PBL model influenced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Moreover, this model improved participation in the overall course and helped to achieve better result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ed the art class using the PBL model i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hoped and expect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traditional art classes and development of diverse and high-quality learning and teaching program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