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경-
dc.contributor.author김재희-
dc.creator김재희-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08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0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4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46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533-
dc.description.abstract정보 활용 및 문제해결능력 중심의 학습 경험이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흐름을 주도하는 학습자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기치아래 문제해결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효과적인 학습방법의 모색은 지속되어왔다. 새로운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의사결정을 기반 한 문제해결능력은 미래인재의 핵심역량으로 떠오르고 있고, 이러한 역량은 단기간에 학습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교 제도권 내에서 문제해결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수·학습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져 가고 있다. 미술교육 역시 시각문화의 향유자이자 생산 주체인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전 방위적인 노력 속에 문제해결력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자 하고 있다. 2009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12)의 미술과 개정을 살펴보면 변화하는 사회에 발맞춰 미술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적정화하는 데 개정방향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학습자들이 관심을 둘 수 있는 삶의 문제와 연결된 실제적인 활동을 중시하고 있다. 미적 인식이 자연환경 혹은 시각 문화 환경 등 특정 대상에 국한된 것이 아닌 삶 속에서의 실천적인 의미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시각 문화의 개념 역시 소통이라는 가치에 초점을 두고 재해석 되었고, 생활 속에서 시각적 이미지의 정보 전달 방식을 이해하여 사회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주체로 학습자가 성장할 수 있는데 미술교육의 목표를 두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문제해결능력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캐릭터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연구를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문제중심학습모형이 적용된 캐릭터디자인 수업을 통해 주변 삶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실제적인 시각 이미지로 제작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문화주체자로서의 소양을 스스로 갈고 닦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수업 설계를 위해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문제해결력과 문제중심학습모형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여 보고, 캐릭터디자인 교육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 교육환경에 적합한 수업을 개발하기 위해 2009개정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미술 교과서 및 지도서를 분석하여 캐릭터디자인에 관한 공통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단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캐릭터디자인 수업 연구의 목적과 그에 따른 필요성을 제시하고 개발 전략을 수립하였다. 수업은 한국 교육현장에 맞게 체계적이고 체제적으로 수정·보완된 조연순(2008)의 문제중심학습모형을 기본으로 총 10차시에 걸쳐 제작하였다. 파주시에 소재한 S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총 51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해 동질성을 검증한 뒤 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제해결력 증진을 알아보기 위해 활용한 문제해결력검사지는 헤프너와 피터슨(Heppner & Peterson, 1982)이 고안한 문제해결력 인식 검사(Personal-Problem Solving Inventory)를 우리나라 청소년 연구에 맞게 한국어로 번안한 홍영수(2004)의 검사지로 사전과 사후에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총 10차시의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캐릭터디자인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에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일반적인 캐릭터디자인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문제해결력에 대한 각 집단의 사전·사후 문제해결력 검사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결과를 양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실기 결과물에 대해 질적으로 평가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평가한 자기평가지, 동료평가지, 수업만족도 평가지를 통해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다방면에서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캐릭터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중심학습모형의 적용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의 통합적인 증진뿐만 아니라 자신감, 개인 통제 등의 하위 요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반적인 사회·감성적 측면을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연구대상의 작업과정과 실기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문제해결력 뿐만 아니라 시각적 표현능력의 증진이 있음이 나타났다. 주제선정 및 표현분석 등의 작업 과정에서 모둠 토의와 주체적인 학습을 진행한 실험집단은 캐릭터디자인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전 과정에 적극성을 띄고 임하여 시각적 표현에 있어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결과물을 산출하였다. 실험집단이 창의적인 방법으로 명확한 주제 전달이 가능한 캐릭터디자인을 위해 고심한 반면 통제집단은 캐릭터디자인의 피상적인 측면에 몰두하거나 주제의식이 결여된 평면적인 캐릭터디자인을 결과물로 산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문제중심학습모형의 학습자 중심의 문제해결과정이 디자인 활동에서 표현능력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셋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진행된 실험집단의 자기평가 및 수업만족도 평가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본 연구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호도는 미술교과 자체에 대한 선호도로 이어져 미술과 표현활동에 어려움을 느끼던 학생들도 앞으로의 시각적 표현활동에 기대감을 느끼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캐릭터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2학년 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삶을 영위하는 인재 양성에 이바지하길 바라며 보다 효과적이고 정교화 된 문제중심학습 관련 교수·학습프로그램 연구가 진행되어 미래의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문화 생산자 양산에 기여하길 바라본다.;Enhancing problem-solving ability is an effective learning approach that enables learners to develop active and independent decision-making ability, which is considered as a key element to become a person of talent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Numerous studies searching for effective learning methods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bility are constantly being held, and there is a growing voice suggesting that long-term teaching and learning opportunities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school system to achieve that goal. Also,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as a way of cultivating students of talents, who will become both consumers and producers of our visual cultur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 order to actively adopt problem-solving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2009's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Pla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the objective of art education is focused on supporting learners to develop aesthetic sensibility and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value of art, enabling them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visual image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improve these capabilities, problem-solving-oriented learning method, compared to traditional instructor-led learning method,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way as it allows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model-applied character design class on