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한부모 여성가장의 고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Title
한부모 여성가장의 고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for the Job Stability of Single-Mothers : Comparison of Married Women
Authors
이수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본 연구는 노동시장 내에서 취약한 위치에 있는 한부모 여성가장의 고용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일자리 질적 수준의 향상이 필요하다는 문제제기에서 시작하여 한부모 여성가장과 유배우 기혼여성의 고용안정성의 현황과 고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부모 여성가장과 기혼여성의 개인적 요인, 가족관련 요인, 인적자본 요인, 일자리 요인이 고용안정성이 높은 일자리에 참여하기 위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원자료는 한국여성가족패널조사 5차년도(2014년) 자료이며, 분석대상은 5차년도에 19세 미만의 자녀와 동거하는 임금근로 한부모 여성가장과 19세 미만의 자녀와 배우자와 동거하는 임금근로 기혼여성이다. 분석은 SPSS 19.0을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여성가장의 고용안정성이 높은 일자리 참여율은 10.78%이고 기혼여성의 고용안정성이 높은 일자리 참여율은 11.75%로 여성들의 노동시장 내 고용안정성이 낮은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비중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동시장 내 상당수의 여성들이 비정규직화, 임시·일용직, 시간제 일자리에 속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단순 여성일자리의 양적 확대와는 다른 측면으로 일자리의 질적 수준의 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한 것이다. 둘째, 한부모 여성가장과 유배우 기혼여성의 대상 집단의 특성과 환경적 특성을 교차분석 및 T-검증분석의 비교 차이를 실시한 결과는 개인적 요인의 연령·사적이전소득, 가족관련 요인의 가구원의 수·가구총소득, 인적자본 요인의 학력, 일자리 요인의 지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한부모여성은 기혼여성에 비해 동원할 수 있는 경제적 자원 및 사회적 자본, 인적자본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부모 여성의 특수한 환경과 욕구에 초점을 맞추고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기 위한 안정적 보육 정책과 고용정책의 마련이 필요한 것이다. 셋째, 고용안정성이 높은 일자리 참여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는 두 여성 집단 모두에게 개인적 요인의 사적이전소득, 가족관련 요인의 가구원의 수, 인적자본 요인의 이전취업형태, 일자리 요인의 지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고용안정성이 높은 일자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직업훈련 경험여부만이 두 집단 모두에게 고용안정성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한편 나머지 요인들은 대상 집단에 따라서 고용안정성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각 대상 특성에 따라서 고용안정성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각 집단에 걸맞는 접근방식과 세부적 고용 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것이다.;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tability of the single-mothers compared to the married women with spouse. Single-mothers are mostly in vulnerable positions with poor job qualities in the labor market, and thus it is of primary importance to improve quality of their jobs to actively deal with their employment problems. Starting from this problem, this study examined job stability of the jobs single-mothers have and how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 family, human capital, and job characteristics affect their job stability,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f married women with spouse. This study used the 5th wave data (2014)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oWF). The analysis focused exclusively on single-mothers and married women with spouse, both in wage work and with children below the age of 19 in the data. This study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9.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high proportion of overall female workers were in jobs with low job stability. The percentage of single-mothers in jobs with high job stability was 10.78% and that of married women was 11.75%. Most female workers were found to be in irregular employment relationships, such as temporary, part-time jobs, and this shows the necessity of policies that could improve job qualities of female workers instead of merely increasing the jobs in number.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rosstab and t-test analysi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cused population and their environments, single-mothers and married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age and private transfer income of individual factors,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net income of the household of family-related factors, education level of human capital factors, and place of residence of job-related factors. Single-mothers especially showed higher vulnerability in economic resources, social capitals, and human capitals they can mobilize compared to the married women. From this result, this study finds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special needs single-mothers have and the stable child-care policies and employment policies that could support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the single-mother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of jobs with high job stability, some factor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both single-mothers and married women, and they are: private transfer income of individual factors, number of household members of family-related factors, previous type of employment of human capital factors, and place of residence of job-related factors.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job training was the only factor that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both population groups. Other factors showed different significance depending on the population group. From this result,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affect job stability depending on the target population, and thus there needs to be specific approach and plans that suit different targets of the employment polic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