cultivat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learners. problem-based learning model-applied character design class aims to provide learners an opportunity to visualize their solution for social problems in everyday life into an actual image, eventually encouraging them to develop themselves as a culture leader. In term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character design class was planned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on problem-solving ability, problem-based learning models, the concept of character design education, and also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order to develop a suitable curriculum for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the 2009's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Plan and character design-related chapters in various art text books was thoroughly analyzed. Based on these analyses, the objective and necessity of the study on problem-based learning model-applied character design class were suggested, and development strategy was also established. The course was planned to include a total of 10 times of classes, based on Jo Yeon-sun's problem-based learning model (2008). 51 students from two second grade classes of S middle school, located in Paju, were pre-tested to examine the homogeneity,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26 subject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 group, while 25 subjects were selected as controlled group. The questionnaire used for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was Hong Yong-su's version (2004) of Heppner & Peterson's Personal-Problem Solving Inventory (1982), which was revised to be adaptable to studying Korean teenagers. The subjects were equally asked to fill out this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For the experiment group, total of 10 times of problem-based learning model-adopted character design classes were provided, while text book-oriented general character design classes were held for the controlled group.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 on problem-solving ability, the results from the before and after questionnaires from each group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and analyzed by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Applying the evaluation tool based on the 2009's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Plan, the practical results were qualitatively examined. Also, the learners evaluated themselves, their colleagues, and the degree of class satisfaction through questionnaires, which were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 from various aspects, and eventually to draw a conclusion.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study. First, the experiment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model-adopted character design class is effective for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y. Adopt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not only enhances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but it also has been statistically proven to show a positive effect on sub-elements, such as their self-confidence or self-control. Moreover, there is a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ir social and emotional aspect through this learning method. Second, analyzing the working process and the practical results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evaluation standards, it was proved that the experi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in both problem-solving ability and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visually.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were asked to select their themes and analyze the expression styles by discussing with their peers and finding solutions independently. These requirements enable them to understand the whole process of character design,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es, and thus yield high-quality results. However, while the experiment group pondered on finding a creative way to precisely express the themes, the controlled group, on the other hand, limited their thoughts to the superficial aspects of character design, creating a prosaic character that lacks any thematic elements. Consequentially,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s learner-oriented problem-solving process developed ability to express in designing. Third, according the questionnair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group, who had taken problem-based learning model-adopted classes, their self-evaluation and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lass were considerably high, which can be leaded to a conclusion that they were content with the learning program of this study. Furthermore, the preference toward this program expanded to preference toward art subject itself, encouraging students, even the ones who previously felt difficulty in art, to express themselves visually.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model-adopted character design class on cultivating problem-solving ability for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I hop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discussed i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develop students' capacities to understand various culture and pluralistic values. Also, I expect future studies on problem-oriented learning to improve and elaborate the program, so that eventually could cultivate creative and independent culture producers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6 A. 문제해결력과 문제중심학습모형 6 1. 문제해결력의 이해 6 2. 문제중심학습모형의 이해 7 3. 문제해결력과 문제중심학습모형 15 B. 캐릭터디자인 교육 16 1. 2009개정 교육과정 16 2. 캐릭터디자인의 이해 21 3. 캐릭터디자인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의 의미와 필요성 24 III.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및 절차 27 1. 연구대상 27 2. 연구절차 27 B. 연구도구 29 1. 수업도구 29 2. 평가도구 54 C.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59 IV. 연구결과 및 논의 61 A. 연구결과 61 1.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분석 61 2. 실기 작품 분석 63 B. 연구논의 68 V. 결론 및 제언 71 참고문헌 74 부록 79 ABSTRACT 1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400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캐릭터디자인 수업이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haracter Design Clas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on Problem Solving Ability Development : Centered on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
dc.creator.othernameKim, Jae hee-
dc.format.pagevi, 1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